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조선 전기
1) 조선 전기 여성의 지위
2) 조선 전기 여성 문학
2. 조선 중기
1) 조선 중기 여성의 지위
2) 조선 중기 여성 문학
3. 조선 후기
1) 조선 후기 여성의 지위
2) 조선 후기 여성 문학
Ⅲ. 나오며
Ⅱ. 본론
1. 조선 전기
1) 조선 전기 여성의 지위
2) 조선 전기 여성 문학
2. 조선 중기
1) 조선 중기 여성의 지위
2) 조선 중기 여성 문학
3. 조선 후기
1) 조선 후기 여성의 지위
2) 조선 후기 여성 문학
Ⅲ. 나오며
본문내용
기 진이의 예술성과 문학성 그리고 재치를 엿볼 수 있다. 이후에도 황진이는 소세양에게 바치는 한시를 두 편 더 지었다.
2. 조선 중기
1) 조선 중기 여성의 지위
조선 중기에 들어서면서 여성들은 점차 성리학적 윤리관의 영향을 받게 된다. 조선 초기 비교적 자유로웠던 생활 습속이 사라지고 일상 생활고 풍속에서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구속과 제약이 따르게 된 것이다. 여성들의 문밖출입은 금지되었고 얼굴을 가리고 가마를 타고 다니는 등 각종 규제가 가해지고 여성들의 삶은 점차 남성 중심으로 변해간다.
사회적으로는 양반과 상민의 구별이 고착화되어가고 양반가의 남성들은 가문의 존립과 영예를 위해 평생을 과거급제를 위해 학문에 몸을 바쳐야 했고 양반가의 여성들은 그런 남편을 대신하여 가계를 꾸려 나가고 가부장제적인 부덕으로 남편들에게 헌신하며 봉사하는 삶으로 변모되어 갔다. 또한 16세기 양반 남성들은 정실부인 이외에 따로 첩을 두고 사는 것이 보편화된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이 시기까지는 아들딸의 구별 없이 재산을 균등하게 나누어주고 조상의 제사도 서로 돌려 가면 지내는 등 어느 정도 권리는 보장이 되어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나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가 아직은 공고한 편이었으며 여성으로서 대접을 받으며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었다.
종교도 다원화되어 있어서 유교생활과 더불어 불교에 심취하여 살았던 여성이 대부분이고 허난설헌과 같이 도교에 몰입하여 산 여성들도 다수 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2) 조선 중기 여성 문학
이 시기의 양반 규수들은 너나 할 것 없이 ≪孝經≫, ≪內訓≫, ≪烈女傳≫을 한글 언해로 배우게 되는데 모두 가학(家學)으로 이루어졌다. 주로 집안의 부모, 형제, 일가친척과 같은 가족에게서 배우게 되는데 이러한 교육 풍토도 물론 일부 특권층에게만 주어지는 기회였다.
조선 중기까지 여성문인은 주로 사대부가의 여성들이고 한시 장르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생활시가 많으나 난설헌이나 옥봉, 매창은 전문가적인 시인 수준으로 올라가 중국에도 많이 알려져 있어 대외적으로 어느 정도 조선 문학을 대표하고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지적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확대와 주제의식이 뚜렷하였고 여성문학이 자생적으로 활짝 꽃피운 시기라 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여성시인이 등장하고 여성 문집이 간행되는 등 조선시대 여성문학의 최고 발전기라 볼 수 있다.
① 이옥봉(李玉峯) (? ~ ?)
조선중기 여류시인으로 옥천군수를 지낸 이봉(李逢) 종실의 서녀로 태어나 조원(趙瑗)의 소실로 살았던 점에서 양반가 여성들과는 다른 시세계를 보여준다. 그녀는 나면서부터 총명하고 지혜로워 아버지가 어여삐 여겨 글을 손수 가르쳤고 책을 사주어 글재주가 점점 나아졌다고 한다. 또한 일찍이 정철(鄭澈) 이항복(李恒福) 등과도 수창(酬唱)했다.
그녀의 시는 중국에도 알려녀 중국 시집 ≪명시종≫, ≪열조시집≫, ≪명원시귀≫에 전하고 있다. 또한 ≪明詩綜≫, ≪列朝詩集≫, ≪媛名詩歸≫ 등에 작품이 전해져 왔으며, 시집 1권이 있었다고 하나 한시 32편이 수록된 <玉峯集> 1권만이 ≪嘉林世稿≫의 부록으로 전한다.
이옥봉은 시 <自述>에서 남편을 그리워하며 남편이 불러 줄 것을 은근히 기대하는 그리움의 마음을 읊었다. 이렇듯 옥봉은 조선조 처첩제도에서 희생당한 한 여성으로 그러한 처첩제도 하에서의 고독, 그리움, 이별, 서러움 등을 표백한 시세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②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 ~ 1589)
허난설헌은 조선 선조대 문예부흥기에 여성의 시 의식을 마음껏 펼친 천재시인이며 요절시인이라 평가된다. 조선조 사회에 순응하며 살았던 옥봉에 비해 허난설헌은 양반가 여성이기
2. 조선 중기
1) 조선 중기 여성의 지위
조선 중기에 들어서면서 여성들은 점차 성리학적 윤리관의 영향을 받게 된다. 조선 초기 비교적 자유로웠던 생활 습속이 사라지고 일상 생활고 풍속에서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구속과 제약이 따르게 된 것이다. 여성들의 문밖출입은 금지되었고 얼굴을 가리고 가마를 타고 다니는 등 각종 규제가 가해지고 여성들의 삶은 점차 남성 중심으로 변해간다.
사회적으로는 양반과 상민의 구별이 고착화되어가고 양반가의 남성들은 가문의 존립과 영예를 위해 평생을 과거급제를 위해 학문에 몸을 바쳐야 했고 양반가의 여성들은 그런 남편을 대신하여 가계를 꾸려 나가고 가부장제적인 부덕으로 남편들에게 헌신하며 봉사하는 삶으로 변모되어 갔다. 또한 16세기 양반 남성들은 정실부인 이외에 따로 첩을 두고 사는 것이 보편화된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이 시기까지는 아들딸의 구별 없이 재산을 균등하게 나누어주고 조상의 제사도 서로 돌려 가면 지내는 등 어느 정도 권리는 보장이 되어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나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가 아직은 공고한 편이었으며 여성으로서 대접을 받으며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었다.
종교도 다원화되어 있어서 유교생활과 더불어 불교에 심취하여 살았던 여성이 대부분이고 허난설헌과 같이 도교에 몰입하여 산 여성들도 다수 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2) 조선 중기 여성 문학
이 시기의 양반 규수들은 너나 할 것 없이 ≪孝經≫, ≪內訓≫, ≪烈女傳≫을 한글 언해로 배우게 되는데 모두 가학(家學)으로 이루어졌다. 주로 집안의 부모, 형제, 일가친척과 같은 가족에게서 배우게 되는데 이러한 교육 풍토도 물론 일부 특권층에게만 주어지는 기회였다.
조선 중기까지 여성문인은 주로 사대부가의 여성들이고 한시 장르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생활시가 많으나 난설헌이나 옥봉, 매창은 전문가적인 시인 수준으로 올라가 중국에도 많이 알려져 있어 대외적으로 어느 정도 조선 문학을 대표하고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지적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확대와 주제의식이 뚜렷하였고 여성문학이 자생적으로 활짝 꽃피운 시기라 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여성시인이 등장하고 여성 문집이 간행되는 등 조선시대 여성문학의 최고 발전기라 볼 수 있다.
① 이옥봉(李玉峯) (? ~ ?)
조선중기 여류시인으로 옥천군수를 지낸 이봉(李逢) 종실의 서녀로 태어나 조원(趙瑗)의 소실로 살았던 점에서 양반가 여성들과는 다른 시세계를 보여준다. 그녀는 나면서부터 총명하고 지혜로워 아버지가 어여삐 여겨 글을 손수 가르쳤고 책을 사주어 글재주가 점점 나아졌다고 한다. 또한 일찍이 정철(鄭澈) 이항복(李恒福) 등과도 수창(酬唱)했다.
그녀의 시는 중국에도 알려녀 중국 시집 ≪명시종≫, ≪열조시집≫, ≪명원시귀≫에 전하고 있다. 또한 ≪明詩綜≫, ≪列朝詩集≫, ≪媛名詩歸≫ 등에 작품이 전해져 왔으며, 시집 1권이 있었다고 하나 한시 32편이 수록된 <玉峯集> 1권만이 ≪嘉林世稿≫의 부록으로 전한다.
이옥봉은 시 <自述>에서 남편을 그리워하며 남편이 불러 줄 것을 은근히 기대하는 그리움의 마음을 읊었다. 이렇듯 옥봉은 조선조 처첩제도에서 희생당한 한 여성으로 그러한 처첩제도 하에서의 고독, 그리움, 이별, 서러움 등을 표백한 시세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②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 ~ 1589)
허난설헌은 조선 선조대 문예부흥기에 여성의 시 의식을 마음껏 펼친 천재시인이며 요절시인이라 평가된다. 조선조 사회에 순응하며 살았던 옥봉에 비해 허난설헌은 양반가 여성이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