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에 대해서(정의, 기원, 기능, 오늘날의 역할변화 등, 사진 여러장 첨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승에 대해서(정의, 기원, 기능, 오늘날의 역할변화 등, 사진 여러장 첨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장승과 벅수의 정의, 기원

3. 장승과 벅수의 기능

4. 장승 역할의 변화

5. 맺음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0
1. 들어가는 말
예부터 백성들은 자신들과 벗하여 서로의 아픔을 덜어 줄 수 있는 신상(神像)을 물색하 였다. 이에 나무 한 그루, 끌 한 자루로 모양껏 이목구비를 깍아 보고 그럴싸한 이름도 붙여주고 하여 그들과 가장 친근한 신상을 공동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장승 신앙은 국사당, 당산, 산식각, 당산나무 서낭당 등의 당제 행사와 돌무더기, 선돌, 솟대 등의 인간 습속이나 무속 신앙과 더불어 우리나라 고유 민속 문화의 소산으로 그 구체적 신상과 제사, 고사, 굿 등이 오늘날까지 전승 발전되고 있다.
2. 장승과 벅수의 정의, 기원
(1) 장승이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운 목상이나 석상. 마을의 수문신, 수호신, 사찰이나 지역간의 경계표, 이정표 등의 구실을 하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마을신 가운데 상위신으로 모셔지는 산신, 서낭신, 용왕신에 비하여 장승과 벅수는 솟대나 돌무더기와 같이 있기도 하면서 하위신으로서 민간과 밀착되어 있었다.
우리가 흔히 ‘장승’이라 부르고 있는 조형물은 전국에 남아 있는 유물과 문헌 및 지명 등을 수집, 조사한 것에 따르면 크게 법수계와 장승계로 나눈다.(‘법수’는 ‘벅수’로 음이 변화해 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은 딱히 구분하지 않고 형태와 이름이 습합 혼용되면서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어떠한 기능의 것이 어떠한 이름으로 불린다는 일정한 공식도 있지 않다. 현존하는 장승에 대하여 현지 주민들이 가리키는 이름도 원류에서 벗어나 오류를 보이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장승의 갈래는 엄연히 제 나름의 기능과 제작 의도에 의하여 비롯된 것이다. 중부지방을 경계로 할 때 북쪽 지방은 수도권이 영향을 받아서인지 장승의 명칭체계가 거의 무너진 상태이다. 그러나 영, 호남 지방은 아직도 법수계 등의 명칭을 그대로 전승하여 사용하고 있다.
(2) 법수
조선시대 중종 때의 이맥이 편찬한 ‘태백일사’에는 옛날 우리 환족이 유목 농경하던 때에 법수라는 선인이 나타났고 그가 오가던 다리의 이름이 법수교라고 한다는 내용이 있다. 즉 이 다리를 통하여 들어오는 악귀의 침입을 선인의 주력으로 막는 것이다.
법수 선인을 상징하는 형태를 나무나 돌에 조각하여 세우는 과정 곧 선인의 신력이 신상에 나타나도록 제물을 바치고 배례하는 제의로써 법수는 부족과 부락민으로부터 벽사 진경의 임무를 부여받은 셈이 되었다.
초기의 법수는 소박한 조각 솜씨로 선인의 얼굴을 새긴 단순한 인물형의 목상이었으나 시대가 변함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을 부여하게 되었고 형태도 그 신앙과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만들게 되었다. 또한 법수의 가슴에 지역의 특수한 상황에 맞는 문무관이나 신의 이름들을 마을신의 이름으로 새기게 되었다.
법수가 주민들의 바람에 대하여 별다른 신통력을 나타내지 못함을 과학 문명이 들어오면서 느끼게 되면서 마을의 법수는 물론이려니와 고유의 민간신앙이 흔들리기 시작하고 영험스러운 당산과 법수의 잘 짜여진 틀이 무관심에 의하여 볼품없이 변하게 되고 신앙형태는 엄숙한 ‘제의’에서 흥미로운 ‘놀이’형식으로 일부 변하기도 하였다.
현존하는 법수의 형태를 보면 입을 크게 벌려 이를 모두 드러내어 몸시 노한 표정, 곧 귀면의 얼굴을 하고 있다. 무서운 표정을 보고 잡귀나 질병은 접근하지 말라는 뜻이다. 원래 법수는 인자하고 너그러운 선인의 인상이 주류를 이루었을 거라고 예상되나 선인으로서의 능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나 시각적인 효험을 기대해서 오늘날 인자하기도 하고 사납기도 한 무형식적인 파격미를 가져오게 되었다.
(2) 장승
장승은 조선시대에 한자로 후 쟝생 쟝승(長丞)장승(長承) 장승(張丞)등으로 썼으며 옛말로는

키워드

장승,   벅수,   한국신앙,   법수,   장생,   하르방,   신상,   무속신앙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