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적인 사실연구
Ⅰ-1. 교육적 사실 연구의 목적
Ⅰ-2. 교육적 사실 연구의 목표
Ⅰ-3. 방법론적인면
Ⅰ-4. 관찰
Ⅱ-5. 방법의 적용 영역
Ⅱ-6.
Ⅱ-7. 교육적 상황의 탐구
Ⅱ-8. 교육적 상황의 탐구의 본질적인 과제
Ⅱ-9.
Ⅲ-10. 교육적 사실 연구의 중심
Ⅲ-12. 구체적 의미
Ⅲ-13. 목표
Ⅲ-14. 채록의 주의점
Ⅲ-15. 채록의 기준
Ⅰ-1. 교육적 사실 연구의 목적
Ⅰ-2. 교육적 사실 연구의 목표
Ⅰ-3. 방법론적인면
Ⅰ-4. 관찰
Ⅱ-5. 방법의 적용 영역
Ⅱ-6.
Ⅱ-7. 교육적 상황의 탐구
Ⅱ-8. 교육적 상황의 탐구의 본질적인 과제
Ⅱ-9.
Ⅲ-10. 교육적 사실 연구의 중심
Ⅲ-12. 구체적 의미
Ⅲ-13. 목표
Ⅲ-14. 채록의 주의점
Ⅲ-15. 채록의 기준
본문내용
양한 의사 소통 경과들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한 채록이다.
→ 교육적 상황들의 파악을 위해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만 방법적으로 또 이론적으로 가장 어려운 것은 학습 집단의 전체 채록이다.
Ⅲ-14. 채록의 주의점
1) 유의미한 전체가 채록되어야만 한다→(보충) 이해적 사회 연구의 선행 형태가 문제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 오히려 상응하는 상황들이 하나의 의미 해석에서 비로소 드러난다는 점에서부터 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Ⅲ-15. 채록의 기준
1) 교육적 상황은 진정한 것(↔인위적, 실험적인 것)이어야만 한다.
2) 채록은 목적에 방향을 맞춘 것이어야만 한다.
3) 상황의 묘사는 자세해야 하고, 가능한 한 언어적이어야만 한다.
4) 채록은 지속적이어야만 한다 - 동일한 학급, 동일한 상황이어야만 한다.
5) 상황의 묘사는 가시적으로 명료해야만 한다 → 추상적이지 말아라!
예) 선생님이 지루했다. 근엄한 태도를 보였다
→ 선생님의 목소리가 높았고 컷으며, 매우 화가 난 목소리였다. 아이들은 기가 죽어...
6) 묘사는 순수해야 한다.
※ ‘순수해야한다’ 두 가지 해석!
a. 선입견이 섞이지 말아야 한다.
b. 개인적 편입(평가)가 배제되어야 한다.
→ 교육적 상황들의 파악을 위해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만 방법적으로 또 이론적으로 가장 어려운 것은 학습 집단의 전체 채록이다.
Ⅲ-14. 채록의 주의점
1) 유의미한 전체가 채록되어야만 한다→(보충) 이해적 사회 연구의 선행 형태가 문제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 오히려 상응하는 상황들이 하나의 의미 해석에서 비로소 드러난다는 점에서부터 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Ⅲ-15. 채록의 기준
1) 교육적 상황은 진정한 것(↔인위적, 실험적인 것)이어야만 한다.
2) 채록은 목적에 방향을 맞춘 것이어야만 한다.
3) 상황의 묘사는 자세해야 하고, 가능한 한 언어적이어야만 한다.
4) 채록은 지속적이어야만 한다 - 동일한 학급, 동일한 상황이어야만 한다.
5) 상황의 묘사는 가시적으로 명료해야만 한다 → 추상적이지 말아라!
예) 선생님이 지루했다. 근엄한 태도를 보였다
→ 선생님의 목소리가 높았고 컷으며, 매우 화가 난 목소리였다. 아이들은 기가 죽어...
6) 묘사는 순수해야 한다.
※ ‘순수해야한다’ 두 가지 해석!
a. 선입견이 섞이지 말아야 한다.
b. 개인적 편입(평가)가 배제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인간 존엄성에 대한 의학적 생명연구의 문제점
염상섭의 '삼대' 연구
한일 양국학계의 칠지도에 관한 연구상황과 명문해석에 관한 고찰
지방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연구의 초점과 접근방법
덴마크의 법안의 실용성과 장단점을 연구하고 왜 프랑스에서는 이 법안이 통용될 수 없었는가...
애니메이션의 코믹 서사 장치 연구
한부모 가정 아동 그리고 한국한부모가정연구소
정보화 사회와 정보윤리 사례 연구 - 재산권 침해, 정보절도, 사생활 침해, 컴퓨터 범죄 자금...
청계천 복원사업 계획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조사론) 인과관계와 연구디자인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운동에 관한 연구
-‘세계사 교재의 연구 동향 및 NIE와 세계사 교육-
기업채용 면접의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