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표 주제 : 사이버 교수-학습의 이해와 활용
♠주제 선정의 이유
♠학습 목표
♠목차
<사이버 교수-학습의 이해와 활용>
제 1 절 사이버 교수-학습의 의미
제 10 장 사이버 교수-학습의 이해와 활용
제 1 절 사이버 교수-학습의 의미
1. 사이버 학습의 의미
2. 사이버 교수의 의미
제 2 절 사이버 교수-학습의 구성과 활용
1. 사이버 교수-학습의 구성
2. 사이버 교수-학습의 활용
▷▶▷▶사이버 교수-학습의 결론..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평가
♠토론 과제
◎ 참고자료
1. 사이버 학습의 사례
< 국내의 사례 >
< 국외의 사례 >
2. 현재의 사이버 교육의 현황
3. 사이버교육의 앞으로의 과제 및 대처방안
♠주제 선정의 이유
♠학습 목표
♠목차
<사이버 교수-학습의 이해와 활용>
제 1 절 사이버 교수-학습의 의미
제 10 장 사이버 교수-학습의 이해와 활용
제 1 절 사이버 교수-학습의 의미
1. 사이버 학습의 의미
2. 사이버 교수의 의미
제 2 절 사이버 교수-학습의 구성과 활용
1. 사이버 교수-학습의 구성
2. 사이버 교수-학습의 활용
▷▶▷▶사이버 교수-학습의 결론..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평가
♠토론 과제
◎ 참고자료
1. 사이버 학습의 사례
< 국내의 사례 >
< 국외의 사례 >
2. 현재의 사이버 교육의 현황
3. 사이버교육의 앞으로의 과제 및 대처방안
본문내용
1 학습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www.edupia.com : 에듀피아
-학습지 회사로 유명한 (주)대교의 홈페이지로 현재는 유아,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심으로 각 과목별 교과 학습 자료 및 다양한 형태의 문항을 제공하고, 각종 평가를 대비한 문제은행을 서비스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uniweb.unitel.co.kr : 사이버 하이 스쿨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컴퓨터 통신 유니텔이 구축한 종합 가상고등학교 사이트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진이 개발한 전자교과서를 교재로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14개 과목 학습교재가 수록되어있다.
▶www.ds.co.kr : 디지털 대성
-입시전문학원이 대성학원이 운영중인 사이트이고 대학 입시에 관한 여러 정보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 대학교의 사이버 교육의 현황
▶열린 사이버 대학
1998년 9월 1일 교육부가 선정한 가상대학 실험운영기관으로 강릉대학교, 공주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하대학교, 인제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충북대학교가 참여대학교가 되어서 2000년 1학기160강좌로 3만 5천명이 수강하였다. 참여대학간의 학점 교류를 인정하였다.
▶한국가상대학연합
1998년 12월 교육부가 선정한 가상대학 실험운영기관으로 경북대학교, 경성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대구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 한국방송대학교, 한양대학교가 참여대학교로 구성되었고, 참여대학간의 학점 교류를 인정하였다.
▶나우누리 Cyber Campus
pc통신 서비스 업체인 나우누리에서 운영중인 가상대학으로 참여대학은 명지대학교, 경기대학교, 중앙대학교, 고려대학교, 대진대학교, 가천길대학, 장안대학, 현대전문학교가 있다.
▶서울 사이버 디자인대학
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의 디자인 관련 학과가 중심이 되어 1998년 가상대학 시범대학으로 선정하여 운영되었다.
▶부울가상대학
1998년 사이버대학 시범운영기관으로 선정되어 부산과 울산 지역의 동명정보대학교, 동아대학교, 부산대학교, 울산대학교의 4개학교가 참여하였고, 대학간의 학점은 인정되진 않았다.
▶한국대학가상교육연합(KCU)
1998년 교육부가 선정한 사이버대학 실험운영기관으로 강남대학교,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경기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상대학교, 경주대학교, 계명대학교, 관동대학교, 광운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전산업대학교, 대진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양대학교, 명지대학교, 목원대학교, 배재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세종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영남대학교, 우석대학교, 울산대학교, 원광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중앙대학교, 창원대학교, 한남대학교, 한양대학교, 호남대학교가 참여하여 무궁화위성과 인터넷망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고 회원대학의 위성 강의실에서 원격 강의를 받을 수 있다.
▶단일 대학이 사이버학교를 운영하는 경우(1998년 기준)
-숙명여자대학교 가상교육센터(snow.sookmyoung.ac.kr)
-서울대학교 가상대학(snuvc.snu.ac.kr)
-동국대학교 가상대학(cyber.dongguk.edu)
-서강대학교 멀티넷(multinet.sogang.ac.kr)
-경상대학교 가상대학(vu.gsnu.ac.kr)
-충남대학교 사이버캠퍼스(business.cnu.ac.kr/~cybercnu
-영진전문대
-한국외국어대학교
3. 사이버교육의 앞으로의 과제 및 대처방안
1) 정보통신 인프라
-접속이 불량하거나 서버의 다운, 속도의 느림으로 학생들의 많은 불만이 제기되었다.
-정보통신 인프라의 미비 → 컨텐츠 제작에 많은 제약 → 정보전달력의 열악
대처방안 : 초고속 통신망의 일반가정과 학교에 보급한다.
2) 컴퓨터 사용 능력
-교실 교육을 들을 수 있는 언어능력과 같이 필수적인 능력이다.
-어느 정도의 컴퓨터 사용능력을 갖고 있지 않으면 사이버 교육은 힘들어 진다.
-대처방안 : 컴퓨터 교육을 통한 수요자의 컴퓨터 사용능력을 강화한다. PC방이나 일선학교의 컴퓨터를 적극 활용한다.
3) 컨텐츠
-사이버 교육은 웹에서 이루어지는데 컴퓨터 화면을 통해 자료를 읽는 것은 어렵다.
-대처방안 : 정부에서 더 나은 컨텐츠를 지원해 주어야 한다.
4) 상호작용
-학생들과 학생, 교수와 학생, 학생과 컨텐츠간의 상호작용에서 특히 교수의 느린 피드백이나 교수의 피드백에 대한 태만이 학생들에게 불만을 가져온다.
대처방안 : 가르치는 쪽에서 공격적인 수업을 하고 학생 역시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임해야 한다.
5) 적합한 분야
-실험실습이나 현장학습과 같은 분야는 부적합하다.
-대처방안 : 정부의 지원이 요청된다.
6) 교과 내용 및 교육과정 설계
-사이버 교육의 역사가 ㅖ음으로 인해서 적정한 교과 내용 및 교육 내용이 미비하다.
-대처방안 : 교과 내용 및 교육과정을 올바르게 설정하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7) 지원체제
-강의안의 홈페이지 구성과 고급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지원, 그리고 학생들의 기술적인 자문을 위한 Help desk가 필요하다.
-대처방안 : 교수자의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학생 역시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 또 운영자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8) 동기
-사이버 교육이 학생들의 수업 포기가 발생하기 쉽고 교사의 경우는 수업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가상교육을 회피할 가능성이 크다.
-대처방안 : 빠른 질문 및 답변, 그룹토의, 필요한 자료의 공유를 통한 보통의 교실 교육에서 가질 수 없었던 혜택으로 보충하여야 한다.
9) 평가
-시험을 통한 평가를 할 때 부정행위를 할 가능성이 크다.
-대처방안 : 인터넷상에서 본인임을 확인하고 개별적으로 시험을 치르고 있는지, 부정행위를 하지 않는지에 대해서 확증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10) 개인별 성취수준을 고려한 강의 진행
-학생 자신이 스스로 참여하지 않을 경우 학생 개개인의 통제가 교실 교육보다 어려워진다.
-대처방안 : 모니터링을 통해 학생 개개인에 대한 참여도와 성취도를 점검한다.
▶www.edupia.com : 에듀피아
-학습지 회사로 유명한 (주)대교의 홈페이지로 현재는 유아,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심으로 각 과목별 교과 학습 자료 및 다양한 형태의 문항을 제공하고, 각종 평가를 대비한 문제은행을 서비스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uniweb.unitel.co.kr : 사이버 하이 스쿨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컴퓨터 통신 유니텔이 구축한 종합 가상고등학교 사이트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진이 개발한 전자교과서를 교재로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14개 과목 학습교재가 수록되어있다.
▶www.ds.co.kr : 디지털 대성
-입시전문학원이 대성학원이 운영중인 사이트이고 대학 입시에 관한 여러 정보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 대학교의 사이버 교육의 현황
▶열린 사이버 대학
1998년 9월 1일 교육부가 선정한 가상대학 실험운영기관으로 강릉대학교, 공주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하대학교, 인제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충북대학교가 참여대학교가 되어서 2000년 1학기160강좌로 3만 5천명이 수강하였다. 참여대학간의 학점 교류를 인정하였다.
▶한국가상대학연합
1998년 12월 교육부가 선정한 가상대학 실험운영기관으로 경북대학교, 경성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대구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 한국방송대학교, 한양대학교가 참여대학교로 구성되었고, 참여대학간의 학점 교류를 인정하였다.
▶나우누리 Cyber Campus
pc통신 서비스 업체인 나우누리에서 운영중인 가상대학으로 참여대학은 명지대학교, 경기대학교, 중앙대학교, 고려대학교, 대진대학교, 가천길대학, 장안대학, 현대전문학교가 있다.
▶서울 사이버 디자인대학
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의 디자인 관련 학과가 중심이 되어 1998년 가상대학 시범대학으로 선정하여 운영되었다.
▶부울가상대학
1998년 사이버대학 시범운영기관으로 선정되어 부산과 울산 지역의 동명정보대학교, 동아대학교, 부산대학교, 울산대학교의 4개학교가 참여하였고, 대학간의 학점은 인정되진 않았다.
▶한국대학가상교육연합(KCU)
1998년 교육부가 선정한 사이버대학 실험운영기관으로 강남대학교,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경기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상대학교, 경주대학교, 계명대학교, 관동대학교, 광운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전산업대학교, 대진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양대학교, 명지대학교, 목원대학교, 배재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세종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영남대학교, 우석대학교, 울산대학교, 원광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중앙대학교, 창원대학교, 한남대학교, 한양대학교, 호남대학교가 참여하여 무궁화위성과 인터넷망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고 회원대학의 위성 강의실에서 원격 강의를 받을 수 있다.
▶단일 대학이 사이버학교를 운영하는 경우(1998년 기준)
-숙명여자대학교 가상교육센터(snow.sookmyoung.ac.kr)
-서울대학교 가상대학(snuvc.snu.ac.kr)
-동국대학교 가상대학(cyber.dongguk.edu)
-서강대학교 멀티넷(multinet.sogang.ac.kr)
-경상대학교 가상대학(vu.gsnu.ac.kr)
-충남대학교 사이버캠퍼스(business.cnu.ac.kr/~cybercnu
-영진전문대
-한국외국어대학교
3. 사이버교육의 앞으로의 과제 및 대처방안
1) 정보통신 인프라
-접속이 불량하거나 서버의 다운, 속도의 느림으로 학생들의 많은 불만이 제기되었다.
-정보통신 인프라의 미비 → 컨텐츠 제작에 많은 제약 → 정보전달력의 열악
대처방안 : 초고속 통신망의 일반가정과 학교에 보급한다.
2) 컴퓨터 사용 능력
-교실 교육을 들을 수 있는 언어능력과 같이 필수적인 능력이다.
-어느 정도의 컴퓨터 사용능력을 갖고 있지 않으면 사이버 교육은 힘들어 진다.
-대처방안 : 컴퓨터 교육을 통한 수요자의 컴퓨터 사용능력을 강화한다. PC방이나 일선학교의 컴퓨터를 적극 활용한다.
3) 컨텐츠
-사이버 교육은 웹에서 이루어지는데 컴퓨터 화면을 통해 자료를 읽는 것은 어렵다.
-대처방안 : 정부에서 더 나은 컨텐츠를 지원해 주어야 한다.
4) 상호작용
-학생들과 학생, 교수와 학생, 학생과 컨텐츠간의 상호작용에서 특히 교수의 느린 피드백이나 교수의 피드백에 대한 태만이 학생들에게 불만을 가져온다.
대처방안 : 가르치는 쪽에서 공격적인 수업을 하고 학생 역시 적극적인 자세로 학습에 임해야 한다.
5) 적합한 분야
-실험실습이나 현장학습과 같은 분야는 부적합하다.
-대처방안 : 정부의 지원이 요청된다.
6) 교과 내용 및 교육과정 설계
-사이버 교육의 역사가 ㅖ음으로 인해서 적정한 교과 내용 및 교육 내용이 미비하다.
-대처방안 : 교과 내용 및 교육과정을 올바르게 설정하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7) 지원체제
-강의안의 홈페이지 구성과 고급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지원, 그리고 학생들의 기술적인 자문을 위한 Help desk가 필요하다.
-대처방안 : 교수자의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학생 역시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 또 운영자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8) 동기
-사이버 교육이 학생들의 수업 포기가 발생하기 쉽고 교사의 경우는 수업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가상교육을 회피할 가능성이 크다.
-대처방안 : 빠른 질문 및 답변, 그룹토의, 필요한 자료의 공유를 통한 보통의 교실 교육에서 가질 수 없었던 혜택으로 보충하여야 한다.
9) 평가
-시험을 통한 평가를 할 때 부정행위를 할 가능성이 크다.
-대처방안 : 인터넷상에서 본인임을 확인하고 개별적으로 시험을 치르고 있는지, 부정행위를 하지 않는지에 대해서 확증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10) 개인별 성취수준을 고려한 강의 진행
-학생 자신이 스스로 참여하지 않을 경우 학생 개개인의 통제가 교실 교육보다 어려워진다.
-대처방안 : 모니터링을 통해 학생 개개인에 대한 참여도와 성취도를 점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