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바르트 교육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도입단계
1.주의집중
2.동기부여(사례제시)
3.학습개요

전개단계
1. 헤르바르트의 생애
2. 헤르바르트의 교육 목적
3. 헤르바르트의 교육 방법
4. 헤르바르트 교육학적 의의와 업적

종결단계
1.요약
2.재동기부여
(사례제시)
3.결언

본문내용

Friedriech Herbart, 1776∼1841)의 생애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는 독일 북서부의 올덴부르크라는 조그마한 도시에서, 1776년 5월 4일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토마스 게르하르트 헤르바르트는 올덴부르크시의 법률가이며, 그의 어머니 루이제 쉬테는 부유한 의사의딸로 풍부한 상상력과 대단한 지력의 소유자였다. 그의 어머니는 헤르바르트를 어릴 때 공립 학교 대신 가정교사로부터 기본적인 교육을 받게 했다. 그의 가정교사는 헤르바르트로 하여금 사고의 명료성, 연속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가르침은 헤르바르트의 철학에 대한 천부적인 성향을 자극하였다.
헤르바르트는 11세때 논리학을, 12세때에 형이상학을 시작하였으며, 14세 때에는 '인간의 자유'라는 소논문을 썼을 정도로 지적 재능이 뛰어났다. 13세의 나이로 김나지움에 들어 갈 때에는 이미 '조화로운 다면적 흥미'를 소유하고 있었다고 할 만 큼 그는 다방면에 재능과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졸업후에는 예나 대학에 입학했으며 이곳에서 법학보다는 철학에 온 힘을 쏟으면서 3년을 보냈다. 이 당시 독일철학은 관념론과 실재론으로 양분되어 있었고, 그는 예나 대학 철학부 교수이던 피히테의 열렬한 제자가 되었으나, 훗날 여러 가지 면에서 피히테를 비판하기도 하였다.
예나 대학에서 3년을 수학한 후 1797년 그는 스위스에서 지방관인 쉬타이거의 세 아들을 가르치는 가정교사가 되었다. 이 때, 헤르바르트는 두 달마다 한번씩 학습에 대한 계획과 성격, 교수방법, 발달상황 등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는데, 그가 교육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사고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 3년간의 경험은 교육의 실제적 고려라는 측면에서 헤르바르트의 교육학이 정립되는데 기초가 되었다.
1802년 헤르바르트는 괴팅겐 대학에서 철학과 교육학을 강의하기 시작했다. 이 때 '교육학에 관한 첫 번째 강의'라는 글을 발표하였고, 1804년에는 [직관의 ABC]를 출간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을 도덕성의 함양으로 규정하였으며, 도덕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아동으로 하여금 이 세상을 심미적으로 표상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의 가장 중요한 저작인 [교육의 목적에서 연역해 낸 일반교육학](일명 일반교육학)을 발표하였다.
1809년에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서 철학 교수를 지내면서 '교육에서는 언제나 이론과 실제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실험학교와 연결된 교육학 세미나를 개설하였다.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의 부설 기관으로 교원 양성소를 설립하여, 교육학 이론을 가르쳤으며, 하루 한 시간씩 시범수업을 하였다.
1835년 [교육학 강의 개요]를 발표하였다 이것은 [일반교육학]에서 정립했던 교육학 이론을 교육의 실제에 적용하여 해설하였다. 괴팅겐 대학으로 다시 온 헤르바르트는 1841년 뇌졸중으로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자료출처-안상원 , 교육사.철학, 전동출판사,2000
<부록3>
<화제>대전 만년초, 교사 훈화 모음집 발간
(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 교장 선생님 대신 교사들이 조회 때 전교생들
에게 들려준 훈화 내용이 책으로 꾸며졌다.
대전 만년초등학교(교장 박무남)는 이 학교 교사들의 훈화 모음집을 최근 발간했
다. 이 책에는 지난해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들려준 감동적이고 교훈적인 내용
들이 가득 담겨 있다
이 학교는 지난해 교장이 조회시간 방송을 통해 훈화를 하는 대신 교사들이
돌아가며 평소 학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내용을 훈화하도록 했다.
훈화는 교사 39명 전원이 참여했으며 주제는 사랑, 우정, 친절, 애국심, 자신감등
교훈적이고 시사적인 내용으로 학생들이 실증을 느끼지 않도록 3분을 넘지 않도록
했다
이 결과 교사들은 짧은 시간에 학생들에게 감동을 전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학생들은 호기심을 갖고 경청, 서로 간의 친밀감이 더욱 커졌다.
박 교장은 "교장이 하는 훈화는 학생들에게 전달력과 호소력이 떨어질 수 있다
는 생각에 교사들에게 기회를 줬는데 학생들의 인성 교육에 큰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만년 초등학교는 이 훈화 모음집을 대전시내 다른 교사들이 인성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나눠주고 학교 홈 페이지(www.mannyeon.es.kr)에도 탑재, 다른 학교 학생들도 볼 수 있도록 했다.
jchu2000@yna.co.kr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403230000601569002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5.31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