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제 식민지 시기, 근대적 지식인의 형성과 이데올로기적 지식인 구분의 배태
해방정국과 1950년대, 저항적 지식인의 단절과 비판적 지식인의 형성
개발독재 시기, 지식인의 분화와 무력감
민주화 이후 지식인의 분화발전과 사회적 역할의 제고
변혁에 동참하는 해석의 주체, 탈물질주의적 좌파 지식인
해방정국과 1950년대, 저항적 지식인의 단절과 비판적 지식인의 형성
개발독재 시기, 지식인의 분화와 무력감
민주화 이후 지식인의 분화발전과 사회적 역할의 제고
변혁에 동참하는 해석의 주체, 탈물질주의적 좌파 지식인
본문내용
화가 공고화되면서 한국의 지식인은 계급적 의미의 보수와 진보라는 구분에 더하여, 물질주의적 지식인과 탈물질주의적 지식인이라는 새로운 축을 형성해가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 고유한 노자계급모순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인간 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유(類)적 모순에 대한 인식을 중시하는 탈물질주의 개념이 한국 사회에도 등장한 것이다.
따라서 아래 도표와 같이 4개의 그룹으로 정체성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질주의적 좌파는 모든 사회문제를 계급문제로 환원시키는 전통적 좌파의 관점을 가진 지식인들인 반면, 탈물질주의적 좌파는 권위주의와 같은 새로운 사회문제들의 특수성을 인정하면서도 자본주의적 계급모순을 인식하는 지식인들이다. 탈물질주의적 우파는 자본주의 체제의 존속을 지지하면서도 새로운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지식인 그룹이라면, 물질주의적 우파는 새로운 사회문제들의 심각성을 인정하지 않고 자본주의적 성장과 축적만을 추구하는 지식인 그룹이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좌파 지식인들의 담론이 필연적으로 노동자계급적 주장으로 나타나는 반면, 우파 지식인들의 담론은 '탈계급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우파 지식인들은 계급모순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인하기 때문에 '국민'이나 '시민'과 같은 '탈계급적' 담론을 펼치는 것이다.
지식인 구분의 양대 기준
사회적 모순(노자계급모순) 인식
사회적 모순(노자계급모순) 몰인식
좌파(‘계급적’ 주장)
우파(‘탈계급적’ 주장)
유적 모순(권위주의 모순) 인식
탈물질주의
탈물질주의적 좌파
탈물질주의적 우파
유적 모순(권위주의 모순) 몰인식
물질주의
물질주의적 좌파
물질주의적 우파
변혁에 동참하는 해석의 주체, 탈물질주의적 좌파 지식인
지식인의 역할이 사회의 발전을 절대적으로 주도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들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특히 주요한 역사적 계기들은 지식인들의 적극적 역할을 요구한다. 진리를 발견하고 전파하며 새로운 미래 사회를 건설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것이 지식인들의 사명이다. 따라서 지식인 사회의 모순에 민감하고 비판적이어야 한다. 지식인 사회 내부에서도 진정한 지식인이 못되는 사람들을 단호히 비판하는 자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세상을 다양하게 해석만 해 왔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세상을 변혁하는 것이다.”라는 말을 다시금 곱새겨야 할 때가 왔다. 이제 그 변혁의 주체는 탈물질주의적 좌파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도표와 같이 4개의 그룹으로 정체성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질주의적 좌파는 모든 사회문제를 계급문제로 환원시키는 전통적 좌파의 관점을 가진 지식인들인 반면, 탈물질주의적 좌파는 권위주의와 같은 새로운 사회문제들의 특수성을 인정하면서도 자본주의적 계급모순을 인식하는 지식인들이다. 탈물질주의적 우파는 자본주의 체제의 존속을 지지하면서도 새로운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지식인 그룹이라면, 물질주의적 우파는 새로운 사회문제들의 심각성을 인정하지 않고 자본주의적 성장과 축적만을 추구하는 지식인 그룹이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좌파 지식인들의 담론이 필연적으로 노동자계급적 주장으로 나타나는 반면, 우파 지식인들의 담론은 '탈계급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우파 지식인들은 계급모순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인하기 때문에 '국민'이나 '시민'과 같은 '탈계급적' 담론을 펼치는 것이다.
지식인 구분의 양대 기준
사회적 모순(노자계급모순) 인식
사회적 모순(노자계급모순) 몰인식
좌파(‘계급적’ 주장)
우파(‘탈계급적’ 주장)
유적 모순(권위주의 모순) 인식
탈물질주의
탈물질주의적 좌파
탈물질주의적 우파
유적 모순(권위주의 모순) 몰인식
물질주의
물질주의적 좌파
물질주의적 우파
변혁에 동참하는 해석의 주체, 탈물질주의적 좌파 지식인
지식인의 역할이 사회의 발전을 절대적으로 주도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들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특히 주요한 역사적 계기들은 지식인들의 적극적 역할을 요구한다. 진리를 발견하고 전파하며 새로운 미래 사회를 건설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것이 지식인들의 사명이다. 따라서 지식인 사회의 모순에 민감하고 비판적이어야 한다. 지식인 사회 내부에서도 진정한 지식인이 못되는 사람들을 단호히 비판하는 자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세상을 다양하게 해석만 해 왔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세상을 변혁하는 것이다.”라는 말을 다시금 곱새겨야 할 때가 왔다. 이제 그 변혁의 주체는 탈물질주의적 좌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고려시대 노비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
[유아사회교육 B형]자아개념과 성역할 발달에 대해 설명하시오(유아의 사회적 발달 중 자아 ...
의료사회사업) 소아암발생현황(09년),환아(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문제와 사회복지사의 역...
(의료사회사업) 소아암발생현황(09년),환아(환자)와 가족의 심리사회적문제와 사회복지사의 ...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전망 유럽의 경험을 통한 교훈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과제
유아교육의 개념과 유아교사의 역할 (유아교육의 중요성-아동관의 변화,발달적 측면,사회적 ...
[영유아발달]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발달의 교육적 적용 - 자아(self)개념 발달, 성역할(性役...
[아동수과학지도] 인지적 구성주의(피아제)와 사회적 구성주의(비고츠키)에 기초한 수 활동이...
[유아기 사회적 발달] 유아의 성역할 발달(유아의 사회적 발달, 유아기 성역할발달이론, 유아...
[장애인복지론] 주변에서 사회적으로 가치있는 역할강화(SRV)모델이 긍정적으로 적용된 경우...
간호학특론A형-파슨즈환자역할] 파슨즈의 환자역할 1) 대상자2인 인구사회적, 생활습관특성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