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합교육에 대하여
2. 현직 특수학급 교사와의 인터뷰
3. 현직 유치원 교사와의 인터뷰
4. 현직 일반중학교 교사와의 인터뷰 1
5. 현직 일반중학교 교사와의 인터뷰 2
6. 이론과 실제에 대한 고찰
2. 현직 특수학급 교사와의 인터뷰
3. 현직 유치원 교사와의 인터뷰
4. 현직 일반중학교 교사와의 인터뷰 1
5. 현직 일반중학교 교사와의 인터뷰 2
6. 이론과 실제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조절하고, 적극적으로 장애에 대해 수용할 수 있는 교사 양성은, 아이들의 통합에도 더욱 자연스러워진다. 처음부터 우리 반 친구이고, 모든 아이들은 교육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선생님을 통해 피부로 느낀다면, 아이들의 거부감도 사라질 것이다. 실제로 놀이연구회에서 실시한 통합 상황의 놀이지도 연구를 보면, 무엇보다 가장 큰 성과는 왕따 현상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친구로 받아주기에는 부족한 시간 이었어도 한 반의 구성원 중의 한 사람으로 생각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당장은 이루어지기 힘든 여러 가지 제도적인 지원이 많이 필요한 대안이라고 생각하지만, 저 출산으로 인해 아이들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더 이상 특수학교를 늘릴 수도, 새로운 교사를 잔뜩 뽑을 수도 없다면 생각해 볼 수 있는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의 수업 외 행정적인 업무가 지나치게 많고, 따라서 일반 과목 교사와 특수 교사와의 짧은 만남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무엇보다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의 경우 특수교사는 교무실에서 지내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교사와의 왕래가 더욱 드물다. 그렇다면 두 교사의 역할을 한 교사가 전담해야한다. 물론 이 모든 것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은, 한 교사가 아이들의 개별화 교육 계획을 모두 짤 수 있을 만큼 학급당 인원이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사들의 인터뷰 내용에도 공통적으로 포함되었던 내용이다. 교사를 도와줄 보조원이 투입되거나, 유치원에서처럼 두 교사에 의해 협력교수가 진행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당장은 이루어지기 힘든 여러 가지 제도적인 지원이 많이 필요한 대안이라고 생각하지만, 저 출산으로 인해 아이들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더 이상 특수학교를 늘릴 수도, 새로운 교사를 잔뜩 뽑을 수도 없다면 생각해 볼 수 있는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의 수업 외 행정적인 업무가 지나치게 많고, 따라서 일반 과목 교사와 특수 교사와의 짧은 만남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무엇보다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의 경우 특수교사는 교무실에서 지내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교사와의 왕래가 더욱 드물다. 그렇다면 두 교사의 역할을 한 교사가 전담해야한다. 물론 이 모든 것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은, 한 교사가 아이들의 개별화 교육 계획을 모두 짤 수 있을 만큼 학급당 인원이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사들의 인터뷰 내용에도 공통적으로 포함되었던 내용이다. 교사를 도와줄 보조원이 투입되거나, 유치원에서처럼 두 교사에 의해 협력교수가 진행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