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군사 외교 전략 - 이중전략
Ⅲ.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
1. 발사의도
1) 대내적 전시효과
2) 대내 문제 해결
3) 대미 협상 카드
2. 발사이후 상황
1) 북한의 대응
2) 미국의 대응
Ⅳ. 2009년 대포동 2호 발사
1. 발사의도
1) 대내적 전시효과
2) 대내 문제 해결
3) 대미 협상 카드
2. 발사이후 상황
1) 북한의 대응
2) 미국의 대응
Ⅴ. 결론
<참고문헌>
Ⅱ. 북한의 군사 외교 전략 - 이중전략
Ⅲ.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
1. 발사의도
1) 대내적 전시효과
2) 대내 문제 해결
3) 대미 협상 카드
2. 발사이후 상황
1) 북한의 대응
2) 미국의 대응
Ⅳ. 2009년 대포동 2호 발사
1. 발사의도
1) 대내적 전시효과
2) 대내 문제 해결
3) 대미 협상 카드
2. 발사이후 상황
1) 북한의 대응
2) 미국의 대응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지는 않지만 실현될 것 같지도 않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보즈워스 특별 대표가 한ㆍ중ㆍ일ㆍ러 네 나라 순방길에 오른다. 이번에는 중국과 러시아의 설득으로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길 기대라고 있다. 하지만 북한이 6자 회담을 끝내 거부하면 미국은 또 다른 대안을 모색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원일희기자, 「북한, 스스로 더 깊은 무덤…경제 지원 없다」, SBS 8시 뉴스, 2009-05-01.
.
이러한 흐름으로 본다면 향후 미국은 형식적으로는 대북 협상자세를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취할 것이다. 하지만 북한이 방심한 사이 다른 한편으로는 대량 살상무기 확상방지구상(PSI)과 미사일방어(MD) 체제를 더 강화시키려고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본 논문에서는 1998년 대포동 1호 미사일과 2009년 대포동 2호 미사일, 두 발사 사건들을 통해서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두 사건의 공통된 측면으로는 두 사건 모두 북한의 ‘이중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미사일 발사라는 군사적 과시를 통해서 국제 사회의 이목을 끌어 경제적 이득을 얻으려 하였으며, 불안정한 북한 체제를 확고히 다지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의 이러한 도발은 미국의 반응을 이끌어 내는 데에는 성공했다. 하지만 미국의 대응 방식은 과거의 모습과는 확연히 달랐다. 과거에는 미국 정부가 북한이 의도대로 페리보고서를 통해 양자회담을 이끌어 내었고 북미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북한에게 경제적 이득을 약속해 주었다.
그러나 현재 미국 정부는 북미양자회담만을 요구하는 북한 정부의 의견에 대해서 수용할 의사를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6자회담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는 북한 정부가 6자회담에 복귀하지 않으면 북한에게 어떠한 경제적 지원도 해줄 관심도 의도도 전혀 없다는 美 국무장관 클린턴의 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미국이 북한의 위협에 끌려 다니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과 함께 추가 도발을 하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의 의미가 함께 담겨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정리한 바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진행 과정은‘불완전한 제재 후 대화’로 이어졌던 과거의 방식과는 달리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북한 역시 더 이상 자신만의 입장만을 내세우는 과거의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 물론 북한의‘이중전략’에 기반한 교과적인 외교 정책은 힘없는 나라의 매우 효과적인 외교정책의 모습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런 해결방식은 단기적 수준에서 도움이 될 뿐 북한이 원하는 체제 안정에 대한 근원적 해결 방법이 되지 못한다. 지금까지의 군사적 수단을 통한 외교정책보다는 대화를 통해 외교정책으로 국제사회에 좀 더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과거의 모습을 버리고 좀 더 전향적인 외교 자세를 취하여 더욱 발전적인 북·미관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고,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곽태환, 「북미관계의 변화와 한반도 정세」,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2007.
김국신, 「북한의 핵실험과 국제 사회의 대응」, 통일 연구원, 2006.
김동석, 「탈 냉전기 동북아 안보 정세와 북한의 대남, 대미 정책」, 2003.
김두희, 「북한 로켓 미스터리 - 대포동 쇼크가 남긴 교훈」,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1998년 10월호(통권 제154호)』, 1998.
김득봉, 「김정일정권의협상전략:제네바 핵합의와 미사일협상을 중심으로」, 2004.김명철· 김용호, 「향후 북한의 6자회담 전략 및 대미전략」, 2007.
김태우, 「미, 북핵, 미사일 협상 및 한반도 위기설에 관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 국회 국방위원회, 2002.
박종철, 「페리프로세스와 한미일 협력 방안」, 통일연구원, 2000.
박종철, 「북미 미사일 협상과 한국의 대책」, 통일연구원, 2000.
박휘락, 「집중분석: 북한, 대포동 2호 미사일 개발 가속화」,
『통일한국 2008년 10월호』(통권 제298호), 평화문제연구소, 2008.
배정호, 「미, 북핵, 미사일 협상 및 한반도 위기설에 관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 국회 국방위원회, 2002.
배정호,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준과 장거리 로켓 발사의 전략적 의도」,
통일연구원, 2009.
오일환, 「김정일 시대 북한의 외교 전략」, 2003.
유석렬, 「미북관계 개선전망과 우리의 대응」, 외교안보연구원, 2001.
이삼성, 「통일시론통권4호」, 청명문화재단, 1999.
이상춘,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주변국 인식」, 『군사논단, 46권』,
한국 군사 학회, 2006.
이정연, 「북한군에는 건빵이 없다?」, 플래닛 미디어, 2009.
이정철, 「북· 미 대립과 한미동맹 : 변화와 딜레마」, 2009.
이정환, 「북한로켓 경제에 영향 없다지만」, 미디어오늘, 2009.
이정환, 「북한장거리로켓-미사일 한눈에 보기」,『factbook』, 국회도서관, 2009.
임재형, 「탈 냉전기 북한외교정책의 변화요인과 대응전략-
김정일 시대를 중심으로」, 2001.
장영근,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미국 레이저로 막 을까」,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2006년 8월호(통권 제248호)』, 2006.
전성훈, 「통일시론통권4호」, 청명문화재단, 1999.
정욱식, 「북핵, 대파국과 대타협의 갈림길」, 창해, 2005
정욱식, 「저널리즘 리뷰-전문가진단: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어떻게 봐야 하는가」, 『[KPF]신문과 방송-제428호』, 한국언론재단, 2006.
정욱식, 「대북강경책은 불난 데 기름 붓는 격 될 것」, 『신문과 방송』,
한국신문연구소, 2006
창 석, 「북한 미사일 발사의 의미」, 블로그 로마인 이야기.
최종희, 「북· 미 관계의 전망에 관한 연구 -현안 문제 중심으로」, 2003.
최진욱, 「북한의 로켓발사 배경과 향후 전망」, 통일연구원, 2009.
최진욱,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 후 미북 관계 전망」, 통일연구원, 2009.
GNNNEWS21, 「북한-이란, 세계안보 위협할 '축'」, 블로그 경남일보 파워블로그.
GNNNEWS21, 「북한 로켓발사, 진짜 속내는?」, 블로그 경남일보 파워블로그 .
.
이러한 흐름으로 본다면 향후 미국은 형식적으로는 대북 협상자세를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취할 것이다. 하지만 북한이 방심한 사이 다른 한편으로는 대량 살상무기 확상방지구상(PSI)과 미사일방어(MD) 체제를 더 강화시키려고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본 논문에서는 1998년 대포동 1호 미사일과 2009년 대포동 2호 미사일, 두 발사 사건들을 통해서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두 사건의 공통된 측면으로는 두 사건 모두 북한의 ‘이중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미사일 발사라는 군사적 과시를 통해서 국제 사회의 이목을 끌어 경제적 이득을 얻으려 하였으며, 불안정한 북한 체제를 확고히 다지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의 이러한 도발은 미국의 반응을 이끌어 내는 데에는 성공했다. 하지만 미국의 대응 방식은 과거의 모습과는 확연히 달랐다. 과거에는 미국 정부가 북한이 의도대로 페리보고서를 통해 양자회담을 이끌어 내었고 북미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북한에게 경제적 이득을 약속해 주었다.
그러나 현재 미국 정부는 북미양자회담만을 요구하는 북한 정부의 의견에 대해서 수용할 의사를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6자회담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는 북한 정부가 6자회담에 복귀하지 않으면 북한에게 어떠한 경제적 지원도 해줄 관심도 의도도 전혀 없다는 美 국무장관 클린턴의 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미국이 북한의 위협에 끌려 다니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과 함께 추가 도발을 하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의 의미가 함께 담겨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정리한 바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진행 과정은‘불완전한 제재 후 대화’로 이어졌던 과거의 방식과는 달리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북한 역시 더 이상 자신만의 입장만을 내세우는 과거의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 물론 북한의‘이중전략’에 기반한 교과적인 외교 정책은 힘없는 나라의 매우 효과적인 외교정책의 모습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런 해결방식은 단기적 수준에서 도움이 될 뿐 북한이 원하는 체제 안정에 대한 근원적 해결 방법이 되지 못한다. 지금까지의 군사적 수단을 통한 외교정책보다는 대화를 통해 외교정책으로 국제사회에 좀 더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과거의 모습을 버리고 좀 더 전향적인 외교 자세를 취하여 더욱 발전적인 북·미관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고,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곽태환, 「북미관계의 변화와 한반도 정세」,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2007.
김국신, 「북한의 핵실험과 국제 사회의 대응」, 통일 연구원, 2006.
김동석, 「탈 냉전기 동북아 안보 정세와 북한의 대남, 대미 정책」, 2003.
김두희, 「북한 로켓 미스터리 - 대포동 쇼크가 남긴 교훈」,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1998년 10월호(통권 제154호)』, 1998.
김득봉, 「김정일정권의협상전략:제네바 핵합의와 미사일협상을 중심으로」, 2004.김명철· 김용호, 「향후 북한의 6자회담 전략 및 대미전략」, 2007.
김태우, 「미, 북핵, 미사일 협상 및 한반도 위기설에 관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 국회 국방위원회, 2002.
박종철, 「페리프로세스와 한미일 협력 방안」, 통일연구원, 2000.
박종철, 「북미 미사일 협상과 한국의 대책」, 통일연구원, 2000.
박휘락, 「집중분석: 북한, 대포동 2호 미사일 개발 가속화」,
『통일한국 2008년 10월호』(통권 제298호), 평화문제연구소, 2008.
배정호, 「미, 북핵, 미사일 협상 및 한반도 위기설에 관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 국회 국방위원회, 2002.
배정호,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준과 장거리 로켓 발사의 전략적 의도」,
통일연구원, 2009.
오일환, 「김정일 시대 북한의 외교 전략」, 2003.
유석렬, 「미북관계 개선전망과 우리의 대응」, 외교안보연구원, 2001.
이삼성, 「통일시론통권4호」, 청명문화재단, 1999.
이상춘,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주변국 인식」, 『군사논단, 46권』,
한국 군사 학회, 2006.
이정연, 「북한군에는 건빵이 없다?」, 플래닛 미디어, 2009.
이정철, 「북· 미 대립과 한미동맹 : 변화와 딜레마」, 2009.
이정환, 「북한로켓 경제에 영향 없다지만」, 미디어오늘, 2009.
이정환, 「북한장거리로켓-미사일 한눈에 보기」,『factbook』, 국회도서관, 2009.
임재형, 「탈 냉전기 북한외교정책의 변화요인과 대응전략-
김정일 시대를 중심으로」, 2001.
장영근,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미국 레이저로 막 을까」,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2006년 8월호(통권 제248호)』, 2006.
전성훈, 「통일시론통권4호」, 청명문화재단, 1999.
정욱식, 「북핵, 대파국과 대타협의 갈림길」, 창해, 2005
정욱식, 「저널리즘 리뷰-전문가진단: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어떻게 봐야 하는가」, 『[KPF]신문과 방송-제428호』, 한국언론재단, 2006.
정욱식, 「대북강경책은 불난 데 기름 붓는 격 될 것」, 『신문과 방송』,
한국신문연구소, 2006
창 석, 「북한 미사일 발사의 의미」, 블로그 로마인 이야기.
최종희, 「북· 미 관계의 전망에 관한 연구 -현안 문제 중심으로」, 2003.
최진욱, 「북한의 로켓발사 배경과 향후 전망」, 통일연구원, 2009.
최진욱,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 후 미북 관계 전망」, 통일연구원, 2009.
GNNNEWS21, 「북한-이란, 세계안보 위협할 '축'」, 블로그 경남일보 파워블로그.
GNNNEWS21, 「북한 로켓발사, 진짜 속내는?」, 블로그 경남일보 파워블로그 .
키워드
추천자료
- [관광학] 북한관광의 현황과 잠재력및 전략분석
- 북한의 군사 위협
- [남한 군사력][북한 군사력][북한 붕괴][북한의 변화]남한과 북한의 군사력 비교와 북한 붕괴...
- [북한][군사정책][핵무기개발][주한미군][대북정책]북한의 군사정책과 핵무기개발 현황 및 주...
- 북한의 군사 (북한군 성격과 기능, 군사기구, 남북 군사력 비교)
- [북한][미사일개발][탄도미사일][북한 미사일]북한의 미사일 개발, 수준과 탄도미사일의 위협...
- 북한 핵정책에 관련한 군사정책의 변화과정과 북미협상의 전망
- 사회주의권 붕괴이후 북한의 북미관계개선을 통한 생존모색과 전략
- [북한]북한의 대남 적화 통일 전략
- 북한의 미사일 위협과 우리의 안보태세
- 북한의 군사제도에 대한 연구
- 북한의 군사에 관한 고찰
- 북한의 미사일 문제 프레젠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