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토리지
1-1 스토리지 필요성 대두
1-2 스토리지의 개념
1-3 스토리지의 확대배경
1-4 스토리지관리의 개념
1-5 스토리지관리의 기술적 분야
2. 물리적 통합 스토리지
2-1 DAS(Direct Attached Storage)
-DAS의 정의
-DAS의 장점
-DAS의 한계
2-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NAS의 정의
-NAS의 장점
-NAS의 한계
-NAS의 용도
2-3 SAN(Storage Area Network)
-SAN의 정의
-SAN의 장점
-SAN의 단점
2-4 SAN과 NAS 통합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
3.논리적 통합 스토리지
3-1 가상화
-기술적정의
-스토리지 가상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10가지
-스토리지 가상화의 미래
-가상화 솔루션이 동일하게 구현되기 위해 점검해 볼 사항
4.ILM(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1-1 스토리지 필요성 대두
1-2 스토리지의 개념
1-3 스토리지의 확대배경
1-4 스토리지관리의 개념
1-5 스토리지관리의 기술적 분야
2. 물리적 통합 스토리지
2-1 DAS(Direct Attached Storage)
-DAS의 정의
-DAS의 장점
-DAS의 한계
2-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NAS의 정의
-NAS의 장점
-NAS의 한계
-NAS의 용도
2-3 SAN(Storage Area Network)
-SAN의 정의
-SAN의 장점
-SAN의 단점
2-4 SAN과 NAS 통합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
3.논리적 통합 스토리지
3-1 가상화
-기술적정의
-스토리지 가상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10가지
-스토리지 가상화의 미래
-가상화 솔루션이 동일하게 구현되기 위해 점검해 볼 사항
4.ILM(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본문내용
-목차-
1. 스토리지
1-1 스토리지 필요성 대두
1-2 스토리지의 개념
1-3 스토리지의 확대배경
1-4 스토리지관리의 개념
1-5 스토리지관리의 기술적 분야
2. 물리적 통합 스토리지
2-1 DAS(Direct Attached Storage)
-DAS의 정의
-DAS의 장점
-DAS의 한계
2-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NAS의 정의
-NAS의 장점
-NAS의 한계
-NAS의 용도
2-3 SAN(Storage Area Network)
-SAN의 정의
-SAN의 장점
-SAN의 단점
2-4 SAN과 NAS 통합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
3.논리적 통합 스토리지
3-1 가상화
-기술적정의
-스토리지 가상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10가지
-스토리지 가상화의 미래
-가상화 솔루션이 동일하게 구현되기 위해 점검해 볼 사항
4.ILM(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1.스토리지
1-1 스토리지의 필요성 대두
인터넷의 발달과 정보의 디지털화가 사회 각 분야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의 중요성과 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이 처리, 보관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폭증하고 있다. 단편적인 예로 기업의 경영상의 초점의 변화로 인한 CRM의 도입으로 인해 고객에 대한 세세한 자료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서버(sever)의 주변기기로 인식되어 온 스토리지(storage)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경제불황은 각 기업의 IT투자를 급속히 감소시키고 기업들은 투자대비효과(ROI)와 총소유비용(TCO)을 고려한 투자를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보관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날로 증가하고 또한 기업의 IT관리자들은 저비용이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이기종 환경에서 업체별 제품에 관계없이 하나의 콘솔에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는 경향이다. 이는 최근의 IT환경이 전산시스템 투자비를 최소화하면서 기존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버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서버의 능력에 한계가 있게
된다. 서버의 한계를 넘는 많은 사용자들이 정보에 접속하려 한다면 서버에 병목현상이 나
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로 기업의 정보시스템부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각 사업부별 파일
서버의 스토리지를 이중화하는 것보다는 스토리지 통합을 통해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게 된다. 즉 전산환경을 서버와 스토리지가 직접 맞붙는
DAS(Direct Attached Storage)형태로 운영해도 별무리가 없었으나 기업들이 e비지니스 시
대에 접어들면서 고객에 대한 데이터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가 서버마다 따로 저장
되고 여러 개의 서버가 동시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원시 형태의 전산 환경으로는 시
대의 흐름을
1. 스토리지
1-1 스토리지 필요성 대두
1-2 스토리지의 개념
1-3 스토리지의 확대배경
1-4 스토리지관리의 개념
1-5 스토리지관리의 기술적 분야
2. 물리적 통합 스토리지
2-1 DAS(Direct Attached Storage)
-DAS의 정의
-DAS의 장점
-DAS의 한계
2-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NAS의 정의
-NAS의 장점
-NAS의 한계
-NAS의 용도
2-3 SAN(Storage Area Network)
-SAN의 정의
-SAN의 장점
-SAN의 단점
2-4 SAN과 NAS 통합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
3.논리적 통합 스토리지
3-1 가상화
-기술적정의
-스토리지 가상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10가지
-스토리지 가상화의 미래
-가상화 솔루션이 동일하게 구현되기 위해 점검해 볼 사항
4.ILM(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1.스토리지
1-1 스토리지의 필요성 대두
인터넷의 발달과 정보의 디지털화가 사회 각 분야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의 중요성과 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이 처리, 보관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폭증하고 있다. 단편적인 예로 기업의 경영상의 초점의 변화로 인한 CRM의 도입으로 인해 고객에 대한 세세한 자료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서버(sever)의 주변기기로 인식되어 온 스토리지(storage)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경제불황은 각 기업의 IT투자를 급속히 감소시키고 기업들은 투자대비효과(ROI)와 총소유비용(TCO)을 고려한 투자를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보관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날로 증가하고 또한 기업의 IT관리자들은 저비용이며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이기종 환경에서 업체별 제품에 관계없이 하나의 콘솔에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는 경향이다. 이는 최근의 IT환경이 전산시스템 투자비를 최소화하면서 기존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버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서버의 능력에 한계가 있게
된다. 서버의 한계를 넘는 많은 사용자들이 정보에 접속하려 한다면 서버에 병목현상이 나
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로 기업의 정보시스템부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각 사업부별 파일
서버의 스토리지를 이중화하는 것보다는 스토리지 통합을 통해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게 된다. 즉 전산환경을 서버와 스토리지가 직접 맞붙는
DAS(Direct Attached Storage)형태로 운영해도 별무리가 없었으나 기업들이 e비지니스 시
대에 접어들면서 고객에 대한 데이터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가 서버마다 따로 저장
되고 여러 개의 서버가 동시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원시 형태의 전산 환경으로는 시
대의 흐름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