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대안교육,대안학교 종류소개와 현황 및 국내외 대안학교정책사례 통한 대응방안 제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 대안교육,대안학교 종류소개와 현황 및 국내외 대안학교정책사례 통한 대응방안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art1-1) 서론
1-1. 학교 부적응 청소년 실태
1-2. 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나?
Part2-1) 무엇을 위한 대안인가?
* 대안 교육과 참교육
*대안교육의 정의?
Part2-2) 대안학교
* 대안학교의 종류
1. 인가형 대안학교
2. 비인가 대안학교 : 도시형비인가중등학교, 전원형비인가중등학교, 방과후학교와 계절학교
*도시형 비인가 중등학교
*전원형 비인가 중등학교
Part2-3) 도시형 비인가 중등 학교의 현황
*교사 1인당 학생수
*사회 후원, 정부 지원정도. 대안학교 시설
*대안학교 커리큘럼
Part2-4) 대안학교의 학생과 교사
*대안학교가 풀어야 할 과제들
Part2-4) 대안학교의 학생
Part2-4) 대안학교의 교사
Part3-1)영국의 섬머힐 학교
Part3-1)독일의 발토로프 학교
Part 3-1)태국 어린이 마을 학교, 무 반 덱 -자연교육과 자립의 공동체
Part 3-2) 미국의 정책 마련
캘리포니아의 산타크루즈 카운티의 사례
뉴욕시의 마그넷 스쿨
헌장학교 교육 사례
Part 3-3) 정부의 지원
Part 3-4) 사회적 시각
1) 부정적 시각
2) 긍정적인 시각
Part 3-5)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해결책 1) 도시형 대안학교의 건립.
해결책 2) 대안학교의 교사에 대한 대우 개선
해결책 3) 정부의 지원으로 자격조건을 갖춘 교사와 행정지원 인력을 확충.
해결책 4) 일반 학교에서 상담서비스를 강화해서 부적응아 수 자체를 감소시킴.

본문내용

육 기관에 대한 운영보조비, 시설개선비 등 지원 가능
- 위탁교육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교육청별로 위탁교육기관에 대한 교사파견 또는 순회교사 운영 등 장학지도 방안 추진
기 중퇴한 학생에 대해서는, 복학신청 및 일정한 적응과정 이수 후에 복교 또는 대안교육기관의 위탁과정을 이수토록 지원
- 전문 상담인력, 자원봉사자 등 지역사회 청소년 지도자원 적극 활용
위탁교육기관 운영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지원 실시
- 상담, 야영, 심성수련, 멀티미디어 등 대안교육 프로그램 운영 관련 담당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관련 연수지원
- 시도별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협의회\'(가칭)를 통한 지원 검토
위탁교육기관 등에 대한 시도교육청별 데이타베이스(DB) 구축 등 관련 정보서비스 실시
- 지방자치단체내에 설치운영 예정인 지역단위『학업중단 청소년지원협의회』(가칭)와 DB연계 등 추진
해결책 2) 대안학교의 교사에 대한 대우 개선
대안 학교는 교사의 사명감이 가장 큰 원동력이다. 대안학교에서 일하는 교사들의 월급은 일반 학교 교사의 월급의 절반 정도의 수준이고 교육과정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은데다가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과 방법을 도입하는 일이 많으므로 대안학교 교사의 행정적인 업무는 일반학교 교사들의 몇 배이다. 즉, 다시 말하면 교사의 사명감과 교육에 대한 열정 없이는 대안 학교 교사를 하기 힘들다는 말이다. 하지만 교사도 사람인지라 아무리 열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도 열악한 현실을 무시할 수는 없다. 현실에서의 대안학교 교사는 너무 많은 행정업무로 인해 언제나 바쁘고 이로 인해 자기만의 시간조차 제대로 갖지 못한다. 게다가 이렇게 막중한 노동의 금전적 대가는 터무니없을 정도로 적은 액수이다. 실제로 여러 해 동안의 과중한 업무 끝에 건강이 악화되어서 결국 일을 그만두어야 했다는 대안학교 교사들도 여러 명이다. 따라서 교사가 힘을 덜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교사들의 봉급을 인상하는 등 대안 학교 교사에 대한 대우 개선이 시급히 필요하다.
해결책 3) 정부의 지원으로 자격조건을 갖춘 교사와 행정지원 인력을 확충.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안 학교 교사의 업무량이 많고 근무조건이 열악하기 때문에 교사나 행정지원 인력이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런 인력의 부족은 효율적 학습지도와 학생지도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업무량을 가중시켜 대안학교의 원활한 운영을 방해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자격조건을 갖춘 교사와 행정지원 인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해결책 4) 일반 학교에서 상담서비스를 강화해서 부적응아 수 자체를 감소시킴.
우선 아직 학교에 있지만 학교를 떠나려는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을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와 지역의 청소년 관련 기관들이 네트워크 체제를 구축하여 조기 개입하거나 그러한 일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종합관리기구를 지역에서 구성하여 탈학교 청소년에 대한 정보와 그들에게 제공할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수집, 공급하면서 상담 및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계획을 세워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서 학업을 떠나려는 학생들의 수 자체를 감소시켜야 한다.

1) 우선 부적응학생을 대상으로 일선학교에서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교로부터 이탈하는 학생들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
2) 대안학교를 공교육의 반대되는 의미로 인식하지 말고 공교육의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기관으로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
3) 더 나은 학습 환경을 위한 재정적 지원과 대안학교 교사의 대우 개선.
4) 학교 부적응아에 대한 인식의 전환 필요.
*참고문헌 :
교육인적 자원부 代案敎育 擴大內實化 推進計劃(案)
헌병호(대안교육 격월간지『민들레』발행인) 대안교육의 현황과 과제
신학봉(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논문)대안학교 실태분석과 교육내용 비교연구
교육인적자원부(2003), 대안교육확대 내실화 추진 계획. p1
장선희(2002). 우리나라 기독교 대안학교 사례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p1
오숙자(1988). 가정환경의 재 요인과 아동의 인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이 관계. 건국대 교육대학원.
민영순(1998). 교육심리학. 서울 : 문음사. p136.
정무성외(1998). 학교사회사업학회지.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실천모델 연구. p3~5
류주석(2003).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p17~24
교육학사전 편찬위원회(1992). p831
포지수(2002). 대안학교 학부모의 교육열에 관한 연구. pp69~72.
박종진(2003).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미정(2004). 대안학교의 교육실태와 개선방안.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선영(2004). 한국 대안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p27~37
학국 교육 개발원(1996). 새학교구상 : 좋은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방안 탐색. p153
심성보(1995). 한국 대안학교 운동의 현황과 과제. 교육사회학연구. p25
조용환(1999).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사. p58
박미정(2004). 대안학교의 교육실태와 개선방안.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선숙(2002).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현황고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 대학원.
전현정(1999). 대안학교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pp44~43.
노혜련(2003). 서울시 도시형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pp5~6
이종태(2001).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민들레
박미정(2004). 대안학교의 교육실태와 개선방안.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pp18~22.
배성근(2003),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무인가 대안학교의 현황과 과제.
손영덕(2002). 대안학교 교육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p5
최영묵(2002). 학국대안학교의 내재적 윤리적 가치 고찰을 통한 대안학급 운영방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인적자원부. 2003년 4월
중앙일보(2002. 1. 14). 강남지역 중학유학을 위한 자퇴
  • 가격2,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0.07.16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