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예술의 이해-기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총체예술의 이해-기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 똑바로 앉는다. 5초간 숨을 들이마시고 5초간 멈춘사이, 서서히 두 다리를 올리고 두 팔을 평행으로 뻗는다. 시선은 손 끝과 발 끝을 일직선으로 바라본다. 단전에 기를 모으면 가슴을 펴고 허리를 곧게 세울 수 있다.
*이중 도약하기
어깨 넓이로 두 다리를 벌리고 똑바로 선다 5초간 숨을 들이마시면서 서서히 발 뒤꿈리를 들어올려 서 있는 채, 5초간 호흡을 멈추고 단전에 기를 모은다. 단전에 기를 모은후 순간 배와 허리를 내밀멸서 도약을 한다. 같은 동작을 여러 번 반복 연습한 후 단전에 기를 모은채 가능한 한 높게 도약을 한다. 도약한 상태에서 순간 배와 허리를 내밀면서 공중에서 또 한번 도약을 시도한다.
-순간적으로 배와 허리를 내밀면서 도약하면 허리가 굽지 않는다.
-도약할 때는 똑바로 선 채 도약하며 턱을 앞으로 내밀지 않도록 시선은 정명을 주시한다.;
*상체 앞으로 굽히기
고개를 들고 가슴을 앞으로 내민 채, 두 손바닥을 바닥에 댈 수 있을 만큼 가능한 한 두 다리를 모은다. 다시 그대로 일어서 시선은 정명을 주시하고 5초간 호흡을 멈춘사이, 고개를 든 채 가슴을 앞으로 내밀면서 서서히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5초간 숨을 내뱉으면서 제자리로 돌아온다.
등과 엉덩이의 선이 일직선이 되도록, 즉 허리가 굽지 않도록 단전에 기를 모은다.
*순발력 쌓기
두 팔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두 다리를 모은 채 엎드려 뻗친다.
단전에 기를 모은 후, 순간적으로 숨을 내뱉으면서 두팔을 지면에서 가능한 한 높게 도약시킨다. 똑같은 방법으로 도약하여 손뼉을 친다.
엎드려 뻗칠 때, 가슴을 펴고 고개를 들어주되 허리가 굽지 않도록 한다.
등에서 엉덩이까지 일직선이 되도록 단전에 기를 모으고 엎드려 뻗친다.
*물구나무 서기
두 손을 깍지끼운 채 벽에 대고 두 팔로 삼각형 구도를 만든다.
머리의 정수리를 깍지끼운 손에 대고 벽에 의지하여 물구나무 서기를 행한다.
호흡은 축기법을 사용한다. 물구나무 서기를 행할때는 들과 엉덩이 선이 일직선이 되어 벽에 나란히 닿도록 단전에 기를 모은다. 계속해서 물구나무 선 채, 5포간 숨을 들이마시면서 두 다리를 양쪽으로 쭉 뻗어서 벌린다. 5초간 호흡을 멈췄다가 5초간 숨을 내뱉으면서 제자리로 돌아온다. 다시 5초간 숨을 들이마시면서 두 다리를 오므린다 5초간 호흡을 멈췄다가 5초간 숨을 내뱉으면서 제자리로 돌아온다.
*다리 벌리고 허리 굽히기
가능한 한 두 다리를 많이 벌리고 시선은 정면을 주시한 채 똑바로 앉는다.
5초간 숨을 들이마시고 5초간 멈춘 사이 왼쪽으로 허리를 굽혀 턱을 내밀어 다리에
갖다 붙인다. 숨을 5초간 내뱉으면서 제자리로 돌아온다. 다시 오른쪽으로 반복한다.
허리를 굽힐 때 배, 가슴, 턱의 순서로 다리에 갖다 붙인다. 등이 굽지 않도록 단전에 기를 모은다. 똑같은 방법으로 허리를 앞으로 굽힌다. 굽힌 때는 배, 가슴, 턱의 순서로 바닥에 갖다 댄다.
4.명상훈련
*명상이란? 내면의 세계, 상대의 세계에서 벗어난 절대의 세계인 무아의 경지
*명상에 대한 오해 : 명상법이 어렵다고 하지만 단전사상을 이해하고 호흡하면 자연적으로 이루어짐
단전사상-정과 기와 신을 강화하고 일치시키는 단전호흡을 통해서 영육의 일치에 도달하는 우주사상과 직결
*새로운 연기술 : 명상법이 연기술에서 필요한 이유 - 연기술의 궁긍의 목적인 영적 경험에 이르는 방법이기 때문
델사르트의 삼위일체론,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삼두정치론→영적 경험에 이르지 못함 단전호흡에 의한 명상법 - 영적인 세계에 젖어들 수 있는 자아를 만들어줌
*명상훈련 자세
명상의 정신적 자세
①무엇 때문에 명상하는가 생각한다.
②목적의식이 뚜렷한 다음 단 사상을 생각한다.
③단전호흡의 조식법에 의해 숨을 고르게 조정하여 차분한 마음의 상태로 만든다.
④자신의 과거,현재,미래의 상황을 생각하며 너와 나의 상대적 세계를 잊는다.
⑤단 사상에 의해 신의 세계에 접근하고자 노력한다.
⑥잡생각이 나더라도 떨구지말고 생각하면 시간이 흐를수록 하나의 생각이 마음에 뿌리를 내리고 무아의 경지에 이르면 진실한 자아에 대해서 생각한다.
⑦진실한 자아를 느끼게 되면 모든 것은 물거품처럼 사라지고 그때 문제를 제기하면 해결의경지에 이르게 된다.
명상의 육체적 자세
안정된 자세-호흡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편안한 자세가 좋다. 결가부좌 자세는 힘이 드니 그저 척추를 꼿꼿하게 세우고 편안히 앉으면 된다.
①척추를 꼿꼿하게 세우고 단전에 힘을 유지한다. (단전에 힘을 주면 척추는 저절로 꼿꼿해진다.)
②팔은 자연스럽게 내려 손등을 양쪽무릎에 올려놓는다.
③눈은 감아도 좋고 반쯤 떠도 좋다. 반쯤 눈을 뜰때는 코끝을 멀리 본다.
④조식법에 의해 호흡을 고르게 쉬고 자신도 모르게 호흡이 멈추는 것은 상관없다.
5. 연기술의 이론과 그 실천사
*연기 이론과 실천의 요소 : 주체와 매체의 역할 중 어느 자아에 우위를 둘 것인가에 대한 논쟁
*배우의 과제 :혁신적인 연기술 실천가에 의해 기술과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훈련시키고 그 결과를 확인 시켜줄 공연을 선보임
*서구의 연기술 :혁신적인 연기술 실천가에 의해 기술과 시스템을 모든 기능을 훈련시키고 그 결과를 확인 시켜줄 공연을 선보임
*연기술과 그 실천을 위한 <김수남 무술육체훈련시스템>이 갖는 장점
효과적인 육체훈련을 통한 자기개발이 가능함
명상훈련
단을 적용시켜 배우들 창조기관의 중요한 중추를 단전호흡으로 지배하여 배우 스스로를 부체와 매체로서의 이원적인 자아 존립을 확인시켜줌
영적 경험을 통한 혁신적인 연기술 시스템 개발
#학습정리#
1. 호흡이란. 단순히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뱉는 공의 호흡이 아니라 생명의 진리인 혼과 영을 지탱케하는 정기를 들이마시고 내뱉는 기의 호흡이다.
2. 단이란 천기와 지기가 육체에서 만나 정기를 이루는 에너지적 상태를 말하며 단이 집중되는 부분을 단전이라고 한다.
#학습평가#
1. 기호흡훈련과 관련없는 것은?(3)
(1)복식호흡
(2)단전호흡
(3)흉식호흡
(4)정, 기, 신을 강화
2. 연기체조의 기능과 관계없는 것은? (2)
(1)단전의 기를 강화시킴
(2)정신훈련 체조
(3)신체의 유연성 추구
(4)몸의 혈도를 풀어줌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11.17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