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에 대한 일대기나 전기 이야기를 듣고난 후 감상문_신사임당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술가에 대한 일대기나 전기 이야기를 듣고난 후 감상문_신사임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예술가로 다시보는
신 사 임 당

우레예술사 중간과제 첫 번째 독후감

<대관령 넘으며 친정을 바라보다>-유대관령망친정


❃ (1), (2) 표시는 참고를 돕기위해 아래 사진을 첨부한 번호입니다.

참고문헌

참고사진
(1) 초충도
(2) 초서병풍

본문내용

생각을 갖게 하였다. 또한 정적이며 따뜻하고 섬세하며 여유로워 보이는 신사임당의 예술작품들은 어떠한 외국 예술과들과 견주어 봐도 손색이 없는 모습에서 우리나라의 역사에 신사임당이라는 인물이 존재 했다는 것이 자랑스러워졌다. 크게 제약을 받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유교적인 사상에서 이정도 성공을 이루었다면 현 세대에 신사임당이 나타나 자신의 능력을 한껏 표현한다면 세계의 예술사의 한 획을 그을 수 있을거라 확신한다.
다른 외국 예술가들보다 유명해지거나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르내리지는 않지만 그 시대를 풍미했던 신사임당의 예술적 능력은 현대의 사람들의 보기에도 감탄을 자아낼만큼 충분히 예술사적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 생각한다. 신사임당 그녀를 현모의 상징으로 보기보다는 정적이고 섬세한 예술로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람으로 많은 사람들이 다시 기억해줬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 감상문을 보고 신사임당이 다시 보인다면 어린이용 위인전부터 그녀를 평가하는 여러 한국예술사의 책들을 찾아보라. 그러면 지금까지 몰랐던 새로운 여인이 아름다운 화풍과 글귀들로 당신을 매혹시킬 것이다.
(1), (2) 표시는 참고를 돕기위해 아래 사진을 첨부한 번호입니다.
참고문헌
《槿域書畵徵》, 《燃藜室記述》, 《栗谷全書》
孫仁銖, 《申師任堂의 生涯와 敎育》, 博英社, 1976.
李東洲, 《韓國繪畵小史》, 瑞文堂, 1972.
李秉岐, 〈申師任堂〉, 《朝鮮名人傳》, 朝光社, 1947.
이은상, 《사임당의 생애와 예술》, 성문각, 1957.
李殷相, 〈申師任堂〉, 《韓國의 人間像 5》, 新丘文化社, 1980.
참고사진
(1) 초충도
(2) 초서병풍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