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본문내용
아진다. 신장 기능의 증가로 당, 비타민 B12, 엽산, 아미노산, 요산, 그 밖의 수용성 비타민의 배출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임신 중 소변에서 당이 아놀 수도 있다. 사구체 여과율은 높아졌으나 당을 재흡수하는 신장 세뇨관의 용량은 감소하여 당이 나오므로 만일 계속 당이 나오거나 당뇨병 가족병력을 가진 경우 상세한 검사가 필요하다. 임신 중 소변에서 단백질의 배출은 증가하지 않으므로 100~300mg 이상이면 신장의 이상이 의심된다. 크레아틴, 요소질화합물의 생산량은 사구체여과율이 증가하였어도 혈장검사에서 오히려 감소하므로 임신시에 비임신의 수치를 나타내면 신장기능 장애를 의미한다. 임신 초기와 분만이 가까워졌을 때 방광자극·야뇨증·빈뇨·핍뇨가 나타나는데, 이는 임신 초 커져가는 자궁이 골반 위 복강 내로 올라가면서 방광을 압박하고, 분만이 가까워지면 태아가 골반 내로 진입하면서 자궁이 방광을 압박하기 때문이다.
※ 임부사정 중 검사실 검사(요검사 내용)
요검사는 단백질, 비뇨기계의 감염을 알기 위하여 하며, 방문시마다 정규적으로 시행한다. 표본은 아침에 처음 배뇨에서 얻는 것이 가장 좋다. 중간 배뇨를 깨끗한 용기에 받는다.
단백질 :
요에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만일 표본이 농축되었거나, 질 분비물이 섞이면 미량의 단백질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이 나타나면 신장질환이나 임신성 고혈압을 의미한다.
당 :
가끔 미량이 신장의 역치 변화로 정상 임부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계속 많은 양이 나타나면 더 상세한 검사가 필요하다.
케톤 :
지방대사 산물로 입덧이나 구토가 심할 때, 공복 시, 격렬한 운동 후 나타난다. 태아를 위태롭게 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 및 수분 섭취로 예방하여야 한다.
빌리루빈 :
적혈구 세포의 파괴로 나타나고, 요에서 빌리루빈이 나타나면 간 담낭 질환을 의미한다.
혈액 :
혈뇨는 비뇨기계의 감염, 신장질환, 표본의 질 분비물 오염을 의미한다.
백혈구 :
다량이 나오면 비뇨기계의 감염을 의미한다.
박테리아 :
비뇨기계의 염증을 의미한다. 요배양을 하여 원인균을 파악한다.
4. 태아사정 (자궁저부 높이 측정, 맥도날드Mcdonald 법칙)
자궁저부의 높이 측정으로 태아 성장과 임신기간 및 고위험요인의 확인에 도움이 되므로 방문시마다 측정해야 한다. 자궁저부 높이는 줄자를 이용해서 치골결합 절흔에서 복부중앙선을 지나 자궁저부까지의 길이를 잰다. 검사 전 방광을 비우도록 하고, 임부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머리와 어깨는 약간 상승시킨 앙와위를 취한다.
맥도날드Mcdonald 법칙은 임신 2기와 3기의 자궁저부 높이 측정에 적절하며 그 계산법은 다음과 같다.
- 자궁저부 높이(cm) × 2/7 =임신 월수
- 자궁저부 높이(cm) × 8/7 = 임신 주수
임신 20주 이전의 맥도날드 측정은 정확하지 않아 cm로 측정하지 않고 횡지(finger breadth)로 표시한다. 방문 시 마다 측정자가 다를 경우 측정치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임신 주수와 태아의 크기가 일이하지 않으면 초음파 촬영술을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한다. 저부 높이에 변화가 없거나 낮아지면 태아 성장부진을 의밀하며 과다한 증가는 다태임신이나 양수과다증을 의미한다.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비만, 양수의 양, 다태임신, 태아크기나 태세, 자궁의 기울기(경사), 측정자의 손가락 넓이 등이 있다.
5. 태아사정(태아 재태연령과 BPD: 아두 두정골간 경선)
합병증이 없는 임신에서는 태아 재태연령(fetal gestational age)은 분만예정일로 측정한다. 태아 재태연령은 임부의 마지막 월경일, 피임력, 임신검사 결과와 태동의 시작일자, 자궁저저부의 높이, 태아심음 청취일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좀더 정확한 재태연령을 추산할 때는 초음파를 이용한다. 초음파를 이용해 재태연령을 측정하는 4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아낭 직경(gestational sac dimension)측정
(LMP 후 7~8주는 낭내에, 9~10주에는 태아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Crown-rump 길이 측정(7~14주)
대퇴길이 측정(12주이후)
아두의 BPD(Biparietal diameter)아두 두정골간 경선 측정
※ 아두 두정골간 경선BPD 에 따른 재태연령(2.6~9.7cm)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2.6
13.9
4.4
19.2
6.2
25.3
8.0
32.5
2.7
14.2
4.5
19.5
6.3
25.7
8.1
32.9
2.8
14.5
4.6
19.9
6.4
26.1
8.2
33.3
2.9
14.7
4.7
20.2
6.5
26.4
8.3
33.8
3.0
15.0
4.8
20.5
6.6
26.8
8.4
34.2
3.1
15.3
4.9
20.8
6.7
27.2
8.5
34.7
3.2
15.6
5.0
21.2
6.8
27.6
8.6
35.1
3.3
15.9
5.1
21.5
6.9
28.0
8.7
35.6
3.4
16.2
5.2
21.8
7.0
28.3
8.8
36.1
3.5
16.5
5.3
22.2
7.1
28.7
8.9
36.5
3.6
16.8
5.4
22.5
7.2
29.1
9.0
37.0
3.7
17.1
5.5
22.8
7.3
29.5
9.1
37.5
3.8
17.4
5.6
23.2
7.4
29.9
9.2
38.0
3.9
17.7
5.7
23.5
7.5
30.4
9.3
38.5
4.0
18.0
5.8
23.9
7.6
30.8
9.4
38.9
4.1
18.3
5.9
24.2
7.7
31.2
9.5
39.4
4.2
18.6
6.0
24.6
7.8
31.6
9.6
39.9
4.3
18.9
6.1
25.0
7.9
32.0
9.7
40.5
6. 임신중 정상적인 산모의 체중변화와 대상자의 증가 수준 비교
임신중 최적의 체중증가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없으나 임신 중 체중증가량은 임신과정과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정상적인 임신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는 개별
※ 임부사정 중 검사실 검사(요검사 내용)
요검사는 단백질, 비뇨기계의 감염을 알기 위하여 하며, 방문시마다 정규적으로 시행한다. 표본은 아침에 처음 배뇨에서 얻는 것이 가장 좋다. 중간 배뇨를 깨끗한 용기에 받는다.
단백질 :
요에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만일 표본이 농축되었거나, 질 분비물이 섞이면 미량의 단백질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이 나타나면 신장질환이나 임신성 고혈압을 의미한다.
당 :
가끔 미량이 신장의 역치 변화로 정상 임부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계속 많은 양이 나타나면 더 상세한 검사가 필요하다.
케톤 :
지방대사 산물로 입덧이나 구토가 심할 때, 공복 시, 격렬한 운동 후 나타난다. 태아를 위태롭게 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 및 수분 섭취로 예방하여야 한다.
빌리루빈 :
적혈구 세포의 파괴로 나타나고, 요에서 빌리루빈이 나타나면 간 담낭 질환을 의미한다.
혈액 :
혈뇨는 비뇨기계의 감염, 신장질환, 표본의 질 분비물 오염을 의미한다.
백혈구 :
다량이 나오면 비뇨기계의 감염을 의미한다.
박테리아 :
비뇨기계의 염증을 의미한다. 요배양을 하여 원인균을 파악한다.
4. 태아사정 (자궁저부 높이 측정, 맥도날드Mcdonald 법칙)
자궁저부의 높이 측정으로 태아 성장과 임신기간 및 고위험요인의 확인에 도움이 되므로 방문시마다 측정해야 한다. 자궁저부 높이는 줄자를 이용해서 치골결합 절흔에서 복부중앙선을 지나 자궁저부까지의 길이를 잰다. 검사 전 방광을 비우도록 하고, 임부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머리와 어깨는 약간 상승시킨 앙와위를 취한다.
맥도날드Mcdonald 법칙은 임신 2기와 3기의 자궁저부 높이 측정에 적절하며 그 계산법은 다음과 같다.
- 자궁저부 높이(cm) × 2/7 =임신 월수
- 자궁저부 높이(cm) × 8/7 = 임신 주수
임신 20주 이전의 맥도날드 측정은 정확하지 않아 cm로 측정하지 않고 횡지(finger breadth)로 표시한다. 방문 시 마다 측정자가 다를 경우 측정치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임신 주수와 태아의 크기가 일이하지 않으면 초음파 촬영술을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한다. 저부 높이에 변화가 없거나 낮아지면 태아 성장부진을 의밀하며 과다한 증가는 다태임신이나 양수과다증을 의미한다.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비만, 양수의 양, 다태임신, 태아크기나 태세, 자궁의 기울기(경사), 측정자의 손가락 넓이 등이 있다.
5. 태아사정(태아 재태연령과 BPD: 아두 두정골간 경선)
합병증이 없는 임신에서는 태아 재태연령(fetal gestational age)은 분만예정일로 측정한다. 태아 재태연령은 임부의 마지막 월경일, 피임력, 임신검사 결과와 태동의 시작일자, 자궁저저부의 높이, 태아심음 청취일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좀더 정확한 재태연령을 추산할 때는 초음파를 이용한다. 초음파를 이용해 재태연령을 측정하는 4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아낭 직경(gestational sac dimension)측정
(LMP 후 7~8주는 낭내에, 9~10주에는 태아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Crown-rump 길이 측정(7~14주)
대퇴길이 측정(12주이후)
아두의 BPD(Biparietal diameter)아두 두정골간 경선 측정
※ 아두 두정골간 경선BPD 에 따른 재태연령(2.6~9.7cm)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2.6
13.9
4.4
19.2
6.2
25.3
8.0
32.5
2.7
14.2
4.5
19.5
6.3
25.7
8.1
32.9
2.8
14.5
4.6
19.9
6.4
26.1
8.2
33.3
2.9
14.7
4.7
20.2
6.5
26.4
8.3
33.8
3.0
15.0
4.8
20.5
6.6
26.8
8.4
34.2
3.1
15.3
4.9
20.8
6.7
27.2
8.5
34.7
3.2
15.6
5.0
21.2
6.8
27.6
8.6
35.1
3.3
15.9
5.1
21.5
6.9
28.0
8.7
35.6
3.4
16.2
5.2
21.8
7.0
28.3
8.8
36.1
3.5
16.5
5.3
22.2
7.1
28.7
8.9
36.5
3.6
16.8
5.4
22.5
7.2
29.1
9.0
37.0
3.7
17.1
5.5
22.8
7.3
29.5
9.1
37.5
3.8
17.4
5.6
23.2
7.4
29.9
9.2
38.0
3.9
17.7
5.7
23.5
7.5
30.4
9.3
38.5
4.0
18.0
5.8
23.9
7.6
30.8
9.4
38.9
4.1
18.3
5.9
24.2
7.7
31.2
9.5
39.4
4.2
18.6
6.0
24.6
7.8
31.6
9.6
39.9
4.3
18.9
6.1
25.0
7.9
32.0
9.7
40.5
6. 임신중 정상적인 산모의 체중변화와 대상자의 증가 수준 비교
임신중 최적의 체중증가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없으나 임신 중 체중증가량은 임신과정과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정상적인 임신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는 개별
추천자료
[간호][환자][환자간호][중환자][중환자실]간호의 정의, 간호 메타패러다임, 환자상태의 평가...
[간호학특론A] 교환이론적 측면에 입각하여 병원급에서의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 및 간호사의 ...
[간호중재][간호]간호중재의 정의, 비사용증후군 간호중재, 간헐적 도뇨 간호중재, 영적 간호...
[성인간호학][투석간호][투석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고위험 모아간호학 공통] 1.중환아 간호단위 특성 (환아, 가족, 환경) 설명, 간호사 능력, 태...
방사선치료간호]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의 간호,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의 간호
[성인간호학]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
간호 간호과정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정신분열증
조현병 간호 간호과정 :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결석, 외상, 혈관성 대상자 간호, 결석간호, 외상간호, 혈관성대상자간호, 신결석, 방광결석,...
<기초간호관학 2017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의 형태적 분류 염증의 국소...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입니다. (아동 간호과정) (폐렴간호과정)
기초간호과학]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영향 전신영향 종양의 병기 TNM분류방법 혈액응고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