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향가의 개요
1. 개념
2. 현전작품
3. 향가의 형식
1) 4구체
2) 8구체
3) 10구체
4. 향가의 작자층과 내용
5. 향가의 문학사적 의의
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1.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2. 처용가의 작품해석
Ⅲ.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독
2. 원왕생가의 작품이해
Ⅳ.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가
1. 원가의 원문
2. 원가의 작품논의
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안민가
1. 안민가의 원문과 해독
2. 안민가의 작품논의
Ⅵ.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우적가
1. 우적가의 원문과 해독
1) 우적가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우적가의 배경 설화
참고문헌
1. 개념
2. 현전작품
3. 향가의 형식
1) 4구체
2) 8구체
3) 10구체
4. 향가의 작자층과 내용
5. 향가의 문학사적 의의
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1.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2. 처용가의 작품해석
Ⅲ.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독
2. 원왕생가의 작품이해
Ⅳ.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가
1. 원가의 원문
2. 원가의 작품논의
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안민가
1. 안민가의 원문과 해독
2. 안민가의 작품논의
Ⅵ.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우적가
1. 우적가의 원문과 해독
1) 우적가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우적가의 배경 설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가
1. 원가의 원문
2. 원가의 작품논의
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안민가
1. 안민가의 원문과 해독
2. 안민가의 작품논의
Ⅵ.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우적가
1. 우적가의 원문과 해독
1) 우적가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우적가의 배경 설화
참고문헌
Ⅰ. 향가의 개요
1. 개념
향가란 넓은 의미로는 중국 노래에 대한 우리 노래를 뜻하는 것으로, 좁은 의미로는 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향찰식 문자로 지어진 노래 전반을 총칭하는 용어로 쓰인다.
2. 현전작품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 총 25수.
(고려 예종이 지었다는 <도이장가>와 정서의 <정과정>을 각각 그 문자와 형식의 유사성을 근거로 향가의 잔영으로 본다.)
3. 향가의 형식
1) 4구체
주로 구전되던 민요나 동요가 정착된 것
2) 8구체
4구체에서 10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과도기적 형식
3) 10구체
가장 정제된 10구체는 세련되고 격조 높은 서정시로서, 기교나 서정성이 뛰어나다. 의미상 세 단락으로 구분되는데 마지막 단락의 첫머리는 감탄사로 시작되어 이와 유사한 형식을 지니는 후대의 시가 양식인 시조나 가사에 향가가 직접 영향을 끼친 증거로 파악된다.
4. 향가의 작자층과 내용
현실적인 문제를 초월한 영원한 세계를 탐구하려는 철학적 바탕이다. 대부분 승려나 화랑 등 귀족층이었으며 내용 역시 불교적 색체가 짙고 축사, 우애, 연모, 치국의 이상 등을 주제로 삼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향가의 주술적인 효력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5. 향가의 문학사적 의의
통일신라 이후 민족문학으로서의 개성을 지니면서, 사상면에서는 물론 소박하면서도 심도 있는 수사를 개척하여 주체성을 구현한 양식이다.
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1.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東京明期月良 ( 긔 래)
夜入伊遊行如何 (밤 드리 노니다가)
入良沙寢矣見昆 (드러 자리 보곤)
脚烏伊四是良羅 (가리 네히어라)
二隱吾下於叱古 (둘흔 내해엇고)
二隱誰支不焉古 (둘흔 뉘해언고.)
本矣吾下是如馬於隱 (본 내해다마)
奪叱良乙何如爲理古 (아 엇디하릿고)
2. 처용가의 작품해석
신라 헌강왕 때 처용랑이 지었다고 하는 8구체의 향가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처용랑은 용의 아들인데, 헌강왕을 따라 경주로 와서 벼슬을 했다. 그의 아름다운 아내를 역신이 범하자 이 노래를 부르니 역신이 물러갔다고 한다. 이 노래는 處容戱의 일부로 불렸으리라고 생각되며, 驅儺 의식요가 아니었던가 한다.
한편 고려속요로서 같은 제목의 <처용가>가 있는데, 신라 <처용가>와 같이 처용이 역신을 몰아내는 내용이다. 처용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고, 역신에 대한 처용의 분노가 절실하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역시 처용희의 일부로써 가창되었다.
<처용가>에 대한 해석상의 논란은 ‘처용’의 정체 규명에서 비롯된다. 민속신앙적 관점에 따른 견해 중에는 처용이 邪惡을 물리치는 주술적인 힘을 가질 뿐만 아니라 ‘帝雄’으로서 사악을 짊어지고 대신 버려짐으로써 선을 맞게 하는 進慶의 呪力을 갖는 복합적 신격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처용을 무당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처용 아내의 간통은 異客寬大와 결부된, 惡神을 화락하게 만들어 보내려는 後餞 풀이로 본다. 더 나아가 처용이 巫이면서도 동시에 巫의 신이기도 한 동해 용신을 主神으로 섬기는 강신무라고 보는 견해도 있는데, 역신은 역병을 주는 귀신이며 그의 간통은 처용의 아내가 역병에 걸린 상태를 말함이고, 처용의 가무는 역병을 고치는 치병 의례로서 주술적 성격을 가진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처용 설화는, 巫神이며 驅疫神이고 또한 門神인 처용신의 본풀이라고 그 성격을 규정하고, 처용가는 처용신의 유래를 설명한 서사 무가에 삽입된 주술 무가라 하였다.
불교 신앙적 관점에 따르면 처용은 호국호법의 용이고, 그의 補佐王政과 가무는 중생 교화로서의 임무 수행이자 불교적 교화 가무의 의미를 지닌다고 하였다. 처용가의 경우, 覺月로 상징된 천상적 이미지와 간음으로 나타난 지상적 현실 사이에는 聖과 俗으로 대비될 만한 극도의 대립이 설정되면서, 동시에 높은 차원으로 지양된 세계를 보여준다고 하여, 불교적 인간관에 바탕을 둔 격조 높은 작품으로 이해하였다.
Ⅲ.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독
願往生歌
月下伊低亦 (하 이뎨)
西方念丁去賜里遣 (西方장 가샤리고)
無量壽佛前乃 (無量壽佛 前에)
惱叱古音多可 白遣賜立 (
1. 원가의 원문
2. 원가의 작품논의
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안민가
1. 안민가의 원문과 해독
2. 안민가의 작품논의
Ⅵ.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우적가
1. 우적가의 원문과 해독
1) 우적가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우적가의 배경 설화
참고문헌
Ⅰ. 향가의 개요
1. 개념
향가란 넓은 의미로는 중국 노래에 대한 우리 노래를 뜻하는 것으로, 좁은 의미로는 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향찰식 문자로 지어진 노래 전반을 총칭하는 용어로 쓰인다.
2. 현전작품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 총 25수.
(고려 예종이 지었다는 <도이장가>와 정서의 <정과정>을 각각 그 문자와 형식의 유사성을 근거로 향가의 잔영으로 본다.)
3. 향가의 형식
1) 4구체
주로 구전되던 민요나 동요가 정착된 것
2) 8구체
4구체에서 10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과도기적 형식
3) 10구체
가장 정제된 10구체는 세련되고 격조 높은 서정시로서, 기교나 서정성이 뛰어나다. 의미상 세 단락으로 구분되는데 마지막 단락의 첫머리는 감탄사로 시작되어 이와 유사한 형식을 지니는 후대의 시가 양식인 시조나 가사에 향가가 직접 영향을 끼친 증거로 파악된다.
4. 향가의 작자층과 내용
현실적인 문제를 초월한 영원한 세계를 탐구하려는 철학적 바탕이다. 대부분 승려나 화랑 등 귀족층이었으며 내용 역시 불교적 색체가 짙고 축사, 우애, 연모, 치국의 이상 등을 주제로 삼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향가의 주술적인 효력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5. 향가의 문학사적 의의
통일신라 이후 민족문학으로서의 개성을 지니면서, 사상면에서는 물론 소박하면서도 심도 있는 수사를 개척하여 주체성을 구현한 양식이다.
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1.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東京明期月良 ( 긔 래)
夜入伊遊行如何 (밤 드리 노니다가)
入良沙寢矣見昆 (드러 자리 보곤)
脚烏伊四是良羅 (가리 네히어라)
二隱吾下於叱古 (둘흔 내해엇고)
二隱誰支不焉古 (둘흔 뉘해언고.)
本矣吾下是如馬於隱 (본 내해다마)
奪叱良乙何如爲理古 (아 엇디하릿고)
2. 처용가의 작품해석
신라 헌강왕 때 처용랑이 지었다고 하는 8구체의 향가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처용랑은 용의 아들인데, 헌강왕을 따라 경주로 와서 벼슬을 했다. 그의 아름다운 아내를 역신이 범하자 이 노래를 부르니 역신이 물러갔다고 한다. 이 노래는 處容戱의 일부로 불렸으리라고 생각되며, 驅儺 의식요가 아니었던가 한다.
한편 고려속요로서 같은 제목의 <처용가>가 있는데, 신라 <처용가>와 같이 처용이 역신을 몰아내는 내용이다. 처용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고, 역신에 대한 처용의 분노가 절실하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역시 처용희의 일부로써 가창되었다.
<처용가>에 대한 해석상의 논란은 ‘처용’의 정체 규명에서 비롯된다. 민속신앙적 관점에 따른 견해 중에는 처용이 邪惡을 물리치는 주술적인 힘을 가질 뿐만 아니라 ‘帝雄’으로서 사악을 짊어지고 대신 버려짐으로써 선을 맞게 하는 進慶의 呪力을 갖는 복합적 신격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처용을 무당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처용 아내의 간통은 異客寬大와 결부된, 惡神을 화락하게 만들어 보내려는 後餞 풀이로 본다. 더 나아가 처용이 巫이면서도 동시에 巫의 신이기도 한 동해 용신을 主神으로 섬기는 강신무라고 보는 견해도 있는데, 역신은 역병을 주는 귀신이며 그의 간통은 처용의 아내가 역병에 걸린 상태를 말함이고, 처용의 가무는 역병을 고치는 치병 의례로서 주술적 성격을 가진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처용 설화는, 巫神이며 驅疫神이고 또한 門神인 처용신의 본풀이라고 그 성격을 규정하고, 처용가는 처용신의 유래를 설명한 서사 무가에 삽입된 주술 무가라 하였다.
불교 신앙적 관점에 따르면 처용은 호국호법의 용이고, 그의 補佐王政과 가무는 중생 교화로서의 임무 수행이자 불교적 교화 가무의 의미를 지닌다고 하였다. 처용가의 경우, 覺月로 상징된 천상적 이미지와 간음으로 나타난 지상적 현실 사이에는 聖과 俗으로 대비될 만한 극도의 대립이 설정되면서, 동시에 높은 차원으로 지양된 세계를 보여준다고 하여, 불교적 인간관에 바탕을 둔 격조 높은 작품으로 이해하였다.
Ⅲ.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독
願往生歌
月下伊低亦 (하 이뎨)
西方念丁去賜里遣 (西方장 가샤리고)
無量壽佛前乃 (無量壽佛 前에)
惱叱古音多可 白遣賜立 (
추천자료
신라의 삼국통일과 남북국 그리고 삼국통일의 의의
신라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삼국의 형성과 몰락, 그리고 신라의 통일
통일 신라의 의식주 문화
신라 향가 25수 해독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한 비판적 접근
[처용가][신라 향가]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품해제, 신라 향가 처용가의 원문, 신라 향가 처용...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배경 설화,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신라 삼국통일 전후의 사회
신라의 삼국통일, 삼국의 화합인가
[신라문학][향가][한문학][향가 제망매가][향가 서동요][향가 처용가]신라문학과 향가, 신라...
[건축역사] 집과 인간의 관계 및 주거의 기원 (원시, 청동기, 철기, 고조선, 고대 사회, 통일...
신라 삼국통일의 원동력
신라의 삼국통일 레포트 : 신라의 삼국통일에 관한 고찰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