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엽의 시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동엽의 시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신동엽의 생애

Ⅲ. 동학사상이란

Ⅳ. 三敬思想

Ⅴ. 나오는 말

본문내용

《신동엽 시 연구》, 시와 시학사, 1997.
신동엽의 시에서 경인사상은 민중에 대한 연민으로 잘 나타나는데, 이것은 전쟁 상황 속, 그리고 식민치하의 민중뿐만이 아니라 모순된 사회구조, 억압적인 지배체제 하의 민중에게도 보인다. 또한 갈수록 고도화되어 점점 인간소외의 골이 깊어지는 현대 문명 속의 민중에 대한 연민 또한 많이 드러나고 있다. 시 <종로오가>에서 이러한 점이 잘 나타난다.
국민학교를 갓 나왔을까.
새로 사 신은 운동환 벗어 품고
그 소년의 등허리선 먼 길 떠나온 고구마가
흙 묻은 얼굴들을 맞부비며 저희끼리 비에 젖고 있었다.
…중략…
그렇지.
눈녹이 바람이 부는 질척질척한 겨울날,
종묘 담을 끼고 돌다가 나는 보았어.
그의 누나였을까.
부은 한쪽 눈의 창녀가 양지 쪽 기대 앉아
속내의 바람으로, 때묻은 긴 편지를 읽고 있었지.
그리고 언젠가 보았어.
세종로 고층건물 공사장,
자갈지게 등짐하던 노동자 하나이
허리를 다쳐 쓰러져 있었지.
그 소년의 아버지였을까.
반도의 하늘 높이서 태양이 쏟아지고,
싸늘한 땀방울 뿜어낸 이마엔 세 줄기 강물.
대륙의 섬나라의
그리고 또 오늘 저 새로운 은행국의
물결이 뒹굴고 있었다.
남은 것은 없었다.
나날이 허물어져 가는 그나마 토방 한 칸.
봄이면 쑥, 여름이면 나무뿌리, 가을이면 타작마당을 휩쓰는 빈 바람.
변한 것은 없었다.
이조 오백 년은 끝나지 않았다.
옛날 같으면 북간도 라도 갔지.
기껏해야 버스길 삼백 리 서울로 왔지.
고층건물 침대 속 누워 비료광고만 뿌리는 그머리 마을,
또 무슨 넉살 꾸미기 위해 짓는지도 모를 빌딩 공사장,
도시락 차고 왔지.
- 「종로오가」부분 -
이 시는 국민학교를 갓 나온 소년이 종로에 서서 비를 맞으며 화자에게 동대문이 어디냐고 묻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 시에서 소년의 아버지로 보이는 허리 다쳐 쓰러진 노동자, 소년의 누이로 보이는 눈이 부은 창녀가 등장한다. 여기서 등장인물을 통해 신동엽은 50~60년대의 사회문제로 중요하게 지적되는 도시빈민문제를 담고 있다. “먼 길 떠나온 고구마가 흙 묻은 얼굴들을 맞부비며 저희끼리 비에 젖고 있었다.”라는 표현으로 당시 이농현상 이후 도시빈민으로 이어지는 풍경이 담겨지게 된다. 그리하여 <종로오가>에는 왜곡된 근대화의 산물인 도시의 우울과 절망이 진하게 배어난다. 일상에 찌든 도시인의 우울, 고향을 떠나 갓 상경한 소년의 피로, 창녀의 비애와 노동자의 고통 등이 교차되어 더욱 절망적으로 다가 오는 것은 파괴된 고향, 해체된 농촌 공동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연민을 그 이면에 깔고 있는 것이다.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의 전이는 사람들에게 조화로운 삶의 공간으로서의 고향을 상실케 한다. 김동수, <신동엽 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
Ⅴ. 나오는 말
결과적으로 동학의 경천사상은 현세적인 성격이 강한 사상이다. 동학학회, 《동학과 전통사상》, 모시는사람들, 2004.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이 한울이기 때문이다. 신동엽의 시에 나타나는 경천사상은 척왜, 해방, 국토애, 등의 그 시대에 대한 저항성, 민족애가 중심되어 나타난다. 경물사상은 자연과 인간은 다르지 않고, 똑같이 소중하고 존귀한 존재임을 뜻하는 것으로 그의 시에서는 현대를 반생명의 시대이며, 정신이 상실된 기능의 시대로 이해하였다. 마지막으로 그의 시에서 경인사상은 민중에 대한 연민으로 잘 나타나는데, 이것은 전쟁 상황 속, 그리고 식민치하의 민중뿐만이 아니라 모순된 사회구조, 억압적인 지배체제 하의 민중에게도 보인다. 즉 삼경사상은 유교, 도교, 불교의 사상 중 어느 한 것만을 중점으로 한 사상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경천사상은 유교의 사상을, 경물경인 사상은 도교와 불교의 사상을 닮아있다. 이렇듯 세 개의 사상을 혼합하여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나쁜 것은 버리고 새롭게 정립한 동학사상이야 말로 위정척사의 선구자라 볼 수 있고, 이 또한 국제 정치가 혼란한 현대에 있어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신동엽전집, 고세현, 창작과 비평사, 2007.
동학과 전통사상, 동학학회, 모시는사람들, 2004
신동엽 시 연구, 김창완, 시와 시학사, 1997
논문
강찬모, <김지하 시에 나타난 동학사상 연구>, 청주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6
김동수, <신동엽 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
인터넷
http://kr.blog.yahoo.com/jh3choi/MYBLOG/
http://ko.wikipedia.org/wiki/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22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