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어(사투리, 방언) 정의, 지역어(사투리, 방언) 가치, 지역어(사투리, 방언) 연구,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표준어,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사회방언, 지역어(사투리, 방언) 사용 실태, 지역어 문제점과 제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어(사투리, 방언) 정의, 지역어(사투리, 방언) 가치, 지역어(사투리, 방언) 연구,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표준어,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사회방언, 지역어(사투리, 방언) 사용 실태, 지역어 문제점과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정의

Ⅲ.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가치

Ⅳ.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연구

Ⅴ.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표준어
1. 음운의 차이
1) 음운 체계의 차이
2) 음운변동의 차이
2. 어휘의 차이
1) 어형의 차이
2) 의미의 차이
3) 특정 지역에만 사용되는 어휘
3. 문법의 차이
1) 문법 형태소의 차이
2) 문법 기능의 차이

Ⅵ.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사회방언

Ⅶ.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사용 실태
1. KBS 드라마
2. MBC 드라마
3. SBS 드라마
4. 종합

Ⅷ. 지역어(사투리, 방언)의 문제점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일반 언어학에서 언어학자들이 설정한 규칙은 그것이 화자들의 심리적 실재를 반영하는 것임이 입증되어야 규칙으로 수용될 수 있었다. 화자들의 심리적 실재를 반영하는 가장 명백한 증거는 대상 언어가 겪은 역사적 변화의 예인데, 그러한 예들은 자연어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어는 바로 방언이다.
이 점에서 일반 언어학적 연구와 관련된 방언 연구의 의의는 그것이 일반 언어학의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합리성을 뒷받침하는 실재적 증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일반 언어학의 이론이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지고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수정된다는 점에서도 일반 언어학에 대해 방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크다고 하겠다.
Ⅴ. 지역어(사투리, 방언)와 표준어
1. 음운의 차이
1) 음운 체계의 차이
첫째로 공통어와 지역 언어는 음운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경남 방언을 예로 들어 공통어와 지역 언어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음운은 일반적으로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도 이들 둘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음운은 음소와 운소로 나누고, 음소는 다시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며, 운소는 경상도 방언에 남아 있는 고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경남 방언의 자음 체계는 표준어의 자음 체계와 거의 같으나, 동부 경남 지역에서만 /s/(ㅅ)와 /s/(ㅆ)와 대립이 없고, 그 밖의 지역은 표준어의 자음 체계와 같다. 이 이외에도 경남 방언에는 //()이 음소로 설정될 가능성이 있다.
경남 방언의 단모음은 지역과 세대에 따라 표준어와 상당히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어, 어형의 변별에 어려움이 있다. 표준어의 단모음은 10개인데, 비해 경남 방언은 6개~8개의 단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박정수에서는 경남 A지역을 ‘남해, 하동, 사천, 고성’ 지역으로, 경남 B지역을 ‘진주, 산청, 함양’ 지역으로, 경남 C지역을 ‘울산, 양산, 김해, 밀양, 창원, 거제, 통영, 함안, 의령, 합천, 거창’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분은 대체적으로는 맞으나, 반드시 이 지역의 단모음 체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 이들 지역의 모음 체계는 유동적이라서, 같은 지역이라도 세대에 따라 모음 체계에 차이가 있는데, 이 표에는 드러나 있지 않다.]
표준어는 전설 이중 모음이 /ja/, /j/, /jo/, /ju/, /je/, /j/, /j/ 등 7개, 원순 이중 모음이 /wa/, /we/, /w/, /w/ 등 4개로 모두 11개의 단모음이 있다. 그런데 경남 방언에는 전설 이중 모음은 /ja/, /j/, /jo/, /ju/, /jE/ 등 5개가 있고, 원순 이중 모음은 /wa/, /w/, /wE/ 등 3개가 있다. 그리고 이 이중모음 앞에 자음이 올 경우에는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우리말에서 소리의 높낮이가 말의 뜻을 분화하는 방언은 경상도 방언과 함경도 방언 두 방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같은 음운 연쇄로 이루어진 단어라도 성조가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예. Hpita(전당잡히다) : piHta(붙잡히다), knipH(祖父宅) : knHip(大家) 등.
이와 같이 지역 언어의가 음운 체계가 공통어와 다른 것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모든 지역 언어가 가지고 있는 공통되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2) 음운변동의 차이
경남 방언에는 체언에 부사격조사 ‘-에’가 결합할 때 부사격조사는 체언의 말음이이 이응 음이면 체언의 마지막 모음에 완전 동화되는 음운 변동 규칙이 있다. 예. 장+에→장아, 성+에→성어, 지붕+에→지붕우, 고동+에→고동오 등. 이런 음운 변동은 공통어에는 없는 경남 방언(경상도 방언)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공통어의 용언 중에서 어간 말음이 ‘ㅂ’인 것은 규칙 활용을 하는 것도 있고, 불규칙 활용을 하는 것들도 있다. 그러나 경상도 방언에서는 ‘ㅂ’ 불규칙활용이 없다. 예컨대 공통어의 ‘더워’는 ‘더버’로, ‘미워’는 ‘미버’로, ‘구워’는 ‘꾸버’로 발음하는 등 모두 규칙 활용을 한다.
이와 같이 지역 언어는 음운 변동에 있어서도 공통어와 다른 지역 언어 나름의 음운 변동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이것이 지역 언어의 특색을 드러내고 있다.
2. 어휘의 차이
1) 어형의 차이
첫째는 지역 언어의 어형 중에는 공통어와 어형이 다른 것들이 많이 있다. 동일한 의미에 언어 형식인 어형만 다른 것들이 많이 있다.
이처럼 지역에 따라 어형이 다른 것은 그 지역의 언어 사용 관습에 따른 것으로 그 지역의 언어 특색을 드러내는 것이다. 지역 언어의 가장 큰 단위가 방언인데, 각 방언들은 방언 나름의 독특한 어형들이 있어, 이 다른 어형들이 방언의 특색을 드러낸다.
2) 의미의 차이
지역 언어의 뜻 넓이와 공통어의 뜻 넓이 다른 경우도 있다. 예컨대, 공통어에는 ‘물기나 때를 제거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에 단순 동작을 나타내는 ‘훔치다’와 반복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닦다’가 분화되어 있다. 그러나 경상도 방언에는 ‘닦다’가 이 두 뜻 넓이를 모두 어우르고 있다. 이처럼 공통어와 뜻 넓이가 다른 낱말들의 뜻 넓이를 정확하게 가르쳐 주는 것도 지역 언어 어휘교육에서 해야 할 일이다. 또 지역 언어의 어형 중에는 공통어와 뜻 넓이가 달라진 것들도 있어 이들에 대한 것도 각별히 주의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경상도 방언의 ‘부석’과 공통어의 ‘부엌’은 어원이 같아 그 뜻 넓이도 같은 ‘아궁이’라는 뜻의 말이었으나, 경상도 방언의 ‘부석’은 원래의 의미대로 쓰이고 있으나, 공통어의 ‘부엌’은 ‘주방(廚房)’으로 뜻이 바뀌어 쓰이고 있다. 따라서 지금 공통어와 경상도 방언에서는 ‘부엌 : 정지’, ‘아궁이 : 부석’이 대응되어 쓰이고 있다. 이처럼 공통어와 뜻 넓이에 차이가 있는 지역 언어 어형들도 그 뜻 넓이를 대응시켜 가며 지도해야 가르쳐야 할 것이다.
3) 특정 지역에만 사용되는 어휘
다음으로는 지역 언어들 중에는, 옛말 중에서 공통어에는 없어졌으나 지역 언어에서만 살아남아 있는 어휘들이 있다. 예컨대, 15세기에 널리 쓰이던 ‘다(,偕)’라는 어형은 경상도 방언에서는 아직도 ‘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11.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