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어사전의 언어
2. 사전의 유형
3. 사전의 계열적 체계 문제
4. 사전에 없는 새로운 지식과 언어
2. 사전의 유형
3. 사전의 계열적 체계 문제
4. 사전에 없는 새로운 지식과 언어
본문내용
어휘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어휘들이 다행히도 국립국어원에서 2007년부터 10년간 민족 생활 어휘로 조사되고 있다. 민족 생활어 조사 사업은 〈국어기본법〉 제2조(기본이념)와 제9조(실태조사 등)에 근거하고 있다. 사전 자료가 종합적으로 구축된다면 규범어와 상용어, 전문용어 등 사용 용처에 따라 다양한 사전으로 세분화하여 만들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유럽 5개국언어 사전을통한 비교
최악의 방송 언어, 국어 벗쟁이 연예인 발표
(고등 국어 하) 3. 함께 하는 언어 생활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기말 6단원 언어의 세계 기출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기말 6단원 언어의 세계 기출문제
국어학입문 제3장 문법론 용어정리사전과제물
국어학입문 제5장 문자론 용어정리사전 과제물
속담 그 오묘한 말의 세계
광고언어, 웃음유발 텍스트 그리고 여성어 남성어가 국어학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이유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론 Canale과 Swain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
[국어 응용론] 광고 언어론
남북한 국어 맞춤법 개정의 과정 개요 (언어)
[국어교육]한국어 교육과 정보 교류 및 상대국의 정보로서의 언어와 문학
언어의 이해, C형)옥스퍼드 사전이 만들어진 배경을 간략히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