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및 간호중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및 간호중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Myelosuppression

2.Gastrointestinal & mucosal side effects

3.EGFR inhibitor - related skin rash

4.Peripheral Neuropathy

본문내용

가슴 단순 X-ray
4) 원인균이 확인되기 전까지 Gram+/-균을 모두 포함하는 항생제 사용
5) 균배양 검사 결과 확인
② Thrombocytopenia
* 낮은 혈소판
* 혈소판(thrombocyte) 150,000-450,000 cells/㎣
☞ 출혈을 멈추게 하는 세포
☞ PLT life span (8-10 days)
* 중등도에 따른 분류
중 등 도
혈소판 수치
Mild
≥ 75,000
Moderate
50,000-74,900
Moderately severe
25,000-49,900
severe
< 25,000
ㄱ. 원인 약물
ㄴ. 위험요인
ㄷ. 대상자 교육
1) 혈소판 50,000이하 시 출혈 주의를 강조
2) 도뇨관 삽입을 해야 한다면, 작은 관을 사용, 수분섭취 권장
3)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환자라면, 식사와 함께 투여
4) 예방적 변완화제를 사용함
5)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도록 함
6) 수혈 : 혈소판 10,000 이하 또는 환자가 출혈의 증세가 있을 때 할
수 있음
cf) 뇌종양 환자의 경우 뇌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50,000이상으로 유지
해야 한다.
7) IL-11(operlvekin) 사용을 고려하기도 함
③ Anemia
* RBC life span : 120일
* Hemoglobin level - 남: 14-18 g/㎗, 여: 12-16 g/㎗
Mild anemia
Hb = 8-12 g/㎗
창백, 피로, 약간의 호흡곤란, 심계항진
Severe anemia
Hb < 8 g/㎗
두통, 어지러움, 호흡곤란, 협심증, 보상적빈맥, 빈호흡
* 분류
ㄱ. 위험요인
ㄴ. rHU-EPO
Epogen
Aranesp
⑴ chemotherapy-induced Nausea & vomiting
① 치료목적
1)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
2) 삶의 질 향상
3) 영양 상태 유지
4) 다음 치료의 지연을 예방
5) 불필요한 입원 및 외래 내원을 줄임(비용 최소화)
② 기전
1) 오심 및 구토를 일으키는 주요 구조
- 뇌간, 미주신경, 그리고 위장관계
2) 구토는 vomiting center에 의해 조절되는 다양한 반사를 포함한다
3) vomiting center는 여러 신경 통로로부터 자극을 받음
- Chemoreceptor trigger zone
- GI tract
- Vestibular system
- Cerebral cortex
③ 관련되는 신경전달 물질
Acute CINV
Delayed CINV
- 화학요법 후 첫 24시간 이내 발생
- 화학요법 후 5-6시간 내 최대강도
-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70-80%
경험
- 화학요법 후 24시간 후에 발생
- 화학요법 후 48-72시간이 최대
- Cisplatin을 투여한 환자의 80%
에서 발생
- Carboplatin, Cyclophophamide,
Doxorubicin 등에서도 Delayed
CINV 발생
④ 분류 I
⑤ 분류 II
⑥ 위험요인 I
⑦ 위험요인 II
⑧ 구토유발 정도 I
⑨ 구토유발 정도 II
High (level 5)
거의 모든 환자 (> 90%)
Moderated (level 3-4)
약 30-90%의 환자
Low (level 2)
약 10-30%의 환자
Minimal (level 1)
10% 이하의 환자
⑩ 급성 오심을 경험하는 정도
⑪ 항구토제의 종류
⑫ 구토 유발정도에 따른 항구토제 선택
⑬ 간호관리
1) 환자의 오심, 구토의 기간, 현재 증상의 형태, 투여된 항암제의 구토
유발성 정도에 따른 개별적인 증상관리가 필요
2) 오심 증상이 생기기 전에 시간에 맞춰서 항구토제를 투여하여야 함.
항구토제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 관찰이 중요
3) 식사 전에 항구토제 투여 및 식사 전,후 구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하여야 함.
4) 항구토제 사용으로 허약이나 진정효과 등의 부작용이 예상 될 수
있으므로, 보행시 보조와 침상 안정시 side rail 사용을 강조
⑵ Oral mucositis
① biological mucositis
② symptoms
1) 구강 내 점막 조직의 궤양 및 감염
2) 증상 악화시 통증을 동반하여 구강섭취가 어려워짐
3) assessment
- History
- Physical Examination
- Toxicity Scale 사용
③ WHO Oral Toxicity Scale
Grade I
- painless ulcers/erythema
- Mild soreness without lesions
Grade II
- Painful erythema, edema, or ulcers present
- can eat or swallow
Grade III
- Painful erythema/edema
- Ulcers present
- Required IV hydration
Grade IV
- Sever ulceration
- Patient requires parenteral or enteral nutrition
- Prophylactic intubation
④ NCI mucositis grading
⑤ risk factor
1) 나이 - 어릴수록 증상이 심함
2) 성별 - 여자가 증상이 심함
3) 구강건강 상태
4) 침 분비 기능
5) 영양상태
6) 신장기능
7) 흡연유무
8) 항암제 종류 : Antimetabolites, Antitumor antibiotics,
Alkylating agents
9) 용량과 주입 방법 - bolus 5-Fu is more stomatotoxic than
continuous infusion
10)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의 병행
⑥ MASC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⑦ Management
1) Bland rinses
☞ 입안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구강 내 수분공급의 목적으로 사용
☞ 자극이 적은 가글로는 0.9% saline(NS), sodium bicarbonate,
그리고 saline & sodium bicarbonate mixture가 있음
☞ 냉장 또는 실온 보관 가능하며 값이 싸다는 장점이 있음
☞ Sodium bicarbonate는 구강 내 타액의 산성도를 낮추고, 점액이
구강 내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4.2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