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세계의역사와문화]세계 유일의 자연보고라고 하는 아프리카는 왜 여전히 가난한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3세계의역사와문화]세계 유일의 자연보고라고 하는 아프리카는 왜 여전히 가난한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

[ 본 론 ]
Ⅰ. 문제 제기
1. 어떠한 역사적 요인으로 여전히 가난한가?
2. 어떠한 문화적 요인으로 여전히 가난한가?
Ⅱ. 세계 유일의 자연보고라고 하는 아프리카가 여전히 가난한 역사적 요인
1. 아프리카 대륙의 인류 태동
2. 고대 아프리카 왕국들
3. 노예무역시대
4. 전도와 탐험의 시대
5. 식민지 시대
6. 아프리카 민족운동 시대
7.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시대
Ⅲ. 세계 유일의 자연보고라고 하는 아프리카가 여전히 가난한 문화적 요인
1. 논리적이기보다 감성적이다
2. 백인 콤플렉스가 있다
3. 시간관념이 희박하다
4. 말은 많고, 행동은 적다
5. 협력(Cooperation)의 개념을 달리한다.
6. 특히 북아프리카인 들은 자존심이 강하다
7. 낮보다 밤이 더 활력이 넘친다
8. 낙천적인 기질이다
9. 아프리카의 전통문화가 점차 사려져가고 있다
10. 춤과 노래는 생활의 일부이다

[ 결 론 ]
1. 역사적 요인에 관한 생각과 의견
2. 문화적 요인에 관한 생각과 의견

[참고 자료]

본문내용

넘는 교역은 활발해졌으며 젠네, 통부크투, 우알라타 등의 도시는 교역, 종교,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16세기 초에는 남쪽의 카치나, 자리아, 카노의 하우사족 등 여러 국가를 멸하여 영토는 대서양 연안까지 이르렀으며 부5방에서는 투아레그족의 근거지 에일과 아가데스를 점령했다. 그러나 왕이 죽은 뒤 계속되던 계승자 싸움과 1590년 북방 모로코군의 남하로 송가이제국은 멸망했다.
동아프리카 해안에서 7세기에 아라비아반도에서는 이슬람교도 후계자 싸움에서 패한 시아파 사람들이 오만에서 이주해왔다. 아람인은 이 지역을 잔지라 하여 라무, 말린디, 몸바사, 펨바, 잔지바르, 킬와, 모잡비크, 소팔라 등지에 도시를 건설하고, 인도양 교역으로 번영했다. 아랍인은 잔지의 산물인 금, 철, 상아, 노예 등을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인도로 운반하였고, 인도산의 직물류와 장식구슬, 중국제 도자기를 들여왔다. 해안 제도시의 번영에 관해서는 10세기으 아랍지리학자 마수디나 12세기의 모고코 지리학자 알이드리시가 기록하고 있다. 이들 동해안의 도시들은 인도양 교역이라는 상업활동을 공통된 경제적 기반으로 삼고 있는 외에 이슬람문화와 스와힐리어를 공유하면서 발전해 나갔다.
1417∼19년에는 명나라의 정화(鄭和)가 함대를 이끌고 동아프리카해안에 내항하였다. 그 뒤 1498년에 바스코 다가마가 동해안에 도래한 이후 포르투갈인이 해안 도시들을 습격하여 공물을 강요했으며, 무력으로 도시를 약탈하기도 했다. 이 도시들은 단독으로 또는 연합하여 포르투갈인에 대항했으나, 그 대부분은 패하여 해안부 및 인도행 교역은 포르투갈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상의 고대 아프리카 여러 왕국은 대부분 그 경제적 기반을 <장거리 교역>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프랑스의 경제학자 비드로비치는 <아시아적 생산양식>의 한 변형으로 <아프리카적 생산양식>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3. 노예무역시대
15세기 유럽인의 대항해시대 개막은 종래부터 있어왔던, 북아프리카로부터 사하라사막을 넘는 교역과 인도양을 통한 동아프리카의 아랍인 교역대신, 그들이 아프리카해안부와 접촉할 기회를 가져왔다.
개막 당시 유럽인의 목적은 동인도와의 향료무역(香料貿易)이었으며, 아프리카해안선은 단순히 원양 항해를 위한 보급기지로서의 의미밖에 없었다. 그러나 신대륙이 발견되고 그곳의 광산개발과 사탕수수, 담배, 인디고(염료) 등의 플렌테이션이 진전됨에 따라 노동력으로서의 아프리카인 노예의 가치가 올라가고 포르투갈, 에스파냐를 비롯하여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 여러 나라가 대서양노예무역에 종사하게 되었다. 특히 18세기에는 서인도제도에 대한 노예수출, 서인도제도로부터 유럽으로 열대산물의 수출, 그것을 받아들여 가공한 제품을 아프리카로 운반하여 노예와 교환하는 이른바 삼각무역이 성립하여 노예수출은 최고조에 달했다.
이 대서양노예무역의 규모에 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종래 갖가지추정(推定)이 시도되어 왔으나, 통설로는 1500만∼2000만 명으로 되어 있었다. 이 통설에 대해 역사학 교수 커틴은 과학적 근거에 바탕을 둔 추정에 의해 종래의 통설을 정정하였다.
먼저, 종래의 통설 형성과정을 박히고 그 비과학성을 지적했다. 그리고 나서 직접적인 증거로서 한계는 있으나 노예 수입치를 사용했으며 나아가서 선적기록 (노예무역에 관여했던 선박수, 적재량, 항해중의 손실, 즉 발병, 기아, 반항 등에 의한 사망 등)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간접자료조서 인용 가능한 인구통계나 서인도제도 및 미국의 생산력 등에 따라 추계를 내서 4세기 반에 걸친 노예무역 규모를 956만 6100명으로 했다.
그 시대별 수출 수는 1456∼1600년 27만 4900명, 1601∼1700년 134만 1100명, 1701∼1810년 605만 1700명, 1811∼1870년 189만 8400명으로 최전성기는 18세기였다. 수출선은 전 기간을 통해 최대가 남아프리카로서 470만 명, 그 다음은 카리브해제도로서 404만 명, 북, 중앙아메리카가 65만 1000명, 유럽이 17만 5000명으로 되어 있으며, 나라별로는 브라질, 아이티, 자메이카, 쿠바 순으로 되어 있다. 또 수출 측 서아프리카를 보면 제네감비아로 부터 곡물해안, 상아해안에 이르는 상(上)기니는 노예수출이 비교적 적었으며, 골드코스트로부터 카메룬에ㅐ 이르는 하(下)기니, 그 중에서도 니제르강 하구주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럽인이 해안부족에서 무기, 화약을 제공하고, 내륙부족에게 인도하는 식으로 노예포획이 이루어졌고, 그 거래에는 금, 은화가 아니라 갖가지 유럽제품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남녀 두 사람의 노예에 대해서는 연초 한두름, 관상(管狀)산호 한 연, 머스킷총 1정, 단검 3개, 러주(酒) 3병, 린넨손수건 24장, 1파인트들이 용기 12개 등이었고, 특히 총, 화약, 주류(酒類), 직물류 등이 주요 거래상품이었다.
이 노예무역이 서아프리카 사회에 끼친 영향은 컸다. 첫째, 아프리카 인구의 감소이다.이 문제는 주로 한창 일할 나이인 청년층들이 노예의 주 대상이 됨으로써 아프리카 경제발전에 큰 저해 요인이 되었다는 점이다.둘째는 무역과 산업 즉 경제적인 영향을 들 수 있다.셋째는 아프리카의 정치, 사회학적인 변화를 들 수 있다.18세기 후반이 되자, 영국에서 주로 인도적인 이유에서 노예제 및 노예무역을 폐지하라는 소리가 높아졌다.
W. 월버포스는 T.크라크슨 등과 함께 1786년 노예무역폐지협회를 설립했다. 이어서 그들은 1823년 반노예제협회를 창립하고 의회에 출두했으나, 노예제로 이익을 보고 있던 상인이나 플랜테이션 소유자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성과를 못보고, 1833년에야 가까스로 영국제국 내의 노예제가 폐지되었다. 이어서 영국은 다른 유럽 여러나라에 대해서도 노예무역 및 노예제를 폐지할 것을 호소하여, 잇따라 폐지되어갔다. 그러나 폐지 후에도 노예밀무역은 계속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노예무역이 끝난 것은 1870년대가 되어서였다.
노예무역폐지 후, 노예를 대신하게 된 상품으로 유럽이 아프리카에서 찾은 것은 열대산물이었다. 즉, 서아프리카해안부의 야자유(뒤에는 팜핵도 포함)와 세네갈이 땅콩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산업혁명을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10.04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