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 의
2. 원 인
3. 재 발
4. 병 리
1) 은폐성 출혈
2) 만성 태반조기박리
3) 태아 모성출혈
5. 진 단
6. 징후 및 증상
7. 처치 및 간호중재
8. 예 후
2. 원 인
3. 재 발
4. 병 리
1) 은폐성 출혈
2) 만성 태반조기박리
3) 태아 모성출혈
5. 진 단
6. 징후 및 증상
7. 처치 및 간호중재
8. 예 후
본문내용
지로 자궁근육을 자극하면 혈관이 수축하게 되어 혈액응고장애가 지속되는 경우에도 중증의 출혈은 피할 수 있다. 만약 태아의 자궁내 사망이 확인되면서 모체의 생리적 상태가 안정되어 있는 경우는 질분만을 유도한다. 제왕절개는 태아가 생존해 있으나 절박가사 상태가 발견되면 즉시 시행하나 임부는 혈액량 저하와 저섬유소원혈증 상태로 자궁절개 부위에 과도한 출혈이 있게 되어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고려해야한다.
8. 예 후
모성사망률은 1%이며, 모성의 예후는 태반박리의 범위와 실혈량, DIC의 정도, 태반박리가 발생되어서 분만되기까지에 소요된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다행히 태반조기박리의 80~90%는 2~3개의 태반 분엽만이 박리되므로 모체의 예후는 나쁘지 않으며 특히 출혈, 빈혈, 신부전증, 뇌하수체 괴사, 자궁감염의 관리를 잘 해야 한다. 태아의 예후는 좋지 않아서 25%에서 분만 중 또는 출생 후 곧 사망한다. 만약 아프가 점수가 5분에 3점보다 적을 때는 태아의 신경 손상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5분에 7점 또는 그 이상이면 90% 이상이 정상적으로 성장 발육한다. 태반조기박리가 있는 신생아의 몸무게가 2500mg이상일 때는 60%에서 정상으로 발육한다.
8. 예 후
모성사망률은 1%이며, 모성의 예후는 태반박리의 범위와 실혈량, DIC의 정도, 태반박리가 발생되어서 분만되기까지에 소요된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다행히 태반조기박리의 80~90%는 2~3개의 태반 분엽만이 박리되므로 모체의 예후는 나쁘지 않으며 특히 출혈, 빈혈, 신부전증, 뇌하수체 괴사, 자궁감염의 관리를 잘 해야 한다. 태아의 예후는 좋지 않아서 25%에서 분만 중 또는 출생 후 곧 사망한다. 만약 아프가 점수가 5분에 3점보다 적을 때는 태아의 신경 손상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5분에 7점 또는 그 이상이면 90% 이상이 정상적으로 성장 발육한다. 태반조기박리가 있는 신생아의 몸무게가 2500mg이상일 때는 60%에서 정상으로 발육한다.
추천자료
생식기계질환의 조기발견
조기파막 실습 케이스
[간호][환자간호][화상환자 간호][구강 간호][근종절제술과 자궁절제술환자 간호][무의식환자...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과제> 수술 전 간호, 수술 중 간호, 수술 후 간호(회복실)
폐렴 간호 case,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폐렴 사례관리, 폐렴 간호진단, 아동간호학 케...
아동간호학 case study/아동간호학 간호과정/십이지장폐색증/십이지장폐쇄증/십이지장절제술/...
가정간호 A+ (1. 가정간호의 개요 2. 가정간호의 역사 3. 가정간호의 유형 4. 가정간호의 대...
융모양막염, 조기파막, 인공파막
가정간호의 개념 및 필요성, 선진국(미국, 일본)의 가정간호, 우리나라(한국)의 가정간호제도...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모성케이스, 여성간호학 case, A+++, ...
[간호학] 조현병 간호 - 간호과정 -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성인간호학]1 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간호중재방법-영양지원 영양지원방법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