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U case]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ICU case]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간호력 >

< Nursing process >
#1. 뇌손상과 관련된 뇌 조직관류저하의 위험성
#2. 객담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장시간 부동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4. 침습적시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유치도뇨관)
#5. 침습적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L-tube)
#6.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7.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 감각지각변화
#8. 위관삽입과 관련된 구강점막변화
#9. 소화불량과 관련된 영양부족
#10.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인식하지 못함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11. 장기부동과 관련된 신체 손상가능성(혈전성 정맥염)

< SOAP 차팅 >

< 진단적 검사, 약물 연구 >

< 문헌고찰 >

본문내용

상태.
7) 자아-개념 양상
현재 의식이 stupor 상태로 자아 개념이 없는 상태로 보임.
8) 역할-관계 양상
ICU 입원 후, 의식 불분명 하셔서 가정에서의 역할 못하시고 계심.
9) 성 - 생식 양상
질병으로 성, 생식기능을 하기 힘드신 상태임.
10) 스트레스 대처 양상
물어보지 못 함.
11) 가치-신념 양상
물어보지 못 함.
8. 신체기관별 고찰 Review of system (ROS)
1) 일반상태
연령 : 75세 신장 : 156cm 체중 : 46kg
일반적 외모 : stupor 상태로 위관영양 하고 계시며 Foley & 귀저기하고 계심.
-R.O.S-
fever/chill (+/+) cough/sputum (+/+)
dyspnea (+) exp. wheezing (-/-)
A/N/V (+/+/+) D/C (-/-)
orthopnea (-) RHinorrhea (-)
2) 피부상태
피부색 - normal
피부상태 - intact
욕창 - 무
IV site - Normal
3) 머리, 눈, 귀, 코, 구강 및 목의 상태
계속 자려하심. 의식 stupor 상태
동공(우/좌) 4P/ 3P (prompt)
코 Gavage feeding 위해서 관하고 계신상태, 산소 공급
구강 검조함. Sputum 많으셔서 자주 suction 시행함. 이 없음.
4) 호흡기 상태
호흡음 - Coarse, Decreased
호흡양상 - irregular
분비물색깔 - Yellow, Blood tinged
양 - Moderate
양상 - Thin, Thick
흉부물리요법 - Percussion
5) 순환기 상태
말단부 온도 - Warm
말단 청색증 - 무
부종 - 유(extremity)
6) 소화기 상태
복부 - soft
장음 - normal
Nausea/vomiting - 무
L-tube - 유
7) 유방 및 배뇨, 생식기 상태
소변색 - yellow, 양상 - Turbid
8) 골, 근육 상태
Rt upper limb numbness, Lt upper limb weakness
9) 신경 상태
의식수준 - stupor
동공(우/좌) - 4P/ 3P (prompt)
반응수준(Glasgow Coma Scale) - eye open(to pain), veral(tra),
motor(abnormal extension, localize)
10) 내분비 및 기타 상태
당뇨 없음. 다른 이상 없음.
Nursing process
1.관련요인
O - data
- cerebral infraction
- 피부가 창백하다
- 의식수준저하
간호진단
#1. 뇌손상과 관련된 뇌 조직관류저하의 위험성
목표
장기목표
1. 의식수준이 저하되지 않는다.
2. 신경학적 결손이 진행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의식, 운동, 감각의 현제 단계에서 호전되거나 악화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정신, 운동, 감각을 사정하는 4,5,6단계를 참고하여 사정한다.
2. 활력징후를 1회/hour 측정한다. (급격한 혈압상승은 재출혈, 혈압하강은 뇌허혈을 야기한다.)
3.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삼투성 이뇨제,스테로이드제, barbiturate등)
4.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을 관찰한다. (의식저하, 두통, 구토, 경련, 고혈압, 서맥, 유두부종, 동공의 변화, 운동, 감각기능 손실, 불규칙한 호흡)
5. 자극을 최소화하여 경련 발생을 예방하고 필요시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6. 인공호흡기를 이용 과도환기를 유도한다.(호흡기계 알칼리증을 야기시키면 뇌혈관이 수축되어 뇌혈류량이 감소되어 두 개강 내압이 하강한다.)
7. 흡인전 산소를 공급하고 흡인을 15초 이내로 한다. (흡인은 산소 부족을 일으켜 두 개 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8. 침대 머리를 30도 정도 상승시킨다.
9. 머리의 굴곡, 신전 또는 회전을 피한다.
10. 지나친 고관절 굴곡을 피한다.
11. 발열 시는 급속한 치료를 한다.(발열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킨다.)
간호수행
1. 의식 수준을 사정한 결과 stupor 단계에 있었다.
2. V/S를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3. 호흡은 자주 관찰하여 비정상적일 때는 흡인을 해주었다.
4. 흡인 시에는 saturation을 확인하면서 15초 내로 빨리 시행하고 산소를 공급했다.
5. 침대머리를 30도 정도 상승시켰으며 면회 시간에 보호자에게도 설명해서 침대 머리를 내리지 않도록 교육했다.
6.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을 관찰했다. (의식저하, 두통, 구토, 경련, 고혈압, 서맥, 유두부종, 동공의 변화, 운동, 감각기능 손실, 불규 칙한 호흡)
7. Back 마사지와 체위 변경 시에 지나친 고관절 굴곡과 머리의 굴곡 신전 또는 회전을 시키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수행했다.
평가
- 감각, 의식, 운동의 수준에 변화가 없다.
2.
관련요인
O - data
- lung sound 청진시 그르렁 거리는 나음이 들림.
- 산소 공급을 5l에서도 SPO2 90.9로 낮음
- sction시 많은 객담이 나옴.
- 9.10/11/12/13/14 : SPO2 90.3/95.5/90.9/88.3/93.9/
간호진단
#2. 객담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목표
장기목표
1. 기도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단기목표
1. ABGA 수치가 정상이다.
2. SPO2 가 정상수치를 유지하며 환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계획
1. 기도청결을 유지한다.
2. 객담이 있으면 흡인 해 준다.
3.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4.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수행
1. 가래끓는 소리가 날 경우 suction 을 시행하였다.
2. 가습기를 적용하고 방안의 실내온도를 20~23℃ 로 유지시켜주었다.
3. 체위변경을 4시간마다 시행하여 체위배액을 도와주었다.
4. 흉벽타진을 시행하였다.
5. 비위관으로 음식을 주입할 때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6. 4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수,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평가
1. suction 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가래 끓는 소리가 나지 않았다.
2. suction 시에 묽어진 분비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체위변경이 잘 유지되었다.
4. 흉벽을 타진해 준 후 흡인을 통한 분비물 제거가 용이해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7.10.11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