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본문내용
고4년이다. 모든 학생들은 13학년말에 실시되는 아비투어 시험에 4개의 과목을 신청한다. 첫 두 개는 전공과정에서, 다른 두 개는 기초과정에서 선택된다. 시험과목들은 반드시 3개의 분야에 속하는 것들이어야 하며, 제4의 과목은 반드시 독일어, 수학, 영어 중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11~13학년의 학력평가는 반드시 필기시험과 논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11학년 1학기에는 4개의 과목 중에서 반드시 두 개의 과목은 필기시험을 보아야 하는데 그중 한 과목은 반드시 독일어, 수학, 외국어가 되어야 한다. 11학년 2학기부터 12학년말까지 학기말에는 두개의 전공과목과 두개의 기초과목에서 필기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제13학년 1학기에는 4개의 아비투어 시험과목에 대하여 필기시험을 보아야 하며, 거기에 11학년 1학기부터 시작한 외국어에 대하여 두 개의 필기시험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 13학년 2학기까지 첫 세 개의 아비투어 시험과목과 새로이 시작한 외국어 과목에 대하여 한 번씩 필기시험을 합격해야 한다.
2) 아비투어 시험규정
아비투어 시험 규정에 의하여 김나지움 학생은 목표를 달성 했는가 어떤가를 결정한다. 왜냐하면 이 국가시험에 합격함으로써 학생에게는 일반대학 입학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13학년 2학기 말에 실시되는 아비투어 시험은 3과목은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으로, 제4아비투어 시험과목은 구술시험이 실시된다. 아비투어 시험내용은 김나지움 상급반 교육내용과 일치해야 하며, 수험생은 기본적인 원리, 견해, 학과 특유의 사고방법과 방법론 등을 증명해야 한다.
아비투어 종합 성적에는 22개의 기초코스와 8개의 전공코스의 성적이 모두 계산된다. 0점 처리된 코스의 성적은 계산되지 않는다. 종합 성적에 반영되는 코스는 반드시 12~13학년에서 배워진 것이며, 모든 코스는 3개 계열에 속하는 과목이어야 한다. 아비투어 시험과목 4개도 종합 성적에 반영되며, 필수 과목의 코스도 반영된다. 종합평가는 점수로 환산된다.
아비투어 시험 허가를 받지 못한 학생은 제13학년을 반복할 수 있으나 1학기의 성적은 반영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이때 김나지움에 머무룰수 있는 기간인 4년 이내에 가능하다. 4년이 지나도록 시험허가를 받지 못하면 그 학생은 김나지움을 떠나야 한다.
필기시험은 내용은 김나지움 상급반의 교과내용을 중심으로 부과되지만 코스 내용 범위내에서만 출제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시험 문항은 분명하게 진술되어 있고, 명료하게 한계가 주어지며, 주어진 기간내에 반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미 취급되었던 문제, 수업 시간에 다루어진 것은 안되며, 준비되지 않은 내용이라야 한다.
제2차 중앙 아비투어 위원회의 회의에서 1,2,3 아비투어 과목 필기시험과 제4차 아비투어 과목 구슬시험 결과를 점수로 환산한다. 이 제2차 회의에서는 어떤 수험생이 구술시험을 보아야 할 것인가도 결정한다. 구슬시험이 실시될 때에는 시험제목이 주어진 후 30분간의 준비기간이 주어진다. 실험, 실습, 실기로 대치되는 경우 그 준비 시간은 3시간을 넘지 못한다. 제4 아비투어 시험과목의 구술시험은 3명의 수험생이 동시에 같은 제목을 받아 구술시험을 치룰 수 있다. 구술 시험에서는 이미 치루어진 필기시험 내용에 대해서는 진술할 수 없다.
구슬시험이 모두 끝나면 중앙 아비투어 위원회는 수험생 개개인의 아비투어 영역의 시험 결과를 종합점수로 환산한다. 시험에 합격하게 되면 시험위원회는 합격통지서를 발급하여, ‘일반대학 입학자격’을 인정하게 된다.
아비투어 시험에서 과낙제의 경우에는 다음 학기가 시작될 때에 재시험을 신청해야 한다. 재시험을 신청하지 않을 때에는 아비투어 시험 전체를 다시 치루어야 한다. 두 번째 아비투어 시험은 1년 후에 허락된다. 특별한 경우에는 6개월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불합격된 아비투어 시험은 1회에 한하여 반복할 수 있다.
3) 특수학교
신체적, 정신적으로 특수성을 지닌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교육도 조직적으로 충실한 교육내용과 방법 및 과정을 마련하고 있는데 3가지 유형으로 특수학교교육을 시키고 있다. 기초학교와 보통학교에 병치하거나 특수학교를 별도로 설립하여 전일제 또는 반일제(정시제)로 운영하거나 기숙사 학교로 운영하기도 한다.
4) 기타 중등 Ⅱ단계 학교
-직업준비학년은 1년제로서 보통학교 제9학년 졸업자 또는 제10학년 졸업자로서 직업선택을 위하여 다니게 되는 학교이다. 비슷한 학교로서 직업기초학년이 있다.
-직업학교는 제9학년 졸업자가 다른 상급학교를 다니게 되지 아니할 때에 의무적으로 다니는 학교로서 직업학교에서 이론을, 현장에서 실습을 하게 되는 2원제 제도이다.
-직업보충학교는 직업학교를 마치거나 또는 다니면서 공부할 수 있는 두가지 형태로 운영되는 교과과정을 지니고 있다. 전문고등학교 진학, 또는 상급 직업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이다.
-직업전문학교는 1년또는 2년제가 있으며, 2년제에는 보통학교 9학년 졸업자가, 1년제에는 10학년 졸업자가 다니게 된다.
-전문고등학교는 2년제로서 10학년 졸업자가 전문대학 진학을 위하여 입학한다.
-콜렉슐레는 제2의 대학진학의 길이다. 4년제로서 대학진학 과정이며, 직업전문교육을 위한 사전과정이기도 하다.
★ 이중 가장 중요한 학교는 직업 의무학교이다. 독일의 직업학교는 2원제로서 반드시 실습교육을 현장에서 받아야 한다. 직업학교는 실습장인 산업현장의 교육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나 사실은 직업학교는 공립학교이고 실습을 제공하는 현장교육은 기업이 제공하고 있으므로 직업학교 학생의 명칭도 학교에서는 학생이나 현장에서는 실습생 또는 견습생이라고 한다. 실습실헙은 상공회의소에서 실시하는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직업자격증을 받게 되며 이 자격증이 없이는 취업할 수 없다.
5. 대학
1) 전문대학
10학년 졸업자가 2년제 전문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받게되는 전문대학 입학자격증 소지자가 입학할 수 있으며 3년제이다.
2) 대학
일반적으로 학술대학을 말한다. 4년제 정규교육과정을 지니고 있으며, 졸업자격은 Diplom, Magister, 1차 국가시험 합격자 등이다.
독일의 대학을 그 역사적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제1유형은 역사
11~13학년의 학력평가는 반드시 필기시험과 논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11학년 1학기에는 4개의 과목 중에서 반드시 두 개의 과목은 필기시험을 보아야 하는데 그중 한 과목은 반드시 독일어, 수학, 외국어가 되어야 한다. 11학년 2학기부터 12학년말까지 학기말에는 두개의 전공과목과 두개의 기초과목에서 필기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제13학년 1학기에는 4개의 아비투어 시험과목에 대하여 필기시험을 보아야 하며, 거기에 11학년 1학기부터 시작한 외국어에 대하여 두 개의 필기시험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 13학년 2학기까지 첫 세 개의 아비투어 시험과목과 새로이 시작한 외국어 과목에 대하여 한 번씩 필기시험을 합격해야 한다.
2) 아비투어 시험규정
아비투어 시험 규정에 의하여 김나지움 학생은 목표를 달성 했는가 어떤가를 결정한다. 왜냐하면 이 국가시험에 합격함으로써 학생에게는 일반대학 입학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13학년 2학기 말에 실시되는 아비투어 시험은 3과목은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으로, 제4아비투어 시험과목은 구술시험이 실시된다. 아비투어 시험내용은 김나지움 상급반 교육내용과 일치해야 하며, 수험생은 기본적인 원리, 견해, 학과 특유의 사고방법과 방법론 등을 증명해야 한다.
아비투어 종합 성적에는 22개의 기초코스와 8개의 전공코스의 성적이 모두 계산된다. 0점 처리된 코스의 성적은 계산되지 않는다. 종합 성적에 반영되는 코스는 반드시 12~13학년에서 배워진 것이며, 모든 코스는 3개 계열에 속하는 과목이어야 한다. 아비투어 시험과목 4개도 종합 성적에 반영되며, 필수 과목의 코스도 반영된다. 종합평가는 점수로 환산된다.
아비투어 시험 허가를 받지 못한 학생은 제13학년을 반복할 수 있으나 1학기의 성적은 반영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이때 김나지움에 머무룰수 있는 기간인 4년 이내에 가능하다. 4년이 지나도록 시험허가를 받지 못하면 그 학생은 김나지움을 떠나야 한다.
필기시험은 내용은 김나지움 상급반의 교과내용을 중심으로 부과되지만 코스 내용 범위내에서만 출제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시험 문항은 분명하게 진술되어 있고, 명료하게 한계가 주어지며, 주어진 기간내에 반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미 취급되었던 문제, 수업 시간에 다루어진 것은 안되며, 준비되지 않은 내용이라야 한다.
제2차 중앙 아비투어 위원회의 회의에서 1,2,3 아비투어 과목 필기시험과 제4차 아비투어 과목 구슬시험 결과를 점수로 환산한다. 이 제2차 회의에서는 어떤 수험생이 구술시험을 보아야 할 것인가도 결정한다. 구슬시험이 실시될 때에는 시험제목이 주어진 후 30분간의 준비기간이 주어진다. 실험, 실습, 실기로 대치되는 경우 그 준비 시간은 3시간을 넘지 못한다. 제4 아비투어 시험과목의 구술시험은 3명의 수험생이 동시에 같은 제목을 받아 구술시험을 치룰 수 있다. 구술 시험에서는 이미 치루어진 필기시험 내용에 대해서는 진술할 수 없다.
구슬시험이 모두 끝나면 중앙 아비투어 위원회는 수험생 개개인의 아비투어 영역의 시험 결과를 종합점수로 환산한다. 시험에 합격하게 되면 시험위원회는 합격통지서를 발급하여, ‘일반대학 입학자격’을 인정하게 된다.
아비투어 시험에서 과낙제의 경우에는 다음 학기가 시작될 때에 재시험을 신청해야 한다. 재시험을 신청하지 않을 때에는 아비투어 시험 전체를 다시 치루어야 한다. 두 번째 아비투어 시험은 1년 후에 허락된다. 특별한 경우에는 6개월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불합격된 아비투어 시험은 1회에 한하여 반복할 수 있다.
3) 특수학교
신체적, 정신적으로 특수성을 지닌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교육도 조직적으로 충실한 교육내용과 방법 및 과정을 마련하고 있는데 3가지 유형으로 특수학교교육을 시키고 있다. 기초학교와 보통학교에 병치하거나 특수학교를 별도로 설립하여 전일제 또는 반일제(정시제)로 운영하거나 기숙사 학교로 운영하기도 한다.
4) 기타 중등 Ⅱ단계 학교
-직업준비학년은 1년제로서 보통학교 제9학년 졸업자 또는 제10학년 졸업자로서 직업선택을 위하여 다니게 되는 학교이다. 비슷한 학교로서 직업기초학년이 있다.
-직업학교는 제9학년 졸업자가 다른 상급학교를 다니게 되지 아니할 때에 의무적으로 다니는 학교로서 직업학교에서 이론을, 현장에서 실습을 하게 되는 2원제 제도이다.
-직업보충학교는 직업학교를 마치거나 또는 다니면서 공부할 수 있는 두가지 형태로 운영되는 교과과정을 지니고 있다. 전문고등학교 진학, 또는 상급 직업학교 진학을 위한 학교이다.
-직업전문학교는 1년또는 2년제가 있으며, 2년제에는 보통학교 9학년 졸업자가, 1년제에는 10학년 졸업자가 다니게 된다.
-전문고등학교는 2년제로서 10학년 졸업자가 전문대학 진학을 위하여 입학한다.
-콜렉슐레는 제2의 대학진학의 길이다. 4년제로서 대학진학 과정이며, 직업전문교육을 위한 사전과정이기도 하다.
★ 이중 가장 중요한 학교는 직업 의무학교이다. 독일의 직업학교는 2원제로서 반드시 실습교육을 현장에서 받아야 한다. 직업학교는 실습장인 산업현장의 교육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나 사실은 직업학교는 공립학교이고 실습을 제공하는 현장교육은 기업이 제공하고 있으므로 직업학교 학생의 명칭도 학교에서는 학생이나 현장에서는 실습생 또는 견습생이라고 한다. 실습실헙은 상공회의소에서 실시하는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직업자격증을 받게 되며 이 자격증이 없이는 취업할 수 없다.
5. 대학
1) 전문대학
10학년 졸업자가 2년제 전문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받게되는 전문대학 입학자격증 소지자가 입학할 수 있으며 3년제이다.
2) 대학
일반적으로 학술대학을 말한다. 4년제 정규교육과정을 지니고 있으며, 졸업자격은 Diplom, Magister, 1차 국가시험 합격자 등이다.
독일의 대학을 그 역사적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제1유형은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