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1910년대말 -1920년대 여운형의 활동상황
1) 외교선전운동기 (1918-19)
2) 고려공산당 참여 시기 (1920-21)
3) 국민대표회의운동기 (1921-23)
4) 중국혁명운동 참여시기 (1925-28)
3. 여운형의 사상적 기반
4. 여운형의 민족해방운동론
1) 절대독립론
2) 상해임시정부론
3) 사회주의운동관
4) 국제혁명운동참여론
5. 결 론
2. 1910년대말 -1920년대 여운형의 활동상황
1) 외교선전운동기 (1918-19)
2) 고려공산당 참여 시기 (1920-21)
3) 국민대표회의운동기 (1921-23)
4) 중국혁명운동 참여시기 (1925-28)
3. 여운형의 사상적 기반
4. 여운형의 민족해방운동론
1) 절대독립론
2) 상해임시정부론
3) 사회주의운동관
4) 국제혁명운동참여론
5. 결 론
본문내용
< 목 차 >
1. 서 론
2. 1910년대말 -1920년대 여운형의 활동상황
1) 외교선전운동기 (1918-19)
2) 고려공산당 참여 시기 (1920-21)
3) 국민대표회의운동기 (1921-23)
4) 중국혁명운동 참여시기 (1925-28)
3. 여운형의 사상적 기반
4. 여운형의 민족해방운동론
1) 절대독립론
2) 상해임시정부론
3) 사회주의운동관
4) 국제혁명운동참여론
5. 결 론
1. 서 론
여운형은 해방 직후 건국준비위원회를 결성하고, 인민공화국을 구성하였으며, 조선인민당과 근로인민당을 결성하였고,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활동하였으며, 좌우합작운동을 통하여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등 해방정국의 가장 핵심적인 인물들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평가는 특히 그의 사상문제와 관련하여 상당히 엇갈리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그를 ‘공산주의자’로 보는 시각에서부터 한민성, 1982 《추적 여운형》, 갑자문화사
‘민족적 사회주의자’ 한태수, <인물론 ‘몽양 여운형’> 《신문과 방송》 1977년 9월호
, ‘사회주의파 민주주의자’ 박달환, <여운형론> 《인민》 1946년 6월호
, ’민주적 사회주의자’ 이동화, 1979 <815를 전후한 여운형의 정치활동> 《해방전후사의 인식》1, 한길사
, ‘민족적 사회주의자, 또는 사회주의적 민족주의자’ 김광식, 1985 <해방직후 여운형의 정치활동과 ‘건준’‘인공’의 형성과정> 《한국현대사》1, 열음사
로 보는 시각에 이르기까지 그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내려지고 있는 것이다. 과연 여운형은 공산주의자인가, 사회민주주의자인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말해지듯이 단순한 ‘좌파 민족주의자’인가, 여운형의 사상적 경향에 대한 규정은 그에게 투영된 당시의 한국적 현실이 지니는 특수성에 대한 규정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여기서 필자는 여운형의 사상에 대한 접근방법으로서 그의 사상이 형성되는 시기였다고 생각되는 1910년대말부터 1920년대에 걸친 그의 초기 활동과 그의 민족해방운동론에 대한 중점적 검토를 통해 여운형사상의 성격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기 여운형의 활동에 대해서는 그동안 강덕상의 접근이 유일한 것이었는데, 그것은 주로 그의 활동에 대한 정밀한 추적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었다. 姜德相, 1984-85, <靑春時代の呂運亨>《三千里》37, <上海時代の呂運亨>《三千里》38, <1919年冬, 東京での呂運亨>《三千里》41, <42帝國議會と呂運亨> 《三千里》43, <呂運亨と極東民族大會>《三千里》47, <國民代表會議と呂運亨>《三千里》48, <中國國民革命と呂運亨>《三千里》49
이 또한 식민지시기 한국 지성사에서 하나의 독특한 줄기를 이루었던 여운형류의 정치사상에 대한 조명도 아울러 겸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2. 1910년대말 - 20년대 여운형의 활동상황
1910년대말부터 1920년대에 걸친 여운형의 국외에서의 독립운동은 그 활동내용에 따라 크게 네 시기로 나뉜다고 할 수 있다. 그 첫번째 시기는 1918년과 1919년으로 외교선전운동기, 두번째 시기는 1920,21년으로 공산주의운동 참여기, 세번째 시기는 1922년부터 1923년까지로 국민대표회의 운동기, 네번째 시기는 1925년부터 1928년까지로 중국혁명운동 참여기이다. 1924년은 여운형의 독립운동 휴식기였다. 또 그는 스스로 1925년부터 1928년 6월까지를 중국혁명운동에 전력을 기울인 시기였다고 말하였다(<여운형조서1>(이하 <조서1>로 약칭)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자료편》(이하 한공자료편으로 약칭)1, 255쪽).
물론 이러한 구분은 무리가 따르는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는 두번째 시기에도 중국을 방문한 미하원의원단을 만나 외교운동을 벌였으며, 세번째 시기에도 모스크바에서 열린 원동민족대회에 참가하여 외교선전활동을 펴고 있고, 네번째 시기에도 필리핀 등을 순방하며 외교선전활동을 펴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그의 독립운동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외교선전활동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외교선전운동을 전개하면서도 각 시기마다 고려공산당 활동이라든가, 국민대표대회 등을 통한 독립운동 조직의 정비, 중국혁명운동 참여를 통한 궁극적인 조선독립의 모색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시기구분도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1) 외교선전운동기 (1918-19)
첫번째 외교선전운동기 그는 신한청년당이라는 조직을 통해, 혹은 개인자격으로 미국과 파리강화회의, 그리고 일본을 향한 독립외교운동에 힘을 기울였다.
여운형 스스로 말하고 있듯이 그가 독립운동에 처음 참여한 것은 1918년 8월 신한청년당을 조직하면서부터이다. 여운형은 남경의 금릉대학에서 3년간 수학한 후 1916년 상해로 건너와 약 2년간 핏치라는 미국인이 경영하는 서적위탁판매소 협화서국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그는 1918년 8월경 장덕수(張德秀), 조동호(趙東祜), 김철(金澈), 선우혁(鮮于爀), 한진교(韓鎭敎) 등과 함께 모여 신한청년당의 조직에 착수하였고, 그해 11월 본격적인 조직에 들어가, 이듬해 1월 간부의 조직을 마침으로써 신한청년당을 통한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돌입하게 된다. 신한청년당은 터어키청년당을 모방하여 조직한 것으로, 상해 거주 40세 이하의 조선학생을 당원 함께 고 이들을 교양하여 구폐(舊弊)를 타파 고 자치(自治)의 기성(氣性)을 양성한다는 취지를 표면적 함는 내걸었지만, 궁극적 함는 조선독립운동에의 기여를 근본 목적 함께 여 결성된여 신한청년 <조서2> 《한공자료편》1, 293쪽 ; <조서3> 《한공자료편》2, 396,397쪽
신한청년당의 결성이 본격화하게 된 것은 1918년 11월祜), 김철여기에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은 당시 중국을 방문한 미국대통
1. 서 론
2. 1910년대말 -1920년대 여운형의 활동상황
1) 외교선전운동기 (1918-19)
2) 고려공산당 참여 시기 (1920-21)
3) 국민대표회의운동기 (1921-23)
4) 중국혁명운동 참여시기 (1925-28)
3. 여운형의 사상적 기반
4. 여운형의 민족해방운동론
1) 절대독립론
2) 상해임시정부론
3) 사회주의운동관
4) 국제혁명운동참여론
5. 결 론
1. 서 론
여운형은 해방 직후 건국준비위원회를 결성하고, 인민공화국을 구성하였으며, 조선인민당과 근로인민당을 결성하였고,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활동하였으며, 좌우합작운동을 통하여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등 해방정국의 가장 핵심적인 인물들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평가는 특히 그의 사상문제와 관련하여 상당히 엇갈리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그를 ‘공산주의자’로 보는 시각에서부터 한민성, 1982 《추적 여운형》, 갑자문화사
‘민족적 사회주의자’ 한태수, <인물론 ‘몽양 여운형’> 《신문과 방송》 1977년 9월호
, ‘사회주의파 민주주의자’ 박달환, <여운형론> 《인민》 1946년 6월호
, ’민주적 사회주의자’ 이동화, 1979 <815를 전후한 여운형의 정치활동> 《해방전후사의 인식》1, 한길사
, ‘민족적 사회주의자, 또는 사회주의적 민족주의자’ 김광식, 1985 <해방직후 여운형의 정치활동과 ‘건준’‘인공’의 형성과정> 《한국현대사》1, 열음사
로 보는 시각에 이르기까지 그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내려지고 있는 것이다. 과연 여운형은 공산주의자인가, 사회민주주의자인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말해지듯이 단순한 ‘좌파 민족주의자’인가, 여운형의 사상적 경향에 대한 규정은 그에게 투영된 당시의 한국적 현실이 지니는 특수성에 대한 규정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여기서 필자는 여운형의 사상에 대한 접근방법으로서 그의 사상이 형성되는 시기였다고 생각되는 1910년대말부터 1920년대에 걸친 그의 초기 활동과 그의 민족해방운동론에 대한 중점적 검토를 통해 여운형사상의 성격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기 여운형의 활동에 대해서는 그동안 강덕상의 접근이 유일한 것이었는데, 그것은 주로 그의 활동에 대한 정밀한 추적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었다. 姜德相, 1984-85, <靑春時代の呂運亨>《三千里》37, <上海時代の呂運亨>《三千里》38, <1919年冬, 東京での呂運亨>《三千里》41, <42帝國議會と呂運亨> 《三千里》43, <呂運亨と極東民族大會>《三千里》47, <國民代表會議と呂運亨>《三千里》48, <中國國民革命と呂運亨>《三千里》49
이 또한 식민지시기 한국 지성사에서 하나의 독특한 줄기를 이루었던 여운형류의 정치사상에 대한 조명도 아울러 겸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2. 1910년대말 - 20년대 여운형의 활동상황
1910년대말부터 1920년대에 걸친 여운형의 국외에서의 독립운동은 그 활동내용에 따라 크게 네 시기로 나뉜다고 할 수 있다. 그 첫번째 시기는 1918년과 1919년으로 외교선전운동기, 두번째 시기는 1920,21년으로 공산주의운동 참여기, 세번째 시기는 1922년부터 1923년까지로 국민대표회의 운동기, 네번째 시기는 1925년부터 1928년까지로 중국혁명운동 참여기이다. 1924년은 여운형의 독립운동 휴식기였다. 또 그는 스스로 1925년부터 1928년 6월까지를 중국혁명운동에 전력을 기울인 시기였다고 말하였다(<여운형조서1>(이하 <조서1>로 약칭) 《한국공산주의운동사 자료편》(이하 한공자료편으로 약칭)1, 255쪽).
물론 이러한 구분은 무리가 따르는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는 두번째 시기에도 중국을 방문한 미하원의원단을 만나 외교운동을 벌였으며, 세번째 시기에도 모스크바에서 열린 원동민족대회에 참가하여 외교선전활동을 펴고 있고, 네번째 시기에도 필리핀 등을 순방하며 외교선전활동을 펴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그의 독립운동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외교선전활동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외교선전운동을 전개하면서도 각 시기마다 고려공산당 활동이라든가, 국민대표대회 등을 통한 독립운동 조직의 정비, 중국혁명운동 참여를 통한 궁극적인 조선독립의 모색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시기구분도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1) 외교선전운동기 (1918-19)
첫번째 외교선전운동기 그는 신한청년당이라는 조직을 통해, 혹은 개인자격으로 미국과 파리강화회의, 그리고 일본을 향한 독립외교운동에 힘을 기울였다.
여운형 스스로 말하고 있듯이 그가 독립운동에 처음 참여한 것은 1918년 8월 신한청년당을 조직하면서부터이다. 여운형은 남경의 금릉대학에서 3년간 수학한 후 1916년 상해로 건너와 약 2년간 핏치라는 미국인이 경영하는 서적위탁판매소 협화서국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그는 1918년 8월경 장덕수(張德秀), 조동호(趙東祜), 김철(金澈), 선우혁(鮮于爀), 한진교(韓鎭敎) 등과 함께 모여 신한청년당의 조직에 착수하였고, 그해 11월 본격적인 조직에 들어가, 이듬해 1월 간부의 조직을 마침으로써 신한청년당을 통한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돌입하게 된다. 신한청년당은 터어키청년당을 모방하여 조직한 것으로, 상해 거주 40세 이하의 조선학생을 당원 함께 고 이들을 교양하여 구폐(舊弊)를 타파 고 자치(自治)의 기성(氣性)을 양성한다는 취지를 표면적 함는 내걸었지만, 궁극적 함는 조선독립운동에의 기여를 근본 목적 함께 여 결성된여 신한청년 <조서2> 《한공자료편》1, 293쪽 ; <조서3> 《한공자료편》2, 396,397쪽
신한청년당의 결성이 본격화하게 된 것은 1918년 11월祜), 김철여기에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은 당시 중국을 방문한 미국대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