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결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결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염군사와 파스큘라의 통합

◎ 염군사와 파스큘라의 통합의 문단적 상황

◎ 염군사와의 합작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파스큘라

◎『개벽』의 계급문학시비론

◎ 염군사와 파스큘라의 통합 의의

◎ 통합과 사회운동의 조직적인 전개 양상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출현

2) 계급 문단의 조직 확대와 『문예운동』

◎『문예운동』 간행과 의의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조직과 이념

◎ 조선프로예매의 조직

◎ 조선프로예맹의 조직 범위와 이념과 노선

◎ 조선프로예맹의 집단적 의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로예맹의 결성 기기가 1925년임을 알 수 있고, 그 조직의 강령이나 규약과 창립 당시부터 만들어져 있었던 것처럼 보도되고 있다. 그러나 1926년 12월 24일 이전의 조직 상황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조선프로예맹의 실체는 바로 이 신문 기사를 통해서야 비로소 분단에 드러나고 있다고 하 수 있다. 어쩌면 그 이전 단계의 조선프로예맹은 조직의 체계화나 조직 맹원의 구성 자체가 빈약한 상태였을지도 모를 일이다. 「문예운동」의 간행을 통해 계급 문단의 기반을 확대하고 그 조직을 정비하면서 이념적 노선을 확정하여 바로 1926년 12월 24일의 조선프로예맹까지 이른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선프로예맹의 조직과 그 강령은 어떠한 것인가? 앞의 두 신문 기사 내용을 종합해 볼 경우 다음과 같은 조직의 규모, 강령과 규약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내용은 그 동안 1927년 9월 방향 전환 이후의 조선프로예맹의 강령, 규약만이 널리 알려져 왔던 점을 생각한다면, 계급 문학 운동 초기 단계의 문단 조직과 그 성격을 판단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조선프로예맹(1926년 12월 24일 현재)
〔동맹원〕
이기영김영팔이량조명희홍기문김경태임정재양명이호김온박용대권구현이적효김기진이상화김복진최학송최승일박팔양박영희김동환안석주
〔위원〕
김복진김기진이량박영희최승일안석주김경태
〔강령〕
우리는 단결로서 여명기에 있는 무산계급문화의 수립을 기함.
〔규약〕
1. 본 회의 명칭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이라 칭함
2. 본 회의 위치는 경성에 처함
3. 본 회의 회원은 보 동매의 강령 규약을 승인하는 자로 함.(단 위원 1인 이사의 추천에 대하여는 위원회에서 결정함)
4. 본 동맹은 본 동맹의 강령을 달성키 위하여 좌기의 4부를 치하고 사업을 실행함
5. 좌기 4부의 책임위원은 각 위원의 협조로서 직무를 분담함
6. 본 동맹은 7인의 위원을 선정하여 사업의 실천에 당함 (단, 위원이 사직할 시에는 위원회에서 본선함)
7. 위원의 임기는 만 1년으로 함.
8. 본 동맹은 1년 1회의 총회를 개하고 수시 필요에 의하여 위원 2/3이상의 요구에 의하여 또는 위원회에서 소집합을 규정함.
9. 본 동맹원은 경상비 1개월 20전을 납입함(단, 매월 5일 이내)
10. 본 동맹은 동맹의 강령 및 구약에 배반하는 자는 위원회의 결정으로 제명함을 정함
◎ 조선프로예맹의 조직 범위와 이념과 노선
초기 조선프로예맹의 조직 범위와 이념과 노선 등을 살펴보기로 하자.
첫째, 조선프로예맹의 문단적 위치는 22명의 동맹원들이 가담하고 있다는 사실로써 그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최남선과 이광수를 위시하여 「창조」,「폐허」,「금성」의 동인들이 완전히 외면해 버린 이 조직에는 염군사, 파스큘라의 구성원과 「개벽」을 통해 등단한 경향적 문인들이 가담하고 있다. 이들 동맹원의 성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분류가 가능하지만, 다시 사회 운동의 조류를 놓고 볼 때, 경향성을 드러내고 이던 문인들 이외에 아나키스트 계열, 민족주의 계열, 공산주의 계열이 서로 뒤섞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9.07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96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