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종양의 정의
1.원인
2.분류
본론
간호과정
결론
참고문헌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종양의 정의
1.원인
2.분류
본론
간호과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안 6리터 이상의 체액이 상실될 경우 호르몬 대치요법 또한 필요하다. 수용성 vasopressin의 작용 시간은 최고 6~8시간으로 단기 작용을 한다. Desmopressin acetate(DDAVP)는 장시간 대치요법으로 사용한다.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ADH을 너무 많이 분비하여 체액이 정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대상자는 요 배설량이 시간당 20mL보다 적은 핍뇨 상태가 된다. 소변의 나트륨 농축이 정상이거나 높아지고 혈청 나트륨 수준은 떨어진다. SIADH의 또 다른 증상은 갈증 상실, 불안정, 근 쇠약, 의식 수준의 감소이다. 항이뇨 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은 저나트륨 혈증을 교정하도록 수분을 제한한다. 3%의 고장성 나트륨을 천천히 혈관으로 주입하여 심한 저 나트륨혈증을 교정한다.
뇌 염분 소모(cerebral salt wasting, CSW)는 심방나트륨요소(atrial natriuretic factor, ANF)의 신장 외적 영향으로 발생한다. ANF 세포는 시상하부와 우심방에 있고, 체액량을 조절한다. CSW는 신경외과 대상자에게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키는 1차적 원인이다. 저나트륨혈증, 혈청 삼투질 농도 감소, 혈량 감소가 특징이다. 혈청 vasopressin과 ANF수준으로 CSW와 항이뇨 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을 감별한다. 뇌 염분 소모(CSW)는 나트륨과 등장액을 보충하여 치료한다. 수분-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대상자는 섭취량과 배설량을 엄격하게 측정한다. 간호사는 치료하는 동안 체액 축적 혹은 탈수를 주의깊게 사정한다. 혈청 전해질 수준과 삼투질 농도는 매일 측정한다.
④ 건강교육
대상자와 가족은 병원 방문 일정, 대상자의 상태와 추후 간호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퇴원 후 필요한 간호를 교육한다.
퇴원 후 첫 주 동안 쉽게 피곤해지므로 오후에 낮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활동을 빨리 증가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힘과 지구력이 점차 증진되면서 몇 주일 후에는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아간다는 것을 알려주고 안심시킨다. 피로는 대상자가 무리하거나 과로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기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 활동하도록 한다. 가족을 교육에 포함시키고, 대상자와 가족은 퇴원 후 치료, 안전한 활동, 추후관리에 대한 계획을 이해해야 한다.
피부봉합사는 보통 7일째에 제거하며, 머리는 발사 3~4일 후에 감는다. 절개선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자를 착용한다. 두발이 적당한 길이로 자랄 때까지 직접적인 열(헤어 드라이어)은 피해야 한다. 가벼운 두통은 잠시 동안 계속될 수 있으며, 보통 진통제로 조절한다. 대부분의 경우 성생활을 제한하지 않으나, 테니스나 달리기와 같이 심한 운동은 삼간다.
steroid 용량은 서서히 감소시켜야(steroid tapering) 한다. 용량을 지나치게 빨리 줄이거나 약물 복용을 빠뜨리면 부신피질 기능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스테로이드 요구량이 증가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는 제산제나 음식과 같이 복용하도록 한다.
천막상 두개 내 수술을 했다면 경련발작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1년간 예방적으로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처방의 이행과 추후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약물의 혈청 수준과 독작용을 판단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대상자와 가족은 추후 감염과 뇌수종 증상을 물론 약물의 부작용과 독성을 알아야 한다. 알코올성 음료는 경련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퇴원 계획은 대상자의 자가간호 능력, 가족의 지지와 간호 능력을 파악하여 세운다. 대상자의 적응 정도는 대부분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며, 사회사업가나 다른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다.
Ⅲ. 결론
뇌종양(brain tumor)은 종양이 두개골 안에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을 상승시키는 두개 내의 국소적인 병변이다. 중추신경계에 발생한 뇌종양이 다른 곳으로 전이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손상시키거나 중추신경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두개내압을 상승시키고 심하면 죽음에 이르게 한다.
뇌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현대에 각광받고 있는 치료법중 하나인 감마 나이프 치료법을 이 레포트에서 심도있게 소개했다.
1968년 Leksell이 감마 나이프를 사용한 지 3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치료는 radiation과 stereotaxy라는 전혀 다른 2가지 개념이 합쳐져 만들어진 획기적인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감마나이프의 발전사는 컴퓨터 공학의 발전사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앞으로 컴퓨터 공학이 발전하는 속도는 의료계에서 사용되는 진단 및 치료에 관계되는 모든 의료장비의 개발과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며 이러한 발전은 차세대 감마나이프를 항상 새롭게 등장시키리라 생각된다. 더욱이 30여년간 시행되고 있는 감마나이프의 방사선 치료에 의하여 현저한 치료 반응을 보이고 있는 질병들의 치유 기전이 아직까지 완전하게 이해되고 있지 않고 있지만 머지않은 장래에 이에 대한 기전이 밝혀진다면 또 다른 비약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뇌종양은 예방법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조기 진단만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일단 뇌종양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면, 수술치료와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요법, 약물 치료 등을 복합적으로 받아서 뇌종양을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라 하겠다.
Ⅳ. 참고 문헌
(도서) 전시자, 김강미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제4판 하권, 현문사(서울), 2005년 발행
(도서) 김동규 외 8인 공저, 신경종양학 과거·현재 및 미래, 서울대학교 출판부(서울), 2001년 발행
(인터넷) 인하대학교병원 신경외과 뇌종양클리닉 웹싸이트
http://iws.inha.ac.kr/~nskey/tumorclinic.htm
(인터넷) 학술연구 정보서비스 웹싸이트 http://www.riss4u.net/
(인터넷) 국회도서관 웹싸이트 http://www.nanet.go.kr
(인터넷) 미국 신경외과 의사 협회 웹싸이트 www.neurosurgerytoday.org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ADH을 너무 많이 분비하여 체액이 정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대상자는 요 배설량이 시간당 20mL보다 적은 핍뇨 상태가 된다. 소변의 나트륨 농축이 정상이거나 높아지고 혈청 나트륨 수준은 떨어진다. SIADH의 또 다른 증상은 갈증 상실, 불안정, 근 쇠약, 의식 수준의 감소이다. 항이뇨 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은 저나트륨 혈증을 교정하도록 수분을 제한한다. 3%의 고장성 나트륨을 천천히 혈관으로 주입하여 심한 저 나트륨혈증을 교정한다.
뇌 염분 소모(cerebral salt wasting, CSW)는 심방나트륨요소(atrial natriuretic factor, ANF)의 신장 외적 영향으로 발생한다. ANF 세포는 시상하부와 우심방에 있고, 체액량을 조절한다. CSW는 신경외과 대상자에게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키는 1차적 원인이다. 저나트륨혈증, 혈청 삼투질 농도 감소, 혈량 감소가 특징이다. 혈청 vasopressin과 ANF수준으로 CSW와 항이뇨 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을 감별한다. 뇌 염분 소모(CSW)는 나트륨과 등장액을 보충하여 치료한다. 수분-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대상자는 섭취량과 배설량을 엄격하게 측정한다. 간호사는 치료하는 동안 체액 축적 혹은 탈수를 주의깊게 사정한다. 혈청 전해질 수준과 삼투질 농도는 매일 측정한다.
④ 건강교육
대상자와 가족은 병원 방문 일정, 대상자의 상태와 추후 간호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퇴원 후 필요한 간호를 교육한다.
퇴원 후 첫 주 동안 쉽게 피곤해지므로 오후에 낮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활동을 빨리 증가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힘과 지구력이 점차 증진되면서 몇 주일 후에는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아간다는 것을 알려주고 안심시킨다. 피로는 대상자가 무리하거나 과로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기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 활동하도록 한다. 가족을 교육에 포함시키고, 대상자와 가족은 퇴원 후 치료, 안전한 활동, 추후관리에 대한 계획을 이해해야 한다.
피부봉합사는 보통 7일째에 제거하며, 머리는 발사 3~4일 후에 감는다. 절개선을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자를 착용한다. 두발이 적당한 길이로 자랄 때까지 직접적인 열(헤어 드라이어)은 피해야 한다. 가벼운 두통은 잠시 동안 계속될 수 있으며, 보통 진통제로 조절한다. 대부분의 경우 성생활을 제한하지 않으나, 테니스나 달리기와 같이 심한 운동은 삼간다.
steroid 용량은 서서히 감소시켜야(steroid tapering) 한다. 용량을 지나치게 빨리 줄이거나 약물 복용을 빠뜨리면 부신피질 기능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스테로이드 요구량이 증가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는 제산제나 음식과 같이 복용하도록 한다.
천막상 두개 내 수술을 했다면 경련발작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1년간 예방적으로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처방의 이행과 추후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약물의 혈청 수준과 독작용을 판단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대상자와 가족은 추후 감염과 뇌수종 증상을 물론 약물의 부작용과 독성을 알아야 한다. 알코올성 음료는 경련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퇴원 계획은 대상자의 자가간호 능력, 가족의 지지와 간호 능력을 파악하여 세운다. 대상자의 적응 정도는 대부분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며, 사회사업가나 다른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다.
Ⅲ. 결론
뇌종양(brain tumor)은 종양이 두개골 안에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을 상승시키는 두개 내의 국소적인 병변이다. 중추신경계에 발생한 뇌종양이 다른 곳으로 전이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손상시키거나 중추신경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두개내압을 상승시키고 심하면 죽음에 이르게 한다.
뇌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현대에 각광받고 있는 치료법중 하나인 감마 나이프 치료법을 이 레포트에서 심도있게 소개했다.
1968년 Leksell이 감마 나이프를 사용한 지 3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치료는 radiation과 stereotaxy라는 전혀 다른 2가지 개념이 합쳐져 만들어진 획기적인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감마나이프의 발전사는 컴퓨터 공학의 발전사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앞으로 컴퓨터 공학이 발전하는 속도는 의료계에서 사용되는 진단 및 치료에 관계되는 모든 의료장비의 개발과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며 이러한 발전은 차세대 감마나이프를 항상 새롭게 등장시키리라 생각된다. 더욱이 30여년간 시행되고 있는 감마나이프의 방사선 치료에 의하여 현저한 치료 반응을 보이고 있는 질병들의 치유 기전이 아직까지 완전하게 이해되고 있지 않고 있지만 머지않은 장래에 이에 대한 기전이 밝혀진다면 또 다른 비약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뇌종양은 예방법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조기 진단만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일단 뇌종양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면, 수술치료와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요법, 약물 치료 등을 복합적으로 받아서 뇌종양을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라 하겠다.
Ⅳ. 참고 문헌
(도서) 전시자, 김강미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제4판 하권, 현문사(서울), 2005년 발행
(도서) 김동규 외 8인 공저, 신경종양학 과거·현재 및 미래, 서울대학교 출판부(서울), 2001년 발행
(인터넷) 인하대학교병원 신경외과 뇌종양클리닉 웹싸이트
http://iws.inha.ac.kr/~nskey/tumorclinic.htm
(인터넷) 학술연구 정보서비스 웹싸이트 http://www.riss4u.net/
(인터넷) 국회도서관 웹싸이트 http://www.nanet.go.kr
(인터넷) 미국 신경외과 의사 협회 웹싸이트 www.neurosurgerytoday.org
추천자료
- [외상성뇌손상][TBI][뇌손상][뇌][재활치료]외상성뇌손상(TBI)의 개념, 외상성뇌손상(TBI)의 ...
- [중추신경계][중추신경계발생][중추신경계구조][뇌척수막][뇌척수액]중추신경계의 발생, 중추...
- [기초간호과학]우리 몸에 있는 감염원의 경로와 방어기전, 부위별 병원감염 정의와 진단기준,...
- [뇌혈관][뇌혈관 명칭][뇌혈관 질환][뇌혈관 진단과 증상][뇌혈관과 뇌혈류장애][뇌혈관과 뇌...
- [심전도검사][뇌혈류검사][위내시경검사][방사선검사][요추검사][운동부하검사][치매검사][심...
- [뇌질환, 외상성뇌손상, 뇌혈류장애, 뇌졸중, 노인성뇌질환, 신경질환]뇌질환과 외상성뇌손상...
- [뇌병변장애, 뇌병변장애 정의, 뇌병변장애 진단보고서, 뇌병변장애 종류, 뇌병변장애 문제점...
- [뇌신경, 뇌신경 종류, 신경줄기세포, 뇌신경 검사, 뇌신경 손상증상, 뇌신경 손상진단]뇌신...
- [신경해부학, 신경로, 뇌, 외상성뇌손상, 척수병변, 해부학, 신경, 신경해부]신경해부학과 신...
- [전후간호, 제왕절개수술 전후간호, 안수술 전후간호, 뇌수술 전후간호, 흉곽수술 전후간호, ...
- 뇌출혈(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대상자 CASE STUDY
- 뇌출혈(뇌졸중, 뇌경색 등) case study - 뇌출혈 컨퍼런스
- 기초간호과학 2016+1.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4가지 과민반응별로 ...
- 뇌손상, Hypoxic brain damage, 저산소성 뇌손상 참고문헌, 저산소성 뇌손상 케이스, 저산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