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지역의 문화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수로왕릉

2.수로왕비릉

3.김해구산동고분군

4.김해예안리고분군

5.김해대성동고분군

본문내용

않았으나 76호분(號墳)에서는 광상면(壙上面)에 탄화목질(炭化木質)이 흐트져 있어 목개(木蓋) 혹은 목곽(木槨)이었다고 추측(推測)된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토광묘(土壙墓)가 목개토광묘(木蓋土壙墓)·목곽묘(木槨墓), 목관토광묘(木棺土壙墓)다음, 4세기 중엽경(中葉頃)에 새로 등장(登場)라는 것은 판석(板石)을 짜서 만든 석관계(石棺系) 장방형소형석관분(長方形小形石槨墳)들이며 31호분(號墳)의 경우 동서장축(東西長軸)의 석곽(石槨)은 크기 1.25×0.5×0.4m(길이)로 4벽(壁)은 수매(數枚)의 두터운 판석(板石)으로 짜고 천장(天井)은 판석(板石) 3매(枚), 피장인(被葬人)은 2세(歲)가량의 동침유아(東枕幼兒)이고 발쪽에 고배(高杯)등 토기(土器) 5점(點)이 있었다. 이 석판계량식(石板系樣式)의 다음에 오는 것이 역시 동서방향(東西方向)의 석곽(石槨)이면서 크기가 커지고 돌이 괴석(塊石)으로 바뀐 수용식장방형석곽묘(竪 式長方形石槨墓)이며 44호분(號墳)의 경우 크기는 3.2×0.6×0.8m로서 늘어난 부장품(副葬品)중에는 철대도(鐵大刀)도 들어있다.
이들 석곽분(石槨墳)의 연대는 5∼6세기로 편년(編年)된다. 이 시기(時期)에 유소아(幼小兒)를 위해서 합구옹관(合口甕棺)이 성용(盛用)되고 있다. 예안리묘제(禮安里墓制)의 마지막에 오는 것이 방형석실분(方形石室墳)이며 그 연대는 6세기 후반(後半)에서 7세기에 걸친 것으로 모두 기부(基部)만이 남아 있어 자세한 구조(構造)는 알 수 없으나 49호분(號墳)의 경우 동서(東西) 약 2.1m, 남북(南北 약 1.9m이고 떨어져 있는 개석일매(蓋石一枚)로 보아 천정(天井)은 궁융형(穹 形)으로 좁혀졌던 모양이다.
내부(內部)에는 동(東)·서벽(西壁)에 붙여 2개의 시상(屍床)이 할석(割石)으로 만들어져 있고 입구(入口)는 남벽(南壁)의 중앙(中央)에 있었던 것 같다.
이 고분(古墳)에서는 남(男)5, 여(女)2의 7인(人)의 성인골(成人骨)이 엉켜져서 발굴(發掘)되어 추장(追葬)이 실시(實施)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과대( 帶), 세환이식(細 耳飾)등 장신구(裝身具)의 존재(存在)로 보아 여기 고분군(古墳群)의 주민(住民)들이 석관묘시기이래(石棺墓時期以來)로 지방(地方) 유력집단(有力集團)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5.김해대성동고분군
종 목 : 사적 341호
명 칭 : 김해대성동고분군
분 류 : 고분
면 적 : 20,381㎡
지정일 : 1991.01.09
소재지 : 경남 김해시 대성동 434
소유자 : 정금자외23명
관리자 : 김해시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와 김해공설운동장 사이의 동서로 뻗은 구릉지대에 있는 가야의 무덤들이다. 길이 약 300m, 높이 20m정도의 구릉 지대로, 경사가 완만해 무덤이 있기에 매우 적합하다. 현재 구릉의 정상 일부분을 제외한 주변의 경사지는 밭으로 개간되어 있다.
발굴조사 결과 1∼5세기에 걸친 지배집단의 무덤 자리로 고인돌을 비롯하여 널무덤(토광묘), 덧널무덤(토광목곽묘),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 등 가야의 여러 형식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구릉 주변 평지에는 1∼3세기 무덤이 밀집되어 있고, 구릉 정상부에는 4∼5세기 무덤이 밀집되어 있어, 삼한시대 구야국 단계에서 금관가야 시기까지의 무덤이 발견되고 있다.
덧널무덤은 나무판을 조립하여 널(관)을 만든 것으로, 이전에 통나무관을 이용하던 것에서 나무판널을 사용하는 시기로의 전환이 1세기경임을 보여준다. 유물로는 토기류와 철기류, 목류, 중국제 거울 등이 출토되었다.
우리나라 고대무덤 형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며, 중국제 거울이나 토기류에서 한·중·일의 문화교류 상황을 밝혀주고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 전문설명
이 고분군은 1990년에서 1991년까지 3차에 걸친 경성대학교(慶星大學校) 박물관(博物館)의 학술발굴(學術發掘)에 의하여 김해(金海)를 중심으로 했던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지배계층의 무덤이 함께 한 집단묘역(集團墓域)으로 밝혀졌다.
마을에서는 무덤으로 덮힌 이곳 구릉(丘陵)을 '애구지'라고 부르고 있는데, 무덤의 위치에 따라 그 시기(時期)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곧 2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묘역(墓域)이 형성되었다. 특히 구야국(狗邪國)의 지배계층묘(支配階層墓)로 보이는 무덤에서 후한대(後漢代)의 중국제 거울을 비롯하여 일본의 고분에서 보이는 통형동기(筒形銅器), 파형동기(把形銅器) 등이 나와 한·중·일(韓·中·日)과의 문물교류(文物交流) 상황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키워드

김해,   문화재,   성곽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5.1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