미디어 컨텐츠 산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디어 컨텐츠 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미디어 컨텐츠란?

2.국내 미디어 산업의 현황과 정책 방안

3.‘중국 vs 한국’ 미디어 컨텐츠 산업

4.컨텐츠 비즈니스의 중국시장 성공 가능성?

5.국내 미디어 산업과의 구조적 차이

6.국내 광고시장 및 뉴미디어 산업 전망

본문내용

자료 : 방송위원회,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정리
‘중국 vs 한국’ 미디어 컨텐츠 산업
-중국의 미디어 컨텐츠 산업 점검-
*중국으로의 컨텐츠 소싱 형태
중국과의 대부분 컨텐츠 소싱은 다음 2가지 형태를 취하고 있다. ① 중국으로의 직접 진입 방식이 아닌 대만 또는 홍콩을 경유한 소싱, ② 전국방송이 아닌 지역방송 기반으로 진입하여, 점차 그 영역을 확장시키는 전략이다. 따라서,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의 중국 진입 초기 단계는 대만, 홍콩을 통한 북경, 상해 등으로의 진입방식이었다. 최근 들어 점차 북경 CCTV, 상해 SMG 등과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Direct Sourcing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소싱 : 쉽게 설명을 하자면 어떠한 기업체내에서 어떠한 일들을 생산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위해서 그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다른 업체에 맡기는 것을 의미한다.
*불법저작물 범람 등 중국 컨텐츠 시장 진입의 시장성에 대한 지나친 낙관은 무리
2006년 기준 SBS의 중화권 컨텐츠 매출 잠정 현황을 살펴보면 총판매금액 기준 대만이 중국의 4배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타이틀 수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불법저작물 범람 및 중앙 정부와의 네트워크 강화차원에서 이루어진 컨텐츠의 저가 공세가 그 원인이다. 중국의 자국내 유료 PP 역시 시장성 부문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중국의 디지털 유료프로그램 채널 현황을 살펴보면, 120개의 채널이 비준을 받았으며, 그 가운데 94개 채널이 실행중에 있으나, 영리 부문에서의 성공 케이스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컨텐츠의 경쟁력 부문을 차치하더라도 미디어 플랫폼으로의 컨텐츠 소싱 단계부터 시작되는 난관은 해외 업체들의 시장성 확보를 용이하게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 컨텐츠 시장 진입의 시장성에 대한 지나친 낙관은 현시점에서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시아권에서의 컨텐츠 블루오션은 중국보다 일본 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아
저작권 부문에서의 블루오션은 중국보다 일본 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DVD, CD 등의 컨텐츠 플랫폼의 정품화가 일반화됨으로써 중국, 대만 등 타 아시아 국가보다 시장성 측면에서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컨텐츠 비즈니스의 중국시장 성공 가능성?
-한류(Korea Wave) 효과의 연장 가능성-
중국의 드라마 한류 관심을 제고 시킨 MBC의 ‘-대장금’성공 사례는 지난 15여년간의 MBC와 중국과의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