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예술의 이해 사이버강의 중간고사 2021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예술의 이해 사이버강의 중간고사 202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화예술의 이해
영화예술론, 영화사, 영화제작론, 영화비평과 문화 4파트 나누어 분류!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에 접근한다.
영화는 발명품이 아닌 영화는 우연히 발견된 문명의 이기다. 카메라와 필름, 영사기의 삼위일체가 만들어낸 결과물로서 영화를 이해한다.
1주차 강의 - 1교시
영화서설, 영화탄생, 움직임의 재현
1. 영화탄생의 원초적 의미
- 영화는 문화의 보고
영화는 그 시대 그 나라의 문화와 예술 모든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정보창고이다. 영화는 이제 1세기를 지낸 문화의 보고이다. 영화의 100년사는 다른 어떤 예술사와 역사의 1000년사와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놀랄만한 성장을 보여 주었다. 영화는 움직임의 재현을 영상으로 성취한 종합예술이다. 영화예술이 갖는 종합 예술성의 위력은 인간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 넘어 무한한 상상의 세계를 창조한다. 영화의 본질을 추구하는 인간의 노력들은 이땅 구석구석에 남겨져 있다. 그 좋은 예로 바로 동굴벽화이다.
- 동굴벽화의 의미
. 8개의 다리를 가진 멧돼지를 그린 원시시대의 동굴벽화의 움직임의 재현을 성취하고자 한 원시인의 욕망이었다.
. 이집트의 미이라도 영원한 시간을 쟁취하고자 노력하였던 영화의 본질을 구현하는 선인들의 꿈이었다.
. 영화의 본질은 시간과 공간의 지배를 통한 현실의 재현이 목적이다.
2. 영화탄생의 흔적들
움직임의 재현을 성취한 오늘의 영화가 발명되기까지 그 고증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다. 영화예술의 기술적인 여건의 삼위일체= 카메라 +필름 + 영사기 영화는 이 발명품의 결과물이다. 영화탄생에 대한 고증은 고대학자들이 제시한 시각적 잔상의 논리에서 시작하였다. 최초로 활동사진을 대중 앞에 영사하기 전까지의 노력은 인공광원을 이용해서 상을 투사하는 것이었다. 그 다음 투사된 영상을 연속시킴으로서 움직이는 영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노력들을 보여주는 동영상들을 살펴보자. 빛과 그림자 / 연속그림 / 움직이는 그림 / 리플북
중세기 마술적 환상의 매직래턴(magic lantern)이 보여준 영상의 스크린화와 사진술이 발명한 필름에 이르기까지 과학적 산물의 삼위일체로 탄생한 영상의 재현을 영화라 정의하였다.
3. 움직임의 재현을 시도한 발명품 (1) - 환등의 원리와 움직임의 착란
영화발명의 영화기술은 여러 요소들의 개별적인 발명이 선 조건이 되었다.
. 16세기 다빈치(Leonardo da vinci)의 암상자의 원리는 암실에 투사된 영상을 얻은 최초의 방법이었다. 어두운 방이라는 의미의 옵스큐리라 불렀다. 전원의 풍경을 스케치하는 과정에서 어두운 암상자의 바늘구멍을 뚫어 그 구멍을 통해 거꾸로 된 영상이 맺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 17세기 수학자 키르체(Athanasius Kircher)는 암상자 원리와는 반대로 인공광으로 상을 투사하는 이동카메라 옵스큐라를 만들었다. 바로 오늘날의 환등기의 원리와 같은 것이다. 두개의 암상자를 이용하여 거꾸로 된 상이 다시 올바르게 보이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 움직임을 착란한 도구들 ↙
. 1842년 로제(Peter Mark Roger)는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보고 나서 그것이 사라진 후 1/10 초 동안 그것을 보고 있는 것처럼 즉, 잔상이 남아 있는 착각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 1826년 영국의 의사, 파리스(John Ayroton Paris)는 회전요지경(그리스어명으로 쏘마트로프 Thaumatrope)를 만들었다. 이 기구는 양면에 그림이 있는 단순한 판자 원판으로 한 면에는 새, 반대 면에는 새장이 그려져 있다. 판자 원판이 돌아가면 새장에 갇힌 새의 모습을 연출하게 된다.
4. 움직임의 재현을 시도한 발명품 (2) - 애니메이션
. 영국의 수학자 아너(William George Honer)는 1834년 연속동작의 그림을 그려 놓고 움직이는 그림을 볼 수 있도록 만든 조트로프(Zoetrope)를 발명했다. 오늘날 만화영화의 기초를 확립한 발명품이다. 하나의 장난감으로 대중들에게 인기있는 상품으로 판매되었다.
. 1870년 말 레이노드(Emile Reynaud)는 셔터원리와 환등을 결합한 프락시 노스코프(Praxinoscope)를 개발하여 시각극장 (Theatre opique)을 운영했다.
. 프락시노스코프는 조트로프를 개조한 것으로 오늘의 만화영화와 다를 바 없다.
5. 움직임의 재현을 시도한 발명품 (3) - 사진술의 개발
. 빛에 민감한 질산은을 이용한 감광유체의 개발은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최초의 발견이었다.
. 1816년 니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0.10.26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