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NP(추간판 탈출증) case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NP(추간판 탈출증) case study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문헌고찰
▣ 정의
▣ 원인
▣ 병태생리
▣ 신체사정/임상증상
▣ 진단검사(Diagnostic assessment)
▣ 치료
1) 내과적 치료
2) 외과적 치료
▣ 간호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2. 사례연구
(1) 선택한 대상자의 간호력
1) 전반적 사정
2) 건강 사정
① 신체적 사정
(2) 진단적 검사
① 일반혈액검사
②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L-Spine
3) 치료
4) 투약
5) 연구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수립
참고문헌

본문내용

1일 후)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PCA를 제거할 것이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치료적
대상자의 요구에 따라 처방된 진통제를 PCA를 통해 투여한다.
-진통제는 통증을 경감시키는 약물로 통증지각을 감소시키고 불편함에 대한 반응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함
-마약성 진통제는 뇌에 있는 마약 수용체에 부착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냄
수술부위에 모래주머니를 대준다.
-통증감소와 수술후 합병증 방지
단단한 침요를 사용한다.
편안한 체위를 유지시키고 2시간마다 통나무 굴리기식으로 체위를 측위로 변경시킨다.
-통증감소와 수술 후 합병증 방지 위해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자세를 편안하게 하여 신체 각 부분에 긴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몸을 움직일 때는 수술부위를 양손으로 지지하거나 복대를 착용하게 하여 긴장을 줄여줌
이완요법을 실시한다.(심호흡)
-숨을 깊게 들이시고 입으로 ‘후’하고 내뱉도록 하고 심호흡을 꾸준히 하도록 교육함
통증에 대해 대상자가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의 통증척도를 사정하는 자료를 얻기 위함.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필요시 스크린 치도록 교육함
-방문시마다 문을 닫아줌
피부자극요법으로 열요법을 시행한다.
-급성기 첫 48시간 내에는 얼음주머니를 대주고 그 이후에는 온습포를 적용하여 근육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강직된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함
교육적
통증이 있을 시 대상자가 표현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의 통증척도를 사정하는 자료를 얻기 위함.
수술 후 12-24시간 동안은 최대한 활동을 삼가고 침상에 똑바로 누워 안정을 취할 것을 교육한다.
-머리와 허리를 곧게 함으로써 압력을 감소시켜 통증을 경감시킴
하지의 통증이 심한 경우 2~4일간 침상안 정을 시킨다.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함
머리와 몸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교육한다.
-머리의 무게와 움직이는 동작이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음
통증이 심할 경우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이완요법을 적용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킴
PCA(자가진통조절기) 사용법과 부작용을 설명한다.
-동통완화의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였고 통증이 강하게 느껴지면 손목에 부착된 버튼을 누르면 진통제의 양이 늘어나 통증 감소 효과가 더 크다고 설명.
-오심, 구토등의 부작용을 설명하고 증상발현시 알리도록 교육함.
진단적
통증의 양상, 정도, 부위를 사정한다.
활력징후를 체크한다.
-활력징후를 함으로써 환자의 통증의 정도와 신체 상태를 사정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수술 1일 후 수술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아 PCA를 제거하였다.
간호진단
수술정보이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 S4, S5, O2, O8, O9 )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추후관리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수술 후 2~4일까지 절대침상안정의 필요성을 알고 수행할 수 있다.
대상자는 수술 후 장운동이 돌아올때까지(2~3일 내) 금식의 필요성을 알고 수 행할 수 있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치료적
높은 베개를 피하여 머리를 중립 위치에 놓도록 한다.
-과도한 경부굴곡을 예방함
4x4 gauze를 적셔 대상자의 입에 물리도 록 하여 구강건조를 예방한다.
-수술 후 금식으로 인해 구강건조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젖은 거즈를 입에물리도록 함
교육적
수술 후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 키기위해 2~4일간은 절대침상안정을 하도 록 다시 한번 교육한다.
-수술부위에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 시키기 위함
침상안정을 하는 동시에 2시간마다 앙와위 에서 측위로 체위변경을 하도록 다시 한 번 교육한다.
체위변경 시 두부, 어깨, 흉부가 신체선열 과 일치하도록 통나무 굴리기식 체위변경 을 하면서 몸이 비틀리지 않도록 한다.
-신체선열을 바르게 함으로써 수술부위를 고 정시키 위함
금식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교육한다.
-수술 시 마취로 인한 위장관계기능이 회복 되지 않음으로 인해 gas out이 될 경우 식 사를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 함
gas out이 되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 한다.
-gas out이 되면 장운동이 정상적으로 돌아 왔다는 징후이므로 음식섭취를 시작할 수 있음
진단적
대상자의 장음을 청진하여 장운동의 양상 을 확인한다.
-장 운동의 여부를 확인하여 음식섭취를 시작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수술 후 추후관리에 대해 이해하고 잘 이행하고 있다.
간호진단
침상안정으로 인한 장운동 부족과 관련된 변비
( S6, S7, O6, O7, O8, O9 )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답답함을 호소하지 않고 배변을 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일주일내에 정상적 장운동이 회복되어 배변을 할 수 있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치료적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하제나 배변완화제를 투여한다.
-constipation을 막아서 장의 배설을 촉진함
의사의 처방에 따라 관장을 수행한다.
교육적
수술 후 6일째, 화장실 보행이 허용된 침 상안정으로 order change가 있었으므로 약간의 보행을 하도록 교육한다.
-그 동안 절대침상안정으로 운동을 전혀 못한 상태이므로 약간의 보행으로 장 운동을 항진시켜 배설을 촉진함
금기가 아니면 24시간 적어도 3,000m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수술 후 금식으로 인한 적절한 영양섭취가 부족하였으므로 장에 자극을 주어 긴장력을 증가시켜 배설을 촉진하기위하여 수분과 고 섬유식이를 권장함
고 섬유식이를 하도록 권장한다.
진단적
배설량 및 I/O를 check한다.
-배설양상을 사정함으로써 그에 따른 간호를 수행함
대상자의 장음을 청진하여 장운동의 양상 을 확인한다.
-장 운동의 여부를 확인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관장 후 “변은 안 나왔는데 가스라도 나와서 답답함이 사라졌어요. 전보다는 낫네요.”라고 하면서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았다.
참고문헌
2005년 현문사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상
2005년 현문사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이종서(2004), 알기 쉬운 허리디스크 예방과 치료, 가림출판사
http://www.druginfo.co.kr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6.07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7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