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목적 -3p
2. 문헌고찰 -3p
1) 정의
2) 원인
3) 발생빈도
4) 병태생리 -3p~4p
5) 임상증상
6) 진단
7) 분류 -4p~5p
8) 치료 -5p
9) 예방
3. 연구기간 및 연구방법 -6p
4. 간호과정
1) 환자정보
2) 신체검진 -6p~7p
3) 간호사정 -7p
4) 기본검사 -7p~10p
5) 약물 -10p~14p
5. 간호진단 -15p~17p
6. 케이스 연구와 실습 후 느낀 점 -17p
*참고문헌* -17p
2. 문헌고찰 -3p
1) 정의
2) 원인
3) 발생빈도
4) 병태생리 -3p~4p
5) 임상증상
6) 진단
7) 분류 -4p~5p
8) 치료 -5p
9) 예방
3. 연구기간 및 연구방법 -6p
4. 간호과정
1) 환자정보
2) 신체검진 -6p~7p
3) 간호사정 -7p
4) 기본검사 -7p~10p
5) 약물 -10p~14p
5. 간호진단 -15p~17p
6. 케이스 연구와 실습 후 느낀 점 -17p
*참고문헌* -17p
본문내용
양치를 할 경우 잇몸 등의 상처로 인해 출혈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부드러운 칫솔 사용을 권하는 것이 좋다.
②대변 시 힘을 줄 경우 뇌압상승의 위험도 있고, 치질로 인해 항문에서 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시킨다.
③대변색이 커피색이거나 피가 섞여 나올 경우 출혈이 되었다는 의미이므로 알리도록 한다.
④채혈 후 문지를 경우 정맥이 터져 더 많은 출혈과, 멍이 생길 수 있으므로 충분히 누르도록 한다.
⑤넘어져 상처가 생겨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시킨다.
⑥면도 시 상처로 인한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시킨다.
⑦헤파린은 혈전증의 응고예방, 전색성 심방세동의 예방 및 치료, 뇌일혈로 인한 혈전증의 예방 등의 기능이 있으므로 혈전생성 예방을 위해 투여한다.
⑧헤파린 사용으로 출혈이 될 수 있으므로 출혈유무를 반드시 사정한다.
⑨헤파린 투여 환자는 응고시간이 길어지므로 aPTT를 측정하여 헤파린 투여량을 조절한다.
①부드러운 칫솔 교환과 면도시 조심하는 모습이 보였다.
②채혈 후 알코올 솜으로 부위를 충분히 누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③출혈 위험성에 대해 알고 조심하려고 한다.
④Heparin mix fluid가 잘 주입되고 있다.
⑤13일 13:26시 Heparin mix fluid 투여 후 출혈이 없음을 관찰했다.
⑥13일 14:10시 aPTT가 70.4sec로 측정되었다.
⑦Heparin mix fluid가 27.4cc/hr로 유지되었다.
#진단②간호진단 및 자료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5/14)
-S :
"넘어졌어“
-O :
①낙상 위험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
②넘어짐
③side rail을 올리지 않음
①낙상주의와 손상주의에 대해 안다.
②side rail을 항상 올린다.
③휠체어나 침대 사용시 바퀴를 고정시키고 사용한다.
④보호자가 낙상 예방법에 대해 잘 안다.
*계획*
①낙상주의, 손상주의에 대해 교육한다.
②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③휠체어와 침대 바퀴 고정법을 설명한다.
④보호자에게 낙상의 가능성을 미리 교육하고, 환자를 혼자두지 않도록 한다.
*수행*
①:①~④까지 교육하였다.
①낙상주의, 손상주의에 대한 교육으로 낙상과 손상에 대해 알고 예방할 수 있다.
②side rail를 올림으로써 환자의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③휠체어와 침대 바퀴를 고정하여 환자를 옮김으로써 옮기는 도중 바퀴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④보호자와 환자가 함께 함으로써 환자의 부주의를 보호자가 예방할 수 있다.
①side rail을 항상 올리고 있다.
②낙상예방법을 잘 알고, 항상 보호자와 동행하는 모습이 보였다.
③낙상주의와 손상주의에 대해 잘 안다.
④낙상이 없다.
#진단③
간호진단 및 자료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근거
평가
#침상안정과 관련된 변비위험성 (5/16)
-S :
"소화가 안 되는 것 같고 가슴이 답답해, 며칠째 대변 찬 느낌도 있고.. “
-O :
①소화불량 호소함
②복부 및 가슴 답답한 증상 호소 확인
③식사를 잘 하지 못함
④대변보지 못함
①가슴 답답한 증상이 사라 진다.
②속이 편안해 진다.
③식사를 잘 한다.
④내일 점심 전까지 대변을 본다.
*계획*
①필요시 투약한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변비 예방을 위한 교육을 한다.
④대변보는 것을 기다려보고 내일정도 관장을 한다.
⑤배변 시 대변양상과 상태를 확인한다.
*수행*
①:위장 운동 조절제 및 진경제를 투여하였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③:변비 예방을 위한 수분, 섬유질 섭취를 격려하고, 변비 유발 음식은 피하도록 설명하였다.
④:적당한 휴식과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⑤:5/17일 관장하였다.
①prn 투약으로 대변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함으로써 변비로 인한 몸의 리듬을 측정할 수 있다.
③교육을 통해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④며칠 째 변을 보지 못했을 경우 관장을 통해 변으로 인한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⑤배변하였을 경우 양상과 상태 측정으로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①16일 18:00시 Ganaton tab. 50mg PO 투여하였다.
②소화불량 호전 없어 16일 19:30 Spamon inj. 40mg/2mL 1amp IV 투여하였다.
③활령징후가 BP 151/60, P 54, R 20. BT 36.5로 측정되었다.
④오이를 드시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⑤식사량이 3/1에서 3/2쯤으로 늘었다고 하였다.
⑥abd. discomfort 감소함을 확인했다.
⑦17일 18:00시 glycerin enema 수행하였다.
6. 케이스 연구와 실습 후 느낀 점
처음 중풍 뇌질환에 가서 V/S을 돌면서 ‘괜히 왔다‘라는 생각을 잠시 했었다. 척추센터에 있을 때에는 환자들의 정신이 온전하기 때문에 반응도 있고, 일을 하면서 재미도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9A병동에는 대부분 정신이 온전하지 못해 내가 아무리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을뿐더러 눈조차 뜨지 않는 환자분들이 많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반응을 보이시는 환자분들도 계시고, 재활치료를 통해 많은 회복을 하시는 모습을 보니 ’괜히온게아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할머니~ “ 하고 부르면 잠깐이지만 눈을 뜨고 웃어주시고,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보호자분들께서 환하게 웃어주시니 그렇게 기분 좋을 수가 없다.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마비상태, 언어장애 뿐만 아니라 의식이 없으시다. 그런 모습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면서도 뇌질환이 참 무섭구나 라는 생각도 가지게 된다.
그만큼 뇌는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하다. 딱딱한 두개골 안에서 보호받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중풍 뇌질환 센터를 실습하면서 뇌의 중요성을 알고, 뇌질환이 다른 병 보다 훨씬 무섭다는 것을 알았다.
환자분들이 하루 빨리 회복하시는 모습을 보고 싶고, 그 회복에 내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지금부터라도 뇌질환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중앙건강백과
간호진단. 결과. 중재의 연계 - 현문사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킴스 온라인
naver 지식인
중풍예방클리닉
②대변 시 힘을 줄 경우 뇌압상승의 위험도 있고, 치질로 인해 항문에서 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시킨다.
③대변색이 커피색이거나 피가 섞여 나올 경우 출혈이 되었다는 의미이므로 알리도록 한다.
④채혈 후 문지를 경우 정맥이 터져 더 많은 출혈과, 멍이 생길 수 있으므로 충분히 누르도록 한다.
⑤넘어져 상처가 생겨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시킨다.
⑥면도 시 상처로 인한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시킨다.
⑦헤파린은 혈전증의 응고예방, 전색성 심방세동의 예방 및 치료, 뇌일혈로 인한 혈전증의 예방 등의 기능이 있으므로 혈전생성 예방을 위해 투여한다.
⑧헤파린 사용으로 출혈이 될 수 있으므로 출혈유무를 반드시 사정한다.
⑨헤파린 투여 환자는 응고시간이 길어지므로 aPTT를 측정하여 헤파린 투여량을 조절한다.
①부드러운 칫솔 교환과 면도시 조심하는 모습이 보였다.
②채혈 후 알코올 솜으로 부위를 충분히 누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③출혈 위험성에 대해 알고 조심하려고 한다.
④Heparin mix fluid가 잘 주입되고 있다.
⑤13일 13:26시 Heparin mix fluid 투여 후 출혈이 없음을 관찰했다.
⑥13일 14:10시 aPTT가 70.4sec로 측정되었다.
⑦Heparin mix fluid가 27.4cc/hr로 유지되었다.
#진단②간호진단 및 자료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5/14)
-S :
"넘어졌어“
-O :
①낙상 위험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
②넘어짐
③side rail을 올리지 않음
①낙상주의와 손상주의에 대해 안다.
②side rail을 항상 올린다.
③휠체어나 침대 사용시 바퀴를 고정시키고 사용한다.
④보호자가 낙상 예방법에 대해 잘 안다.
*계획*
①낙상주의, 손상주의에 대해 교육한다.
②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③휠체어와 침대 바퀴 고정법을 설명한다.
④보호자에게 낙상의 가능성을 미리 교육하고, 환자를 혼자두지 않도록 한다.
*수행*
①:①~④까지 교육하였다.
①낙상주의, 손상주의에 대한 교육으로 낙상과 손상에 대해 알고 예방할 수 있다.
②side rail를 올림으로써 환자의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③휠체어와 침대 바퀴를 고정하여 환자를 옮김으로써 옮기는 도중 바퀴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④보호자와 환자가 함께 함으로써 환자의 부주의를 보호자가 예방할 수 있다.
①side rail을 항상 올리고 있다.
②낙상예방법을 잘 알고, 항상 보호자와 동행하는 모습이 보였다.
③낙상주의와 손상주의에 대해 잘 안다.
④낙상이 없다.
#진단③
간호진단 및 자료
목표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근거
평가
#침상안정과 관련된 변비위험성 (5/16)
-S :
"소화가 안 되는 것 같고 가슴이 답답해, 며칠째 대변 찬 느낌도 있고.. “
-O :
①소화불량 호소함
②복부 및 가슴 답답한 증상 호소 확인
③식사를 잘 하지 못함
④대변보지 못함
①가슴 답답한 증상이 사라 진다.
②속이 편안해 진다.
③식사를 잘 한다.
④내일 점심 전까지 대변을 본다.
*계획*
①필요시 투약한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변비 예방을 위한 교육을 한다.
④대변보는 것을 기다려보고 내일정도 관장을 한다.
⑤배변 시 대변양상과 상태를 확인한다.
*수행*
①:위장 운동 조절제 및 진경제를 투여하였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③:변비 예방을 위한 수분, 섬유질 섭취를 격려하고, 변비 유발 음식은 피하도록 설명하였다.
④:적당한 휴식과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⑤:5/17일 관장하였다.
①prn 투약으로 대변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함으로써 변비로 인한 몸의 리듬을 측정할 수 있다.
③교육을 통해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④며칠 째 변을 보지 못했을 경우 관장을 통해 변으로 인한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⑤배변하였을 경우 양상과 상태 측정으로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①16일 18:00시 Ganaton tab. 50mg PO 투여하였다.
②소화불량 호전 없어 16일 19:30 Spamon inj. 40mg/2mL 1amp IV 투여하였다.
③활령징후가 BP 151/60, P 54, R 20. BT 36.5로 측정되었다.
④오이를 드시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⑤식사량이 3/1에서 3/2쯤으로 늘었다고 하였다.
⑥abd. discomfort 감소함을 확인했다.
⑦17일 18:00시 glycerin enema 수행하였다.
6. 케이스 연구와 실습 후 느낀 점
처음 중풍 뇌질환에 가서 V/S을 돌면서 ‘괜히 왔다‘라는 생각을 잠시 했었다. 척추센터에 있을 때에는 환자들의 정신이 온전하기 때문에 반응도 있고, 일을 하면서 재미도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9A병동에는 대부분 정신이 온전하지 못해 내가 아무리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을뿐더러 눈조차 뜨지 않는 환자분들이 많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반응을 보이시는 환자분들도 계시고, 재활치료를 통해 많은 회복을 하시는 모습을 보니 ’괜히온게아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할머니~ “ 하고 부르면 잠깐이지만 눈을 뜨고 웃어주시고,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보호자분들께서 환하게 웃어주시니 그렇게 기분 좋을 수가 없다.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마비상태, 언어장애 뿐만 아니라 의식이 없으시다. 그런 모습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면서도 뇌질환이 참 무섭구나 라는 생각도 가지게 된다.
그만큼 뇌는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하다. 딱딱한 두개골 안에서 보호받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중풍 뇌질환 센터를 실습하면서 뇌의 중요성을 알고, 뇌질환이 다른 병 보다 훨씬 무섭다는 것을 알았다.
환자분들이 하루 빨리 회복하시는 모습을 보고 싶고, 그 회복에 내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지금부터라도 뇌질환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중앙건강백과
간호진단. 결과. 중재의 연계 - 현문사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킴스 온라인
naver 지식인
중풍예방클리닉
추천자료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뇌경색(ICU)
[간호학] 뇌경색 간호진단
뇌경색 약물
[뇌혈관질환]뇌졸중과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
Cerebral Infarction(뇌경색)
[SICU case]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뇌경색 case
의학 - cva[뇌혈관 구조 그림, 뇌 부위별 증상]
뇌경색 간호진단
생활과건강-뇌졸중은 흔히 중풍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이다, 뇌졸중 예방 환자 교육내용 &...
[뇌졸중] 뇌졸중의 분류(종류) 및 증상(뇌출혈,뇌혈전,뇌경색), 뇌졸중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
[뇌졸중] 뇌졸중의 개념 및 분류(종류-뇌출혈,뇌혈전,뇌경색), 뇌졸중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
[동서협진과 CASE] 뇌경색을 주소로 입원 중 Seizure가 발생한 환자 1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