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준근로시간
2. 연장근로시간
2. 연장근로시간
본문내용
가 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를 한 경우에 한하여 인정된다.
ⅱ. 적용범위
동 규정은 ⅰ) 기준근로시간의 1주 12시간 연장근로를 초과하여 연장근로하거나, ⅱ) 제54조의 규정에 의한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휴게시간의 변경이란 휴게시간은 부여하되 그 시각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며, 휴게시간을 단축하거나 부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ⅱ. 적용범위
동 규정은 ⅰ) 기준근로시간의 1주 12시간 연장근로를 초과하여 연장근로하거나, ⅱ) 제54조의 규정에 의한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휴게시간의 변경이란 휴게시간은 부여하되 그 시각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며, 휴게시간을 단축하거나 부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주5일근무를 위한 근로시간단축에 관한 연구
근로시간 단축과 여성근로자 대책방향(주5일근무)
추가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산정방법
임금수준의 보호
비정규직근로(비정규노동)의 추이, 비정규직근로(비정규노동)의 실태, 비정규직근로(비정규노...
비정규직근로자(비정규직노동자) 규모,현실, 비정규직근로자(비정규직노동자) 사회경제적 악...
근로기준법 정리(인사노무 업그레이드)
근로시간의 신축적 운용 전반에 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연장근로에 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현행 노동관계법상 유연근로시간제(탄력적, 선택적, 재량 근로시간제)의 이해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한 근로기준법 58조
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제), 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제)의 발전 방안
비정규직 근로자 보호방안과 정규직 근로자의 권리 축소
[법적 지위, 근로자]근로자대표, 교원의 법적 지위, 성전환자, 시청자의 법적 지위, 미성년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