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효용의 개념
2. 소비자 균형
3. 단기생산비용
4. 국민소득의 순환
2. 소비자 균형
3. 단기생산비용
4. 국민소득의 순환
본문내용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다른 형태로 유입된다. 민간부문의 저축은 가처분소득 중 지출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기업의 투자자금 조달, 정부 부문의 재정수지적자 보전 또는 해외자산 구입에 사용된다.
③ 소득과 부
자산과 부채와의 차액을 부(富)라고 한다. 부는 흔히 채권이나 주식 또는 은행예금과 같은 금융자산이나 자본재나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의 형태로 소유된다. 소득은 일정기간 동안 이루어진 경제활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반면에 부는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순자산의 크기를 지칭한다. 부의 증가는 바로 저축의 결과이다. 소득과 부는 분명히 다른 개념이다. 소득은 일정기간 동안의 경제활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유량(flow)개념이며, 부는 일정시점에 소유하고 있는 순자산의 크기를 나타내는 저량(stock)의 개념이다. 저축이라는 소득의 흐름이 누적된 결과가 바로 부라는 저량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국민소득수준이 낮더라도 국부가 축적되어 있다면 국민들의 경제수준에는 커다란 애로가 없을 것이다. 반면에 현재의 국민소득이 높더라도 대외부채가 크다면 현재의 생활수준은 낮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국부를 증진시키려면 국민경제 전체의 저축을 늘려야 할 것이다.
③ 소득과 부
자산과 부채와의 차액을 부(富)라고 한다. 부는 흔히 채권이나 주식 또는 은행예금과 같은 금융자산이나 자본재나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의 형태로 소유된다. 소득은 일정기간 동안 이루어진 경제활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반면에 부는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순자산의 크기를 지칭한다. 부의 증가는 바로 저축의 결과이다. 소득과 부는 분명히 다른 개념이다. 소득은 일정기간 동안의 경제활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유량(flow)개념이며, 부는 일정시점에 소유하고 있는 순자산의 크기를 나타내는 저량(stock)의 개념이다. 저축이라는 소득의 흐름이 누적된 결과가 바로 부라는 저량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국민소득수준이 낮더라도 국부가 축적되어 있다면 국민들의 경제수준에는 커다란 애로가 없을 것이다. 반면에 현재의 국민소득이 높더라도 대외부채가 크다면 현재의 생활수준은 낮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국부를 증진시키려면 국민경제 전체의 저축을 늘려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기업과 생산함수
정보이론,부호이론,,
경제학의 정의와 경제주체사이의 연관성
E균형과 L균형
거시경제학의 기초
경제체제와 발전이론
조세의 초과부담 및 최적화이론
경제학 강의요약
[헤지][헷지][헷징][헤지(헷지, 헷징) 형태][헤지(헷지, 헷징) 이론][헤지(헷지, 헷징) 사례]...
[제도경제학]신제도학파 경제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하여
경제사회학 총 정리(고전 경제사회학 + 신경제사회학-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경제학개론 강의노트 정리
[법인]법인과 법인세, 법인세법, 법인과 이연법인세회계, 법인과 법인기업, 법인설립, 법인과...
임금이론 - 동기유발제도의 정의와 기능, 개수제와 시간제, 토너먼트, CEO에 대한 보수, 이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