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W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기반의 홈네트워킹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REW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기반의 홈네트워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논문의 배경 및 목적

2. BREW 소개
2.1 무선인터넷 서비스
2.1.1제1세대 무선 인터넷 서비스
2.1.2 제2세대 무선 인터넷 서비스
2.1.3 무선 플랫폼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2.2 무선 단말기 플랫폼 현황
2.2.1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A. BREW의 배경
B. BREW가 안겨다 준 혜택
C. BREW의 구성요소
D. BREW API
2.2.2 XVM (eXtended Virtual Machine)
2.2.3 GVM(General Virtual Machine)
2.2.4 MAP(Mobile Application Plug-in)
2.2.5 JavaStation
2.2.6 WI-TOP
2.2.7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3. 시리얼 소개
3.1 시리얼 통신이란?
3.2 시리얼 통신 프로그램의 목적
3.2.1 통신을 하기위해 필요한 것
3.2.2 프로토콜
A. RS-232C
3.1.3 시리얼 통신 용어
A. 동기 & 비동기
B. Baud Rate

4. 구현 내용 소개
4.1 시나리오 작성
4.2 무선 인터넷을 위한 BREW 네트워크
4.2.1. INetMgr 인터페이스
4.2.2 ISocket 인터페이스
4.3 휴대폰과 홈게이트웨이 간의 통신을 위한 TCP/IP 소켓 프
로그래밍
4.3.1 소켓프로그램 개요
4.3.2 소켓 프로그래밍
4.3.3 서버용 소켓 프로그래밍 시나리오
4.3.4 클라이언트용 소켓 프로그래밍 시나리오
4.4 RS-232를 통한 홈게이트웨이와 80196 마이크로프로세서간의 통신부분
4.4.1 RS-232 시리얼 통신의 기본 설계
4.4.2 통신 클래스 CSerialPort
4.4.3 스레드
4.4.4 각 항목별 함수들 세부사항
4.4.5.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한 자료구조
4.4.6 실제 구현 부분

5. 결론

본문내용

비스
이동통신과 인터넷의 결합으로 등장한 무선 인터넷은 때와 장소의 제약을 극복한다는 점과 엄청난 규모인 음성 기반의 기존 사용자들을 바탕으로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이 이동통신 인프라에 있어서는 세계강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무선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선두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모바일 단말기 제조업과 컨텐츠 서비스업이 커다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일본의 이동 통신사 중에서도 NNT Docomo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는 i-Mode 서비스가 가장 인기를 끌고 있다. i-Mode 가 이렇게 성공한 것은 콘텐츠가 다양하고 이용료가 싸며 사용이 편리해서다. e-mail과 쇼핑은 물론이고 날씨, 위치정보, 금융, 운세, 음악, 의료상담까지 없는게 없다.
NNT Docomo는 무선인터넷(i-mode)을 처음부터 계획을 잡고 지금 같은 인기를 누릴 것이라는 생각 하에 만든 것이 아니었다. 일본은 한국보다 휴대전화의 보급이 빨랐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휴대전화가 포화상태가 되면 그 이후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한국보다 먼저 고민하게 된 것이며 이런 상황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켰으며 이는 곧 휴대폰 가입자를 급증시키는데 원인 제공했다. M-스테이지 비주얼이란 이름으로 동영상 서비스에 있어서 세계정상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세계시장을 장악하려 노력중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모바일 단말기로 다양한 게임과 양질의 컨텐츠를 이용하고, 걸어 다니면서 멀리 떨어져 있는 데스크톱 사용자들과 채팅을 하게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만 있으면 데스크톱 앞에 있지 않아도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물론 단말기에서 제약된 환경이 데스크톱과 비교할 것은 못되지만, 그와 비슷하게 욕구를 충족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의 환경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무선 인터넷은 크게 VM(Virtual Machine)기반의 다운로드 서비스와 WAP/ME 방식의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물론 본 연구에서는 BREW기반의 연구이지만 우리가 서블릿이나 JSP같은 서버 언어를 사용할 때 이들과 클라이언트를 연결시켜주는 HTML이 존재하는 것처럼 WAP의 기본 마크업 언어인 WML 또한 모바일 단말기 장비와 무선 애플리케이션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WML만으로 무선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지만 여러 단점으로 인해 다양한 VM기반의 플랫폼이 등장한다. 이는 곧 미국 Qualcomm사가 CDMA(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기기용으로 개발한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BREW이 탄생되었다.
2.1.1제1세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제는 아주 보편화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요즘 출시되는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만 보더라도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WAP(Wireless Application Potocol)와 ME(Mobile Explorer)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유선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달리 많은 것을 지원해 줄 수 없었다. 유선 인터넷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좀 더 향상된 서비스를 찾게 되었고, 이동통신사업자는 기업자들의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방법을 찾아야만 했다.
A.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은 유선 인터넷 브라우저(Explorer)와 비슷한 기능을 LCD와 메모리 용량의 한계가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하기 위해 처리 데이터 량을 간략한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컴퓨터끼리 혹은 단말기와 단말기끼리 상호 통신을 할 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주고 받기위해 필요한 약속을 규정한 것이다. 사용 언어로는 무선 단말기의 제한성과 낮은 대역폭을 갖는 이동통신에 적합한 WML(Wireless Markup Language)를 사용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기반을 두고 있다. WAP은 무선 데이터 통신, 문자메세지(SMS)등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안전한 응용과 통신/계층적이고 확장 가능한 구조/단말기 지원의 효율적인 사용인 최적화등 범용성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표준이 되고 있다.
B. ME(Mobile Explorer)
ME는 마이크로 소프트웨어사가 이동전화 단말기용으로 개발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이다. ME는 컨텐츠 기술언어로 HTML를 간략하게 한 부분집합인 mHTML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유선 인터넷의 HTML 문서 표기가 가능하다.
WAP과는 달리 게이트웨이가 필요 없기 때문에 기존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서버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며 유선 인터넷과 비슷하게 쿠키, 북마크 또한 지원이 가능하다. ME(Mobile Explorer)는 HTML과 WAP을 동시에 지원했다. 국내 통신업체들 중 KTF가 ME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C. i-mode(W3C표준)
일본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한 가지. 1990년부터 일본 NTT 도코모사가 제공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로서 휴대폰 단말기보다 3-4배 정도 큰 액정 화면의 아이모드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정보 검색, 전자우편 송수신, 채팅 등은 물론이고 게임, 영화, 연예 정보, 티켓 구입, 쇼핑, 금융, 음악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며, 다양한 컬러가 표현되는 액정 화면을 가지고 있다. 사용 언어는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의 축약형인 cHTML이며, 기존 웹 사이트를 자유자재로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속 방법도 웹 사이트 주소를 일일이 입력하는 대신 단축 버튼을 사용하므로 간편하다. 다만 다른 통신 방식과는 작동되지 않고 같은 서비스 장비에서만 가능하다.
2.1.2 제2세대 무선 인터넷 서비스
2세대 무선 인터넷 환경은 VM 기반의 플랫폼을 채택하고 있다. VM 기반 플랫폼은 무선 인터넷 서버에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방식으로 가상 머신(VM)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적은 비용이 들며, 무선 데
  • 가격4,5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10.04.1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