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진출시 가능한 한 단독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함. 단, 합작투자를 할 경우 의사결정 지연 및 분쟁 등 합작에서 오는 일반적 문제외에 인도인의 상술에 대비하기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합작시 성패의 관건임. 좋은 파트너의 선정 및 운영과정에서의 상호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메커니즘의 마련, 분쟁시에 대비한 문서화에 철저히 대비해야 합작사업이 성공할 수 있음.
추천자료
일본,인도네시아,인도,중국의 기업문화와 FDI
[마케팅]현대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 마케팅 성공사례
락앤락(LOCK & LOCK)의 인도시장진출
[국제마케팅론]현대자동차의 인도진출
마오를 이긴 중국, 간디를 넘은 인도를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국제마케팅] 국제가격전략 사례조사 - 현대자동차, 국제 자동차 가격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다국적기업,삼성,LG,중국삼성,미주삼성,중동삼성,인도삼성,삼성마케팅,LG마케팅,삼성LG마케팅
한국경제 성장잠재력의 현황, 한국경제 성장잠재력의 안정, 한국경제 성장잠재력과 인도경제...
이마트(e-Mart) 해외시장진출위한 마케팅전략 분석 (이마트 인도시장진출전략)
글로벌 경영 환경 - 03.친디아 Chindia(중국+인도) 시장.pptx
켈로그의 미국시장진출 성공사례와 인도시장진출 실패사례
[글로벌 경제의 이론과 정책] 한국 - 인도 CEPA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CEPA의 개념과 의의, ...
[국제경영학] 현대 자동차의 인도 진출, 비교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