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용 의자 디자인 시, 인간공학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1) 행동적 측면
(2) 인간공학적인 치수 계획
(3) 재료 및 색채
1) 재료
2) 색채
3) 심리적 측면
2. 인간공학의 연구 분석 방법
(1) 제품분석(merchandised analysis method)에 의한 방법
(2) 소비자조사(consumer researching method)에 의한 방법
(3) 반응조사(reaction and interaction method)에 의한 방법
(4) 제품의 파손도 조사에 의한 방법
(5) 그 밖의 방법
(6) 검토항목표(checklist)에 의한 방법
1) 작업공간(work space)
2) 작업방법(work method)
3) 환경부담(environmental load)
4) 작업의 조직(organization of the work)
5) 기능적 부담과 종합적 부담(functional and integral load)
6) 시스템의 출력(system output)
7) 평가
3. 착시현상 (도형, 색채)
(1) 착시현상의 정의 - 시각적인 착각 현상
(2) 도형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3) 색채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4. 동선절약의 원리
(1) 효율적인 수납
(2) 동선을 줄이는 가구 배치
(1) 행동적 측면
(2) 인간공학적인 치수 계획
(3) 재료 및 색채
1) 재료
2) 색채
3) 심리적 측면
2. 인간공학의 연구 분석 방법
(1) 제품분석(merchandised analysis method)에 의한 방법
(2) 소비자조사(consumer researching method)에 의한 방법
(3) 반응조사(reaction and interaction method)에 의한 방법
(4) 제품의 파손도 조사에 의한 방법
(5) 그 밖의 방법
(6) 검토항목표(checklist)에 의한 방법
1) 작업공간(work space)
2) 작업방법(work method)
3) 환경부담(environmental load)
4) 작업의 조직(organization of the work)
5) 기능적 부담과 종합적 부담(functional and integral load)
6) 시스템의 출력(system output)
7) 평가
3. 착시현상 (도형, 색채)
(1) 착시현상의 정의 - 시각적인 착각 현상
(2) 도형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3) 색채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4. 동선절약의 원리
(1) 효율적인 수납
(2) 동선을 줄이는 가구 배치
본문내용
경부담(environmental load)
4) 작업의 조직(organization of the work)
5) 기능적 부담과 종합적 부담(functional and integral load)
6) 시스템의 출력(system output)
7) 평가
[반응 조사의 목표와 항목]
알고자 하는 목표
심신반응을 보는 항목
육체적인 작업량의 크기
1.소비열량
2.에너지대사율
3.일정시간 동안의 맥박수
4.호흡량
5.산소소비량
정신적 불안정
정신전류반사
근육활동의 유무
근전도(筋電圖)
혈관압박. 충혈. 부종
1.그 부위 주위의 변화
2.피부의 파장별 광반사
3.용적(容積)맥파(脈波)
시선의 움직임
1.안구운동의 기록(서보릭크:servolick)
2.안근전도(眼筋全道)
3.아이카메라(eye camera)
신체 손, 발의 움직임
1.안구운동의 기록(서보릭크:servolick)
2.안근전도(眼筋全道)
3.아이카메라(eye camera)
긴장도
1.후리카 치(値)
2.맥박수
3.뇌파
4.긴장계수
5.레만의 긴장도
시간적 요소
1.디지털카운터(digital counter)측정
2.스톱위치(stop watch)측정
3.기록지로부터 산정(算定)
4.타이머(timer)측정
환경조건(고온,저온,명도,진동,소음,저압,고압,동요,색채)
1.발한(發汗)량(量)
2.떨림
3.눈동자의 크기
4.시력, 맥박수, 호흡수
5.청력
6.맥박, 후리카 치, 뇌파
7.맥박, 혈액산소포화도
8.혈압, 자율신경기능
9.파장별 감도 분포곡선, 뇌파
힘의 강약
1.조작력
2.신체의 움직임
3.근전도(筋電圖)
3. 착시현상 (도형, 색채)
- (1) 착시현상의 정의 - 시각적인 착각 현상
사물의 객관적인 성질(크기 ·형태 ·빛깔 등의 성질)과 눈으로 본 성질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의 시각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차이는 항상
존재하므로 보통은 양자의 차이가 특히 큰 경우를 착시라고 한다.
따라서 착시의 현상은 시각 일반에 통하는 원리에 따르는 것이므로,
착시의 연구는 시각의 일반원리를 구명하는 것에 연결된다.
착시로는 기하학적 착시, 원근(遠近)의 착시, 가현운동(假現運動),
밝기나 빛깔의 대비, 요구나 태도에 입각하는 착시 등이 있다.
영화처럼 조금씩 다른 정지한 영상을 잇달아 제시하면 연속적인 운동으로
보이는 가현운동, 주위의 밝기나 빛깔에 따라 중앙부분의 밝기나 빛깔이
반대방향으로 치우쳐서 느껴지는 밝기와 빛깔의 대비, 공복시에는
다른 것을 그린 그림을 음식물의 그림으로 잘못 보는, 이른바 요구에
입각하는 시각의 변화 등도 일종의 착시라고 할 수 있다.
(2) 도형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① 뮐러-라이어 착시 : 동일한 두 개의 선분이 화살표 머리 방향 때문에
길이가 달라져 보인다. 여기에 대한 설명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원근에
의한 것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② 에빙하우스 도형 : 원들로 둘러싸인 중앙의 원들은 객관적으로는 같
은 크기이지만 큰 원들로 둘러싸인 것이 더 작아 보인다.
③ 폰쪼착시 : 두 개의 수렴하는 선 내부에 두 개의 길이가 같은 선분을
놓으면 뒤에 있는 것이 더 길어 보인다. 이것은 원근에 의한 효과이다.
④ 뮌스터버그 도형 : 그림을 보면 정사각형들이 엇갈려 맞물려 있는 중
앙의 직선은 객관적으로는 바깥의 두 수직선과 평행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보인다.
⑤ 허만 도형 : 검은색 사각형들을 가까이서 보자. 사각형들을 보는 동안
검은 사각형에 의해 생기는 흰색 선들의 교차점에서 특이한 것을 볼 수
있다.
(3) 색채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① 명도대비 : 밤에 차도 중앙선에 사람이 서 있으면 엇갈려 달려오는 자
동차 불빛 때문에 사람이 잘 보이지 않는다. 또 칠판에 쓰여 있는 글씨가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실체가 달라 보이는 사례다.
② 색채대비 : 명도는 흰색에서 검정색까지의 범위를 나누어 단계를 매긴
값이다. 그런데 같은 명도를 가진 회색이라도 주위의 명도가 틀릴 경우
실제 명도와 다르게 보인다. 색깔 역시 배경색에 따라 달라 보인다.
③ 이런 현상을 이해한다면 미술 전람회에서 벽이 흰색으로 칠해진 이유
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흰색은 명도가 가장 높은 무채색이다. 따라서
작품들의 색채는 보다 선명하게 드러나기 마련이다. 인상파 화가들은 윤
곽선에 보색을 사용함으로써 색을 보다 더 생생하게 보이게 만들었다.
이 효과들은 망막에 있는 세포들이 ‘외측억제’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외측억제란 한 세포가 반응할 때 그 옆에 있는 세포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검은색에 둘러싸인 회색 도형의 경우 망막 세포의 일부는 회
색을 바라보지만, 다른 일부는 배경으로부터 오는 파장을 인지한다. 이
때 배경을 보는 망막 세포는 회색 도형을 보는 세포를 더욱 흥분시켜 도
형은 더욱 뚜렷해 보인다. 반대로 흰색 배경을 바라보는 세포는 회색 도
형을 보는 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같은 회색이라도 상대적으로 흐려 보인다. 명도대비는 원추세포,
그리고 색채대비는 간상세포에서 다양한 외측억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4. 동선절약의 원리
(1) 효율적인 수납
효율적인 수납은 동선을 축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의 공간 효율을 높인다. 수납 계획은 수납되어질 물품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데,
물품들이 사용되는 위치, 빈도, 크기, 무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2) 동선을 줄이는 가구 배치
예를 들어 주방을 살펴보자. 주방은 주부의 작업동선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좁은 의미에서는 요리할 수 있는 조리대의 위
치가 동선을 줄일 수 있도록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배선대 순으로 기
능적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넓은 의미에서는 식탁과 아이방, 세탁실로 이
어지는 곳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방가구는 조리대, 싱크대, 가스레인지, 오븐, 수납장, 배기후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방가구가 어떻게 놓이느냐에 동선을 줄일 수 있 는데 동선을 줄일 수 있는 가구 배치 방법으로는 -자형, ㄱ자형, ㄷ자형,
병렬형으로 나뉜다.
4) 작업의 조직(organization of the work)
5) 기능적 부담과 종합적 부담(functional and integral load)
6) 시스템의 출력(system output)
7) 평가
[반응 조사의 목표와 항목]
알고자 하는 목표
심신반응을 보는 항목
육체적인 작업량의 크기
1.소비열량
2.에너지대사율
3.일정시간 동안의 맥박수
4.호흡량
5.산소소비량
정신적 불안정
정신전류반사
근육활동의 유무
근전도(筋電圖)
혈관압박. 충혈. 부종
1.그 부위 주위의 변화
2.피부의 파장별 광반사
3.용적(容積)맥파(脈波)
시선의 움직임
1.안구운동의 기록(서보릭크:servolick)
2.안근전도(眼筋全道)
3.아이카메라(eye camera)
신체 손, 발의 움직임
1.안구운동의 기록(서보릭크:servolick)
2.안근전도(眼筋全道)
3.아이카메라(eye camera)
긴장도
1.후리카 치(値)
2.맥박수
3.뇌파
4.긴장계수
5.레만의 긴장도
시간적 요소
1.디지털카운터(digital counter)측정
2.스톱위치(stop watch)측정
3.기록지로부터 산정(算定)
4.타이머(timer)측정
환경조건(고온,저온,명도,진동,소음,저압,고압,동요,색채)
1.발한(發汗)량(量)
2.떨림
3.눈동자의 크기
4.시력, 맥박수, 호흡수
5.청력
6.맥박, 후리카 치, 뇌파
7.맥박, 혈액산소포화도
8.혈압, 자율신경기능
9.파장별 감도 분포곡선, 뇌파
힘의 강약
1.조작력
2.신체의 움직임
3.근전도(筋電圖)
3. 착시현상 (도형, 색채)
- (1) 착시현상의 정의 - 시각적인 착각 현상
사물의 객관적인 성질(크기 ·형태 ·빛깔 등의 성질)과 눈으로 본 성질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의 시각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차이는 항상
존재하므로 보통은 양자의 차이가 특히 큰 경우를 착시라고 한다.
따라서 착시의 현상은 시각 일반에 통하는 원리에 따르는 것이므로,
착시의 연구는 시각의 일반원리를 구명하는 것에 연결된다.
착시로는 기하학적 착시, 원근(遠近)의 착시, 가현운동(假現運動),
밝기나 빛깔의 대비, 요구나 태도에 입각하는 착시 등이 있다.
영화처럼 조금씩 다른 정지한 영상을 잇달아 제시하면 연속적인 운동으로
보이는 가현운동, 주위의 밝기나 빛깔에 따라 중앙부분의 밝기나 빛깔이
반대방향으로 치우쳐서 느껴지는 밝기와 빛깔의 대비, 공복시에는
다른 것을 그린 그림을 음식물의 그림으로 잘못 보는, 이른바 요구에
입각하는 시각의 변화 등도 일종의 착시라고 할 수 있다.
(2) 도형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① 뮐러-라이어 착시 : 동일한 두 개의 선분이 화살표 머리 방향 때문에
길이가 달라져 보인다. 여기에 대한 설명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원근에
의한 것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② 에빙하우스 도형 : 원들로 둘러싸인 중앙의 원들은 객관적으로는 같
은 크기이지만 큰 원들로 둘러싸인 것이 더 작아 보인다.
③ 폰쪼착시 : 두 개의 수렴하는 선 내부에 두 개의 길이가 같은 선분을
놓으면 뒤에 있는 것이 더 길어 보인다. 이것은 원근에 의한 효과이다.
④ 뮌스터버그 도형 : 그림을 보면 정사각형들이 엇갈려 맞물려 있는 중
앙의 직선은 객관적으로는 바깥의 두 수직선과 평행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보인다.
⑤ 허만 도형 : 검은색 사각형들을 가까이서 보자. 사각형들을 보는 동안
검은 사각형에 의해 생기는 흰색 선들의 교차점에서 특이한 것을 볼 수
있다.
(3) 색채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
① 명도대비 : 밤에 차도 중앙선에 사람이 서 있으면 엇갈려 달려오는 자
동차 불빛 때문에 사람이 잘 보이지 않는다. 또 칠판에 쓰여 있는 글씨가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실체가 달라 보이는 사례다.
② 색채대비 : 명도는 흰색에서 검정색까지의 범위를 나누어 단계를 매긴
값이다. 그런데 같은 명도를 가진 회색이라도 주위의 명도가 틀릴 경우
실제 명도와 다르게 보인다. 색깔 역시 배경색에 따라 달라 보인다.
③ 이런 현상을 이해한다면 미술 전람회에서 벽이 흰색으로 칠해진 이유
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흰색은 명도가 가장 높은 무채색이다. 따라서
작품들의 색채는 보다 선명하게 드러나기 마련이다. 인상파 화가들은 윤
곽선에 보색을 사용함으로써 색을 보다 더 생생하게 보이게 만들었다.
이 효과들은 망막에 있는 세포들이 ‘외측억제’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외측억제란 한 세포가 반응할 때 그 옆에 있는 세포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검은색에 둘러싸인 회색 도형의 경우 망막 세포의 일부는 회
색을 바라보지만, 다른 일부는 배경으로부터 오는 파장을 인지한다. 이
때 배경을 보는 망막 세포는 회색 도형을 보는 세포를 더욱 흥분시켜 도
형은 더욱 뚜렷해 보인다. 반대로 흰색 배경을 바라보는 세포는 회색 도
형을 보는 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같은 회색이라도 상대적으로 흐려 보인다. 명도대비는 원추세포,
그리고 색채대비는 간상세포에서 다양한 외측억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4. 동선절약의 원리
(1) 효율적인 수납
효율적인 수납은 동선을 축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의 공간 효율을 높인다. 수납 계획은 수납되어질 물품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데,
물품들이 사용되는 위치, 빈도, 크기, 무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2) 동선을 줄이는 가구 배치
예를 들어 주방을 살펴보자. 주방은 주부의 작업동선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좁은 의미에서는 요리할 수 있는 조리대의 위
치가 동선을 줄일 수 있도록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배선대 순으로 기
능적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넓은 의미에서는 식탁과 아이방, 세탁실로 이
어지는 곳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방가구는 조리대, 싱크대, 가스레인지, 오븐, 수납장, 배기후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방가구가 어떻게 놓이느냐에 동선을 줄일 수 있 는데 동선을 줄일 수 있는 가구 배치 방법으로는 -자형, ㄱ자형, ㄷ자형,
병렬형으로 나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