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역사교과서의 영토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일 역사교과서의 영토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중국 역사 교과서의 동북지방과 국경문제
1) 요(遼 )와 금(金)에 대한 인식
2) 영토와 국경문제의 강조
2. 일본 역사교과서의 영토문제
1) 과거의 영토 - 샌프란시스코 강화회의
2) 현재의 과제로서 영토
3. 한국 역사교과서의 영토문제
1) 만주는 한국사의 근원
2) 고려와 요 금의 관계
3) 간도와 독도문제
4. 북방사 연구의 방향
1) 만주와의 역사문화적 공유기간
2) 북방사 연구현황

III. 결론

본문내용

어 그들을 회유하였다. 그러나 완옌부가 여진족을 통일하면서 그 세력이 천리장성 부근까지 남하하여 고려와 충돌하게 되었다.(중략) 금은 거란을 멸망시키고 만주와 몽고, 중국의 북부를 지배하게 되자, 고려에 대해서도 압력을 왔다. 이에 고려는 금과 형제맹약을 맺어 평화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으나, 북진 정책은 한동안 중단되었다.(99-100쪽)
고 하여, 여진족이 고려를 부모의 나라라 하다가 금의 건국 후는 도리어 형제맹약을 맺기에 이르렀다고 기술하고 있다. 만주지역에 대하여 고려는 고구려 영토회복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건국 후부터 지속적으로 북진정책을 폈지만 요의 건국으로 진출이 막히고, 다시 금의 건국으로 좌절되었다. 그 후 조선 세종 때에 압록강과 두만강 방면의 여진의 무리를 몰아내고 4군과 6진을 설치하면서, 조선의 북쪽 국경선이 확정되기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3) 간도와 독도문제
현재 우리나라가 주변국과 벌이고 있는 영토문제의 주요대상은 간도와 독도이다. 간도는 청나라와 일본간에 체결된 간도 협약으로 우리의 의사와 상관없이 청의 영토로 편입되었고, 독도는 일본이 러·일 전쟁 중에 일방적으로 그들의 영토로 편입시키고, 지금까지도 그 영유권을 강변하고 있는 것이다. 중학교 「국사」는 간도와 독도에 대하여 2쪽에 걸쳐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간도와 독도의 역사적 연원을 설명하고, 중국이나 일본과 왜 문제가 되고 있는지 지도, 사진, 사료 등을 제시하며 그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간도는 고구려와 그 뒤를 이은 발해의 땅으로서,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활동 무대였다. 그러나 발해가 망한 뒤에는 말갈족이 거주하였으며, 여진조이 청을 건국한 뒤에는 이 지역을 그들 조상의 발상지라고 하여 다른 민족의 이주를 금지하였지만, 조선인들이 곳곳에 살고 있었다. 조선 숙종 때 조선과 청은 국경선을 정하면서 백두산정계비 1712년(숙종 38) 백두산에 세운 조선과 청(淸)나라 사이의 경계비.
를 세우고 간도를 저선의 영토로 표시하였다. 그 후 많은 조선 사람들이 간도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 이에 청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철수를 강요하며 간도가 청의 영토라고 주장하였으나, 조선에서는 간도 관리사를 파견하여 조선에서 건너간 가람들을 보호하며 다스렸다.(중략) 을사조약 이후 일본은 안동과 봉천간의 철도 부설권을 얻는 대가로 간도가 청의 영토라고 인정하는 간도협약을 청과 체결하였다.(1909). 이로써 간도 지역은 우리의 관할에서 떨어져 나갔다.(239쪽)
간도가 오랜 시기부터 우리나라의 활동무대였으며, 숙종때는 청나라도 조선의 영토임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일제가 철도부설권의 대가로 간도협약 1909년(융희 3) 9월 청(淸)나라와 일본이 간도(젠다오)의 영유권 등에 관하여 맺은 조약.
을 맺어 청에게 넘겨주었다고 기술하여 있다. 간도가 분명히 우리의 영토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독도에 대해서도
독도는 울릉도에 딸린 섬으로서, 일찍부터 우리나라의 영토로 이어져 내려왔다. (중략)특히, 조선 숙종 때에는 동래에 살던 안용복이 이곳을 왕래하는 일본 어부들을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9.16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