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프의 ‘소보르노스찌’론에서 가장 집약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소보르노스찌란 정교회의 특징인 좌중의 ‘조화로운 합의’에 의한 의사결정방식을 뜻한다. 나아가 그는 이것이야말로 서유럽식 개인주의와는 달리 공동체적 연대와 조화를 중시하는 슬라브 사회구조와 생활방식의 근저를 이루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정교회의 특징은 곧 그대로 러시아-슬라브 사회의 특징을 이루는 것으로 여겨졌고, 러시아와 서구의 정신적 원리를 구분하는 러시아 지식인들의 담론의 근저에는 ‘러시아는 정교 사회’라는 명제가 바탕을 이루고 있었다. 러시아와 서구의 문명론적 대비가 강조되던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에는 러시아에서 많은 종교사상가들이 출현하여 정교의 정신적 원리를 논구하는 큰 물결을 이루기도 하였다.
추천자료
그리스교도 음악
기독교적 관점에서본 도스토예프스키의 사상
유럽문화유산와 성바실리성당
세계 7대 문화권
고독, 현실 탈출로서의 기독교 이단
[가정학과(식품영양학) - 식생활과문화]42-E 세계의 여러 종교가 음식문화에 미친 영향을 자...
막스 베버 및 직업으로서의 학문과 정치에 관한 조사
구소련의 나라 벨라루스
'북한의 종교정책' 을 읽고
침례교의 역사와 특징
종교와 식문화
COUNTRY RISK ANALYSIS (카자흐스탄(KAZAKHSTAN), 우즈베키스탄(UZBEKISTATN), 아프가니스탄(...
삼위일체론(종교개혁으로부터 현대까지) -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집단들,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경교의 전래와 한국 천주교의 창시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