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D CASE(추간판 탈출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IVD CASE(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방법

II. 본론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태생리
3. 진단검사
4. 증상
5. 치료와 간호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II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kacin
주로 그람음성균에 작용하는 Amikacin Sulfate
☞약리기전
Aminoglycoside계 항생물질 : 세균의 단백합성 억제
(3) 목적 : 경막외 지방조직의 손상을 최대한 피하면서 탈출된 추간판을 제거하고 후관절의 불안정성을 고정시키기 위해
(4) 결과 : 수술은 심한 출혈도 생기지 않았고, 신경손상도 없었다.
2. 간호진단
1) 수술에 의한 외과적 절개에 관련된 통증
P - 통증
E - 수술로 인한 통증과 관련되었다.
S - symptom (주관적 자료)
“수술한 데가 아파요. 아파서 말하기도 귀찮아요”
“아파서 움직이기도 힘들어요.”
sign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인상을 찌푸리고 가만히 누워있다.
대상자는 주변인들이 자기 몸에 손도 못 대도록 짜증을 내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수술 후 환자의 B.P가 높고 맥박수는 계속 빠르다.
2) 수술에 의한 침상안정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P - 잠재적 피부 통합성 장애
E - 수술로 인한 침상안정과 관련되었다.
S - symptom (주관적 자료)
“허리가 가려운 것도 같고 뜨거운 건지 아픈건지...”
sign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수술 부위가 조금 발적 되어 있다
대상자의 천골쪽과 등쪽도 조금 발적되어 있다.
3) 수술에 의한 활동감소와 관련된 변비
P - 변비
E - 수술로 인한 활동감소와 관련되었다.
S - symptom (주관적 자료)
“변을 한 번도 못 봤네...변비약 이라도 먹어야 되겠어요...”
“움직이지 않으니까 먹은 것도 별로 없는데 배만 빵빵해요.”
sign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배가 단단하다.
대상자는 계속 헛트림을 하고 물을 마신다.
식사가 나가면 허기짐을 호소하나 많이 먹지는 않는다.
3. 간호과정
진단1. 수술에 의한 외과적 절개에 관련된 통증
사정
계획
수행
평가
<주관적 사정>
“수술한 데가 아파요. 아파서 말하기도 귀찮 아요”
“아파서 움직 이기도 힘들어 요.”
<객관적 사정>
-대상자는 인상 을 찌푸리고 가만히 누워 있음
- 주변인들이 자기 몸에 손도 못 대도록 짜증 을 내는 모습이 자주 관찰 됨
목표
-단기목표:
☆맥박과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06/07)
☆안면의 찌푸 림과 짜증내는 모습이 사라진 다.(06/08)
-장기목표:
☆수술 후 통증 이 완화된다. (06/10)
기대되는 결과
☆수술 후의 통증이 따름을 알고, 통증의 호소가 없다.
☆혈압은130/90으로 정상을 유지하고, 맥박도
80회 정도로 정상이다.
간호지시
☆통증의 정도 를 사정한다.
☆부주의하거나 무의식적인 활 동을 제한하고 침상안정을 시 킨다.
☆비약물 통증 완화법을 적용 한다.(심상요법,음악요법)
☆필요시 진통 제와 근육 이완 제를 투여하여 효과를 평가 한 다.
수행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짜증을 부리는 경우 심호흡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낚시를 생각하게 권하여 통증에 대한 생각을 분산시켰다.
☆수술 후에 통증에 대해 물었 을 때, 수술 후 따르는 통증에 대 설명하고 곧 통증이 사라 질 것이라고 설명해 주고 침상안정을 권유했다.
☆혈압과 맥박을 다시 측정했 다.
☆환자의 통증 호소가 중정도를 넘어선 경우 fenaca2cc에 중외 생리식염수를 믹스하여 iv side 로 주입하였다.
40여분 뒤 통증정도를 다시 사정했다.
이론적근거->침상안정을 통해 신경조직 긴장과 압박이 감소되어 통증완화
->통증은 주관적 호소이므로 관심을 다른곳으로 전환시켜 내성을 증가시킴
☆수술 후, 통증이 따른다 는 것을 환자와 보호자 모두 이 해하고 곧 사라 질 것이라 믿는 다.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를 이해하고 환자 에게 낚시와 가족 얘기를 하 며 통증에 대한 내성이 길러졌 다.
☆환자는 통증 호소를 하지 않으며 얼굴을 찌푸리지 않는 다.
☆혈압은 130/90이며, 맥박은 80회로 정상이다.
진단2. 수술에 의한 침상안정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 통합성 장애
사정
계획
수행
평가
<주관적 사정>
“허리가 가려운 것도 같고 뜨거
운 건지 아픈건
지...”
<객관적 사정>
-대상자의 수술 부위가 조금 발 적 되어 있음
-대상자의 천 골쪽과 등쪽도 조금 발적되어 있음
-열감,작은수포
목표
-단기목표:
☆열감이 사라 지고 수포가 가라 앉았다.
(06/07)
☆발적 된 부위 피부가 다시 복 구 한다.
(06/08)
-장기목표:
☆피부 손상의 징후가 없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한다. (06/10)
기대되는 결과
☆대상자가 열감을 호소하 거나 소양감의 증상을 느끼지 않는다.
☆더이상의 수포가 생기지 않고 발적 부위가 없다.
간호지시
☆피부의 상태 를 사정한다.
☆돌출부위 피 부 간호를 한 다.
☆체위를 변경 시킨다.
☆고단백 식이와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수행
☆피부의 상태를 사정하였더니,
약간의 발적과 수포가 생겼음을 확인하고, 깨끗한 수건으로 닦고 소독한 뒤 연고를 바르고
잠시 부위를 개방시켰다.
☆열감 호소시 체온을 측정 하 였다.
☆3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하되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침상을 오리고 내리거나, 보호 자와 함께 지지하여 최소한의 동선으로 체위를 변경하였다.
☆ 식사는 가능한 한 골고루 주어진 양만큼 먹도록 권장한 뒤 확인한 결과 모두 섭취 하였 다.
이론적 근거->압박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한다.
->피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을 줄인다.
->단백질, 수분, 비타민, 무기 질은 피부 재생에 필수적인 요 소 이다.
☆소독 후 개방시켜둔 피부의 발적이 사라졌다.
☆더이상의수포가 생기지 않았 다.
☆환자는 소양 감이나 열감을 호소하지 않았 다.
체온;36.7
☆돌출 부위의 손상이 나타나 지 않았다.
진단3. 수술에 의한 활동감소와 관련된 변비
사정
계획
수행
평가
<주관적 사정>
“변을 한 번도 못봤 네...변비 약 이라도 먹어야 되겠어요...”
“움직이지 않으니까 먹은 것도 별로 없는 데 배만 빵빵해요.”
<객관적 사정>
-복부팽만
-대상자는 계속 헛트림을 함
-식사가 끝나가면헛기침을 호소하나 많이
먹지는 않는다.
-장음 거의 들리지 않음
목표
-단기목표:
☆배변이 이뤄진다.
(06/07)
-장기목표:
☆정상적인 배변습관 이 형성된다.
(06.10)
기대되는 결과
☆변이 단단하지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11.29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