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와 한국 교육이념과의 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단군신화와 한국교육이념과의 관계

2. 삼국시대 교육의 특징 비교 분석

3. 삼국시대 유교 불교가 교육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의 의무
산중 → 민가, 두뇌→실생활, 전당 → 거리
로 옮겨 대중 불교에 힘썼다. (대중 불교, 부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국민생활의 실천적 윤리 기준을 제공 : 윤리 규범 원광법사의 오계
삼국시대의 국민도덕은 유교의 명륜하는 도덕교육도 있었지만, 불교의 5계도 전부가 덕목화 되어 국민도덕의 근본이 되었다.
■국민도덕의 근본 ☞ 불교의 5계
생물을 죽이지 마라(불살생 : 不殺生)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를 존중하고 폭력과 압박으로 억압하거나 손상하지 않으며 살생을 초래하지 않는다.
훔치지 마라(불투도 : 不偸盜)
⇒아낌없이 베풀어 주고 결코 남의 물건을 빼앗지 말라는 것으로 다른 사람이 주지 아니한 물질을 알게 모르게 착취(搾取)하거나 훔치지 않는다.
음행하지 마라(불사음 : 不邪淫)
⇒남녀 관계를 정정당당히 떳떳하게 하여 청정행(淸淨行)을 할 것이며 음란한 행위를 하지 않는다.
거짓말하지 마라(불망어 : 不妄語)
⇒진실한 말을 하고 결코 망령된 말을 하지 말라는 것으로 거짓말, 이간질, 나쁜말, 허황된 말을 하지 않는 것이다.
술 마시지 마라(불음주 : 不飮酒)
⇒바른 마음을 지키고 음주(飮酒)로 술에 취해 마음을 어지럽히지 말라는 것이 그 뜻이다. 술 마시는 것을 삼가 하라는 계율로 절대적인 계는 아니나 술로 인해 실수를 범하거나 위의 네 가지 계명(戒名)을 범하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다.
오계는 부처님 제자라면 승속(僧俗) 승려와 승려가 아닌 속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을 막론하고 지키고 간직해야 하는 계율로 특히 재가 남녀가 받을 다섯 가지의 계율이다.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은 몸으로 짓는 신업이고,
불망어는 입으로 짓는 구업이며
불음주는 마음으로 짓는 의업이다.
그리고 오계 가운데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 불망어는 불교의 기본계율로 밖에서 규제하는 계가 아니라 자기 심성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성품적인 계율, 절대적인 계율이라고 하며 모든 죄 가운데 가장 근본적이고 중대한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것을 4바라이라고 하여 계를 범하면 승가에서 축출 당하도록 중형이 가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다섯 번째 계인 불음주는 절대적인 계율은 아니나 음주로 인해 앞의 네 가지 계율을 범할 수 있으므로 술로 인한 온갖 죄악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근원이 되는 행위를 다스린 것이며 이를 포함하여 오계라고 한다.
-호국의 국민정신을 보급하는데 공헌
불교에서 이상적 국가와 국왕에 관하여 논한 인왕경, 밀교계의 경전 등을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또 원광ㆍ자장ㆍ의상 등의 사상적 경향에도 이러한 국가 관념이 왕성하였는데, 당시 활약하고 있었던 화랑도들도 승려들의 지도를 많이 받았던 것이다.
이와 같이 국가관ㆍ전쟁관을 전제로 하여 성립한 불교의 호국사상은 당시 삼국인들에게 국가를 위하여 모든 것을 희생하려는 공공적 협동 정신을 길러주었다. 특히 신라인들에게는 ‘한 민족, 한 국가’라는 삼국 통일의 염원을 달성하는 데 그 정신적인 밑받침이 되었다.
-사찰은 유생들의 학문과 수신의 장소로 교육기관으로 활용
사원의 교육장화 - 수양, 학문과 수신(수기), 수도사의 길 -인격형성
불교의 사원은 모든 인간이 자각 혹은 각타(覺陀) 스스로 깨달음과 동시에 남을 개오시켜, 생사고에서 떠나게 함
하는 장소로써의 그 의미가 부여된 곳이다. 그래서 독서자가 독서삼매에 들어간다는 것은 오로지 사원이란 장소에서만 실천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에 불교도들뿐만 아니라 삼국시대 유교의 독서인들도 사원을 학문과 수신의 장소로 택했고, 신라의 화랑도들도 일종의 수양여행으로 사원을 찾아다니면서 그들의 도의와 정서를 연마한 것이다.
4. 예술과 문학의 발달에 공헌
우리나라 고대문학의 대부분은 불교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삼국유사>에 보이는 현존 신라가요의 대부분이 불교중심의 작품인데, 이것은 승려가 향가 작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통하여 고대에 있어 그들의 문학적 활동이 컸었다는 증거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불교는 삼국시대 우리 민족에게 철학사상을 가져다주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바탕으로서 절대적인 가치를 주었다. 그리고는 생활과 도덕의 근본이 되었으며, 또한 국가의 정신적인 수호자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이러한 것이 유교와 불교가 교육에 미친 영향이라 볼 수 있다.
교육철학과 교육사
1조
강휘정. 강민정. 권슬기. 홍나래
목 차
1. 단군신화와 한국교육이념과의 관계
2. 삼국시대 교육의 특징 비교 분석
3. 삼국시대 유교 불교가 교육에 미친 영향

키워드

불교,   유교,   교육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0.16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