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 본 론 -
1.오행이란?
(1) 木 목
(2) 火 화
(3) 土 토
(4) 金 금
(5) 水 수
2. 음양이란?
3. 오방색이란 무엇인가?
(1) 오방색의 사상적 배경 (음양오행설)
(2) 오방색의 어원과 의미
(3) 오정색과 오간색
4. 오방색의 근원
5. 의생활 속의 오방색
(1) 전통복식
(2) 조각보
(3) 생활용품의 유물 : 오방색 주머니
(4) 천연염색
6. 식생활 속의 오방색
(1) 전통음식에서의 오방색
(2) 음식에서 색의 의미
7. 주생활 속의 오방색
(1) 단청
- 결 론 -
- 본 론 -
1.오행이란?
(1) 木 목
(2) 火 화
(3) 土 토
(4) 金 금
(5) 水 수
2. 음양이란?
3. 오방색이란 무엇인가?
(1) 오방색의 사상적 배경 (음양오행설)
(2) 오방색의 어원과 의미
(3) 오정색과 오간색
4. 오방색의 근원
5. 의생활 속의 오방색
(1) 전통복식
(2) 조각보
(3) 생활용품의 유물 : 오방색 주머니
(4) 천연염색
6. 식생활 속의 오방색
(1) 전통음식에서의 오방색
(2) 음식에서 색의 의미
7. 주생활 속의 오방색
(1) 단청
- 결 론 -
본문내용
서 론
우리의 전통색은 음양오행에 기반을 둔 우리 민족의 색채의식에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 음양이란 태양과 지구의 거리가 멀고 가까워지는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화과정으로 음양론에 의하면 하늘과 땅을 비롯한 천지만물은 모두 음양이원으로 성립한다 즉 하늘은 양, 땅은 음, 해는 양, 달은 음,낮은 양, 밤은 음, 남자는 양, 여자는 음, 길한것은 양, 훙한것은 음.. 등 천지의 모든 현상과 모든 사물을 음양으로 구분할수 있다.
오행은 음양이 조화를 이루면서 변화할 때, 그 자체 또는 변화의 결과인 목, 금 , 화, 수, 토를 말한다.
음양오행설은 중국의 상고시대부터 내려온 우주관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조 복식의 색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고 민간사상의 근간을 이루었다. 우리조상은 수천년전부터 자연으로부터 음양의 빛깔을 찾아 내고 재현하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여 왔다. 따라서 오방색은 우리 민족의 색채의식에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음양오행의 영향을 받은 오방색에 관하여 늘 들어왔으나, 진작 오방색은 무슨색이며 어느 방향이 어느 색인지? 왜 색상에 방향을 부각시켰는지? 갑자기 물음을 받으면 머뭇거릴 때가 있다. 그러나 오방색이 우리문화와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흥미를 가지면 우리민족의 색채의식에 바탕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오행이란?
(1) 木 목
봄은 오행에서 목에 해당하며 생명의 시발점이 봄에서 시작되므로 목은 곧 봄이다. 또 목이 속하는 방위는 동방으로 태양이 동쪽에서 먼저 솟아 오르고 모든 생명의 시초가 봄이기 때문이며 인생의 시작도 어린 새싹처럼 자라나는 현상을 담아놓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2) 火 화
여름은 오행에서 화에 속하며 남방에 위치한다. 나무에 꽃이 피듯 아침해가 솟아 정오에 이르듯, 봄이 지나면 뜨거운 불과 열이 지배하는 여름이 온다. 이것을 대변하는 글자가 화이다. 화는 태양의 양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3) 土 토
흙이란 지구상에서 생명의 보금자리고 생활의 근본이며 사람은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 흙은 만물을 생성하는 모성의 역할로 어머니의 자궁과 같으며 따라서 음양오행상 중앙에 해당하고 계절로는 여름과 가을의 사이에 있다.
(4) 金 금
봄에 씨를 뿌리면 뜨거운 여름 태양을 받으면서 열매를 맺는다. 그것을 가을에 거두므로 인생으로 보면 장년에 해당한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옮겨간 모습으로 금은 열매의 의미로 서방을 말하며 하루로 볼 때 저녁이 된다.
(5) 水 수
겨울이 추운 것은 태양이 멀어져서 생기는 얼음과 눈 때문으로 얼음과 눈의 속성은 물이다. 지구에 빛이 없어지니 어두운 음이 되고, 동에서 뜬 태양이 남을 거쳐 서로 지니 태양이 닿지 않는 곳이라 해서 북방을 말하며 수는 계절로는 겨울이다. 아름다운 우리의 색 pp26~27
이익의 <성호사설>에서는 ‘고공기’의 오행에 따른 색상과 중간색의 생성을 해석하고 있는데,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고 방위와 계절이 따른다. 이것은 색과 방위와 계절을 오행에 맞추어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앙과 사방을 기본으로 삼아서 오방이 설정되고, 거기에서 8방과 16방이 생성한다고 보고있다. 색상또한 방위에 따라 오색을 배정하고, 오행의 상관관계로 인하여 중간색이 나오며, 중간색에서 무한한 색조가 생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한국의 색 p109
2. 음양이란?
음양이라는 것은 생성원리의 근본이며 존재의 질서의 상징관념이다. 음양을 두 가지 원초적 세력이 우주를 지배하는데, 이들은 보완적 대립관계가 있어 더불어 작용한다. 즉 음은 어둡고 수동적이며, 양은 밝고 능동적인 속성을 보유하여 생물과 무생물의 모든 구조를 형성하는 근본이다. 또한 음속에 양이 있고 양속에 음이 있어 보완적 이원성으로 구분하여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을 연결해준다.
이와 같이 음양이 우주가 진행되는 큰 원리라 한다면, 오행은 음양이 표현되는 방법이자 진행하는 발걸음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색 p108
3. 오방색이란 무엇인가?
(1) 오방색의 사상적 배경 (음양오행설)
음양오행에서 색채체계는 동서남북 및 중앙의 오방으로 이루어지며, 이 오방에는 각 방위에 해당하는 청, 적, 황, 백, 흑의 정색(正色)이 있고, 또 정색과 정색 사이에 간색(間色)이 있다. 즉 동과 서 사이에는 벽색(碧色), 동과 중앙 사이에는 녹색(綠色), 남과 서 사이에는 홍색(紅色), 남과 북 사이에는 자색(紫色), 북과 중앙 사이에는 유황색(硫黃色)이 있다.
한국의 기본색이란 이들 다섯 가지 정색과 다섯 가지 간색을 합한 열 가지를 말한다. 한국 민족은 색체를 우주 개념과 결합시켜 색채에 의미를 부여했으며, 색채의 표현은 우주 만물의 질서와 조화를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였다.
(2) 오방색의 어원과 의미
① 청 색
청색의 우리말은 파랑으로 어근은 ‘팔’, ‘풀(草)’에서 변한 말이다. 푸른색은 전통적으로 나무, 하늘, 물, 동쪽, 탄생, 젊음, 잡귀를 물리친다는 벽사(邪), 낮은 지위 등을 의미한다.
청색은 청, 녹, 남, 벽색 등 넓은 개념으로 우리나라에서 적색 다음의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삼한시대에 청색 의복을 착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볼 때 우리의 청색사용은 상고시대부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색은 생명의 표현으로서 불행을 내
우리의 전통색은 음양오행에 기반을 둔 우리 민족의 색채의식에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 음양이란 태양과 지구의 거리가 멀고 가까워지는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화과정으로 음양론에 의하면 하늘과 땅을 비롯한 천지만물은 모두 음양이원으로 성립한다 즉 하늘은 양, 땅은 음, 해는 양, 달은 음,낮은 양, 밤은 음, 남자는 양, 여자는 음, 길한것은 양, 훙한것은 음.. 등 천지의 모든 현상과 모든 사물을 음양으로 구분할수 있다.
오행은 음양이 조화를 이루면서 변화할 때, 그 자체 또는 변화의 결과인 목, 금 , 화, 수, 토를 말한다.
음양오행설은 중국의 상고시대부터 내려온 우주관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조 복식의 색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고 민간사상의 근간을 이루었다. 우리조상은 수천년전부터 자연으로부터 음양의 빛깔을 찾아 내고 재현하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여 왔다. 따라서 오방색은 우리 민족의 색채의식에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
우리는 음양오행의 영향을 받은 오방색에 관하여 늘 들어왔으나, 진작 오방색은 무슨색이며 어느 방향이 어느 색인지? 왜 색상에 방향을 부각시켰는지? 갑자기 물음을 받으면 머뭇거릴 때가 있다. 그러나 오방색이 우리문화와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흥미를 가지면 우리민족의 색채의식에 바탕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오행이란?
(1) 木 목
봄은 오행에서 목에 해당하며 생명의 시발점이 봄에서 시작되므로 목은 곧 봄이다. 또 목이 속하는 방위는 동방으로 태양이 동쪽에서 먼저 솟아 오르고 모든 생명의 시초가 봄이기 때문이며 인생의 시작도 어린 새싹처럼 자라나는 현상을 담아놓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2) 火 화
여름은 오행에서 화에 속하며 남방에 위치한다. 나무에 꽃이 피듯 아침해가 솟아 정오에 이르듯, 봄이 지나면 뜨거운 불과 열이 지배하는 여름이 온다. 이것을 대변하는 글자가 화이다. 화는 태양의 양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3) 土 토
흙이란 지구상에서 생명의 보금자리고 생활의 근본이며 사람은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돌아간다 흙은 만물을 생성하는 모성의 역할로 어머니의 자궁과 같으며 따라서 음양오행상 중앙에 해당하고 계절로는 여름과 가을의 사이에 있다.
(4) 金 금
봄에 씨를 뿌리면 뜨거운 여름 태양을 받으면서 열매를 맺는다. 그것을 가을에 거두므로 인생으로 보면 장년에 해당한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옮겨간 모습으로 금은 열매의 의미로 서방을 말하며 하루로 볼 때 저녁이 된다.
(5) 水 수
겨울이 추운 것은 태양이 멀어져서 생기는 얼음과 눈 때문으로 얼음과 눈의 속성은 물이다. 지구에 빛이 없어지니 어두운 음이 되고, 동에서 뜬 태양이 남을 거쳐 서로 지니 태양이 닿지 않는 곳이라 해서 북방을 말하며 수는 계절로는 겨울이다. 아름다운 우리의 색 pp26~27
이익의 <성호사설>에서는 ‘고공기’의 오행에 따른 색상과 중간색의 생성을 해석하고 있는데,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고 방위와 계절이 따른다. 이것은 색과 방위와 계절을 오행에 맞추어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앙과 사방을 기본으로 삼아서 오방이 설정되고, 거기에서 8방과 16방이 생성한다고 보고있다. 색상또한 방위에 따라 오색을 배정하고, 오행의 상관관계로 인하여 중간색이 나오며, 중간색에서 무한한 색조가 생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한국의 색 p109
2. 음양이란?
음양이라는 것은 생성원리의 근본이며 존재의 질서의 상징관념이다. 음양을 두 가지 원초적 세력이 우주를 지배하는데, 이들은 보완적 대립관계가 있어 더불어 작용한다. 즉 음은 어둡고 수동적이며, 양은 밝고 능동적인 속성을 보유하여 생물과 무생물의 모든 구조를 형성하는 근본이다. 또한 음속에 양이 있고 양속에 음이 있어 보완적 이원성으로 구분하여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을 연결해준다.
이와 같이 음양이 우주가 진행되는 큰 원리라 한다면, 오행은 음양이 표현되는 방법이자 진행하는 발걸음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색 p108
3. 오방색이란 무엇인가?
(1) 오방색의 사상적 배경 (음양오행설)
음양오행에서 색채체계는 동서남북 및 중앙의 오방으로 이루어지며, 이 오방에는 각 방위에 해당하는 청, 적, 황, 백, 흑의 정색(正色)이 있고, 또 정색과 정색 사이에 간색(間色)이 있다. 즉 동과 서 사이에는 벽색(碧色), 동과 중앙 사이에는 녹색(綠色), 남과 서 사이에는 홍색(紅色), 남과 북 사이에는 자색(紫色), 북과 중앙 사이에는 유황색(硫黃色)이 있다.
한국의 기본색이란 이들 다섯 가지 정색과 다섯 가지 간색을 합한 열 가지를 말한다. 한국 민족은 색체를 우주 개념과 결합시켜 색채에 의미를 부여했으며, 색채의 표현은 우주 만물의 질서와 조화를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하였다.
(2) 오방색의 어원과 의미
① 청 색
청색의 우리말은 파랑으로 어근은 ‘팔’, ‘풀(草)’에서 변한 말이다. 푸른색은 전통적으로 나무, 하늘, 물, 동쪽, 탄생, 젊음, 잡귀를 물리친다는 벽사(邪), 낮은 지위 등을 의미한다.
청색은 청, 녹, 남, 벽색 등 넓은 개념으로 우리나라에서 적색 다음의 위치를 차지하여 왔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삼한시대에 청색 의복을 착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볼 때 우리의 청색사용은 상고시대부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색은 생명의 표현으로서 불행을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