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의 전통음식
1-(1) 일본 지방의 특징
1-(2) 일본의 전통음식
2. 중국의 전통음식
2-(1) 중국의 4대 요리
2-(2) 중국의 전통음식
3. 한국의 전통음식
3-(1) 간략한 소개 및 특징
3-(2) 주식, 부식, 그리고 후식
3-(3) 상차림
3-(4) 절기에 따른 먹거리
1-(1) 일본 지방의 특징
1-(2) 일본의 전통음식
2. 중국의 전통음식
2-(1) 중국의 4대 요리
2-(2) 중국의 전통음식
3. 한국의 전통음식
3-(1) 간략한 소개 및 특징
3-(2) 주식, 부식, 그리고 후식
3-(3) 상차림
3-(4) 절기에 따른 먹거리
본문내용
만두, 인절미 등을 놓는다. 또한 세주를 올리는데 이것은 병이 생기지 않고 오래 살 수 있다고 하여 여러 약재를 넣어 전승되어온 것이다.
②입춘절식
봄이 시작되는 좋은 명절. 집집마다 입춘대길이라는 글귀를 붙이는 날에는 봄철 새로 싹트는 자연 소재인 산개, 토당귀, 무, 생강류를 교자에 무쳐 낸 요리로 새봄의 미각을 돋웠다.
③단오절식
조선시대 4대 명절의 하나로써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가장 널리 알려진 절식으로는 수리취절편이라 할 수 있다. 수리취떡은 쌀가루에 숙을 넣어서 차륜의 모양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또 하나의 절식으로 제호탕을 들수 있다. 오매, 백단, 사향, 초과 등을 달여 꿀을 섞은 차가운 차로 진사였다.
④삼복절식
여름철 중 가장 더운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켜 삼복이라 한다. 이때 몸을 보신하기 위한 음식을 즐겼다. 삼복절식의 대표적인 것은 개를 이용한 개장국, 닭을 잡아 만든 삼계탕이며, 도 팥죽과 증편 등이 있다.
⑤추석절식
8월 15일은 추석 또는 한가위라 하여 햇곡식, 햇과일이 풍성하여 명절 중 가장 풍성한 식재료가 그득한 날이다. 추석에는 조상님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차례를 모시며 대표적인 절식에는 솔잎향기가 나는 송편이 있으며 이 철에 많이 나는 토란으로 토란국을 즐겨 끓여 먹었다. 그 외 누름적이나 닭찜이 있다.
⑥동지절식
동지에는 팥죽을 쑨다. 팥죽에는 찹쌀가루로 둥글게 빚은 새알심을 나이대로 넣어 떠주었고 귀신을 쫓는다하여 장독대와 대문에 뿌리기도 했다.
●계절에 따른 상차림
①봄
봄이 오면 사람들은 입맛을 당기게 하고 겨울을 지나며 소모한 가력을 도우며 산뜻한 맛과 싱그러운 향기, 아름다운 색깔을 가진 음식을 만들어 먹기 위해 산과 들에 싹트는 쑥, 달래, 냉이를 이용하여 각종 나물요리를 먹는다. 쑥은 카로틴과 비타민 C등 매우 풍부한 영양소를 갖추었으며 사람들의 입맛을 돋우기 위한 더없이 좋은 음식감이다. 이외에도 달래김치, 냉국과 봄의 상징인 진달래꽃을 가지고도 음식을 만들었다.
②여름
여름에는 사람들이 땀을 많이 흘리고 더위 때문에 피로하고 영양분도 많이 소모하게 되어 입맛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원한 음식, 기력을 돋우는 음식, 이른바 보신음식을 즐기게 되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개를 이용한 보신탕, 닭을 이용한 삼계탕이 있다. 또한 맑은 청포묵과 노란색을 물을 들인 녹두묵들이 좋은 음식이다. 또한 시원한 콩국과 깻국에 칼국수를 말아먹는 맛도 일품이며 이 콩국과 깻국은 질 좋은 단백질과 기름을 보충해주어 여름철 사람들의 원기 회복에도 좋다. 뿐만 아니라 육개장, 애호박으로 만든 편수 등 영양가가 높은 음식들이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이 더위로 인한 영양분의 소모를 보충하기 위하여 단백질과 비타민, 광물질이 풍부한 음식을 해먹는 풍습은 과학적이고 문화적인 우리 민족의 식생활 방식을 잘 보여준다.
③가을
오곡백과가 무르익고 한해농사를 마무리 짓는 가을의 대표적인 시식은 싱그러운 솔잎을 이용한 송편과 토란국을 들 수 있다. 쇠고기나 다시마를 조금 섞어 두르고 끓인 토란국은 가을에 맛 볼 수 있는 감칠맛 나는 국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두고두고 그 맛을 잊지 못한다.
④겨울
예로부터 겨울에는 어느 집이나 반년양식이라 하여 김장을 했다. 이러한 김장김치는 밥상에서 빠지지 않는 필수음식이 된다. 또한 겨울에는 시루떡을 자주 해먹었다. 겨울은 한해가 가고 새로운 한해가 오는 계절로서 음식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즉, 동짓날의 팥죽, 대보름의 오곡밥과 아홉 가지 묶은 나물, 부럼 등이 겨울철의 시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설, 명절을 끼고 있는 겨울철의 만두와 떡국은 가장 보편적인 음식이 되었다.
②입춘절식
봄이 시작되는 좋은 명절. 집집마다 입춘대길이라는 글귀를 붙이는 날에는 봄철 새로 싹트는 자연 소재인 산개, 토당귀, 무, 생강류를 교자에 무쳐 낸 요리로 새봄의 미각을 돋웠다.
③단오절식
조선시대 4대 명절의 하나로써 우리말로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가장 널리 알려진 절식으로는 수리취절편이라 할 수 있다. 수리취떡은 쌀가루에 숙을 넣어서 차륜의 모양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또 하나의 절식으로 제호탕을 들수 있다. 오매, 백단, 사향, 초과 등을 달여 꿀을 섞은 차가운 차로 진사였다.
④삼복절식
여름철 중 가장 더운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켜 삼복이라 한다. 이때 몸을 보신하기 위한 음식을 즐겼다. 삼복절식의 대표적인 것은 개를 이용한 개장국, 닭을 잡아 만든 삼계탕이며, 도 팥죽과 증편 등이 있다.
⑤추석절식
8월 15일은 추석 또는 한가위라 하여 햇곡식, 햇과일이 풍성하여 명절 중 가장 풍성한 식재료가 그득한 날이다. 추석에는 조상님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차례를 모시며 대표적인 절식에는 솔잎향기가 나는 송편이 있으며 이 철에 많이 나는 토란으로 토란국을 즐겨 끓여 먹었다. 그 외 누름적이나 닭찜이 있다.
⑥동지절식
동지에는 팥죽을 쑨다. 팥죽에는 찹쌀가루로 둥글게 빚은 새알심을 나이대로 넣어 떠주었고 귀신을 쫓는다하여 장독대와 대문에 뿌리기도 했다.
●계절에 따른 상차림
①봄
봄이 오면 사람들은 입맛을 당기게 하고 겨울을 지나며 소모한 가력을 도우며 산뜻한 맛과 싱그러운 향기, 아름다운 색깔을 가진 음식을 만들어 먹기 위해 산과 들에 싹트는 쑥, 달래, 냉이를 이용하여 각종 나물요리를 먹는다. 쑥은 카로틴과 비타민 C등 매우 풍부한 영양소를 갖추었으며 사람들의 입맛을 돋우기 위한 더없이 좋은 음식감이다. 이외에도 달래김치, 냉국과 봄의 상징인 진달래꽃을 가지고도 음식을 만들었다.
②여름
여름에는 사람들이 땀을 많이 흘리고 더위 때문에 피로하고 영양분도 많이 소모하게 되어 입맛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원한 음식, 기력을 돋우는 음식, 이른바 보신음식을 즐기게 되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개를 이용한 보신탕, 닭을 이용한 삼계탕이 있다. 또한 맑은 청포묵과 노란색을 물을 들인 녹두묵들이 좋은 음식이다. 또한 시원한 콩국과 깻국에 칼국수를 말아먹는 맛도 일품이며 이 콩국과 깻국은 질 좋은 단백질과 기름을 보충해주어 여름철 사람들의 원기 회복에도 좋다. 뿐만 아니라 육개장, 애호박으로 만든 편수 등 영양가가 높은 음식들이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이 더위로 인한 영양분의 소모를 보충하기 위하여 단백질과 비타민, 광물질이 풍부한 음식을 해먹는 풍습은 과학적이고 문화적인 우리 민족의 식생활 방식을 잘 보여준다.
③가을
오곡백과가 무르익고 한해농사를 마무리 짓는 가을의 대표적인 시식은 싱그러운 솔잎을 이용한 송편과 토란국을 들 수 있다. 쇠고기나 다시마를 조금 섞어 두르고 끓인 토란국은 가을에 맛 볼 수 있는 감칠맛 나는 국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두고두고 그 맛을 잊지 못한다.
④겨울
예로부터 겨울에는 어느 집이나 반년양식이라 하여 김장을 했다. 이러한 김장김치는 밥상에서 빠지지 않는 필수음식이 된다. 또한 겨울에는 시루떡을 자주 해먹었다. 겨울은 한해가 가고 새로운 한해가 오는 계절로서 음식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즉, 동짓날의 팥죽, 대보름의 오곡밥과 아홉 가지 묶은 나물, 부럼 등이 겨울철의 시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설, 명절을 끼고 있는 겨울철의 만두와 떡국은 가장 보편적인 음식이 되었다.
추천자료
중국의 음식문화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중국의 음식문화
중국인의 식생활 문화, 음식문화
[중국문화][중국 차문화][중국 술문화][중국 음식문화][중국 자전거문화][결혼문화][의복문화...
문화의 개념, 문화의 특성과 문화의 역사적 발전 및 독일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북한...
[프랑스 음식문화][프랑스요리][인도 음식문화][인도요리][일본 음식문화][일본요리][중국 음...
한국인의 문화코드-웃음, 욕, 음식
[중국 의복문화][중국 체면중시문화][중국 소비문화][중국 식사문화][중국 음식문화][차문화]...
[중국][토루][치파오][경극][전통술][차문화][중국요리][식인문화]중국의 전통가옥 토루와 전...
한국의 상차림 예절과 전통음식
한국 전통식품(전통음식) 된장과 청국장, 한국 전통식품(전통음식) 추어탕, 한국 전통식품(전...
한국을 홍보할 수 있는 기내식 음료와 음식을 본인의 아이디어(Idea)를 발휘해 기획 해보시오
중국 음식문화의 이해 -중국의 4대 음식.북방과 남방의 차이.종교에 따른차이.식사예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