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①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② 문헌고찰
2. 연구기간 및 방법
3. 간호과정
4. 결론
① 실습 후 느낀 점
※ 참고문헌
①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② 문헌고찰
2. 연구기간 및 방법
3. 간호과정
4. 결론
① 실습 후 느낀 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효능 : 항암치료나 외과적 수술 후 발생하는 구토를 억제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에 의한 구역과 구토, 수술 후 구역과 구토의 예방 및 치료)
부작용 : 발진, 가려움,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중증의 과민반응, 두통, 두중감, 아미노 기전이 효소 증가, 설사, 변비, 혈압상승, 심계항진, 간효소치 상승, 안면홍조, 발열, 전신권태감, 딸꾹질, 발한, 혈관통, 주사부위 과민반응 등
금기증 : 본제과민증환자
⑫ 마취 - Suprane soln 1ML
(기관 내 삽관에 의한 폐쇄순환식 전신마취)
⑬ 라식스(Lasix)
분류 : 이뇨제
용법 : 1일 1회 20-40mg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2시간마다 20mg씩 증량하여 1일1-2회 주사
효능 : 소변 양을 늘여서 혈압을 낮춤. (부종이나 복수 조절에 사용)
부작용 : 전해질평형실조(나트륨/염소/수분/칼륨/칼슘/마그네슘 등의 배설 증가), 혈청콜 레스테롤·중성지방·요산 수치 상승, 당뇨환자의 내당력 저하, 빈혈, 기립성 저 혈압, BUN/혈청 크레아티닌 상승, 급성뇨저류, 수포성 유천포창, 다형홍반, 탈락피부염, 자반, 무력감
금기증 : 설폰아미드계 약물에 과민증 병력 환자, 무뇨환자, 신ㆍ간독성물질 중독 결과 에 의한 신부전 환자, 간장애 환자, 저나트륨ㆍ저칼륨혈증 환자, 혈압 저하 환 자, 탈수증 환자, 테르페나딘 또는 아스테미졸 투여 환자, 수유부
⑭ 모비놀(Mobinul)
분류 : 위장운동조절 및 진경제
용법 : 수술 전은 0.02ml/kg를 근주
수술 중은 0.5ml를 1회 정맥주사 또는 반복해서 2~3분 간격으로 투여
효능 : 수술 전 마취과정에서 침 분비 억제, 기관 및 기관지 액의 분비 억제, 근신경차 단역전 등의 목적으로 사용
(위액의 유리산 분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마취시나 마취도입시 사용, 근이완제를 사용함으로써 일어나는 신경근육차단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콜린성약을 사용했 을 때 일어나는 말초 근육성 효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위궤양 등에 따 른 항콜린작용이 필요할 때 사용.)
부작용 : 구갈, 배뇨장애, 산동으로 인한 시야혼탁, 안압증가, 빈맥, 발한감소 등
금기증 : 녹내장, 폐쇄성위장관 및 뇨질환, 마비성 장폐쇄증, 근무력증
10) 수술 후 투약
수술 후 환자를 NPO시키고 메이셀린, 트리젤을 투여한다.
11) 회복실 간호
① 목적 : 환자가 가능한 빠르게 최적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며, 상처치유를 보다 향상시키고, 신체적 편안함과 정서적인 지지를 해주어, 수 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회복실 입실시간 : 2008.05.13 16:50
회복실 퇴실시간 : 2008.05.13 18:14:37
② 기도유지 : None
③ 산소투여
투여종류: Mask
산소량: 5
시작시간: 16:50, 종료시간: 17:20
④ 회복상태 평가
반사능력 [도착시]: 1 [퇴실시]: 2
호흡 [도착시]: 2 [퇴실시]: 2
순환 [도착시]: 2 [퇴실시]: 2
의식상태 [도착시]: 1 [퇴실시]: 2
피부색깔 [도착시]: 2 [퇴실시]: 2
※ 평가총점 - 도착시: : 8 , 퇴실시: : 10
⑤ 환자에게 부착된 기구
Foley catheter(silastic)
Urine bag /Urometer
Baro-vac
⑥ PCA 정보
PCA 세부정보 : IV
⑦ 회복실 간호 특이사항 - (병실 인계 물품: 수술 동의서, PCA 동의서 보냄)
⑧ IV site patency 확인함
⑨ op site oozing 없음
⑩ 16:55 lasix 10mg IV
⑪ 17;20 a-line removal (5분 지혈)
⑫ 수술체위 : 앙와위, 좌위
⑬ 환자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10분 V/S check를 시행함.
⑭ 환자를 병실에 올려보내기 전 Urine bag에 차있는 양을 확인하고 비운다.
⑮ Baro-vac에 막히지 않고 피가 잘 나오는지 확인한다.
Ⅳ. 실습 후 느낀점
벌써 실습을 시작한지가 한달이 다 되어가고 있다. 두 번째 파트인 OR을 들어설 때 설레
임은 잊을 수가 없다. 아직 익숙치 않은 의학용어들과 약어들을 너무 많이 쓰고 있던 OR
실습의 첫 날은 정말 당황스러웠고 많이 힘들었던 것 같다. 아직 어린 학생간호사가 OR에
서 병동처럼 선생님들 일을 같이 할 수도 없는 터라 선생님들이 하시는 일, 수술과정 등을 지켜보면서 다리도 많이 아팠지만 책에서만 보던 해부학 구조를 실제로 눈으로 보고 이론
으로만 배우던 수술들을 어떻게 하는 수술인지를 보면서 가슴이 뛸 만큼 놀라웠고 신기했
다. 수술하는 것을 보면서 모르는 것은 선생님들에게 여쭤보고, 집에 와서 책으로 찾아보
면서 병동에서 배우지 못한 것들은 많이 배운 것 같다. 학교에서 이론으로 배우던 것을 내
피부로 느끼고 가슴으로 느끼면서 건강한 내 모습에 감사함을 가졌다. 정말 인상 깊었던
것은 백내장 수술을 하는데 선생님께서 마이크로로 자세히 보게 해주시면서 하나하나 수술
과정을 설명해주시는데 이해가 쏙쏙 되었고 정말 감사했다. 잘 없는 수술인 Open Heart도
보면서 생동감 넘치는 교육을 받고 있다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 병동과는 또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많은 것들을 배운 것 같다. 그리고 마취과 실습을 하면서 수술 전
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인지도 깨닫게 되었다. 수술 중간 중간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상황에 따라 빨리 대처하는 모습이 참 멋지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수술실, 마취과 간호 사가 되지 않으면 다신 보지 못할 수술들을 보게 되어서 정말 좋았다. 남은 1주일도 조금
이라도 더 배워가기 위해서 최선을 다해 실습을 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성인간호실습지침서 (수문사) - 채선옥, 박정언 외
2. 서울대학교 병원 간호진단과 계획 (2003년) - 서울대학교
3. 그림으로 보는 병리학 (정담미디어) - 김명애, 민혜숙 외
4. 성인간호학 Ⅰ(수문사) - 채선옥, 이향련 외
5.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Ⅰ(현문사) - Sigma Theta Tau Lambda외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에 의한 구역과 구토, 수술 후 구역과 구토의 예방 및 치료)
부작용 : 발진, 가려움,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중증의 과민반응, 두통, 두중감, 아미노 기전이 효소 증가, 설사, 변비, 혈압상승, 심계항진, 간효소치 상승, 안면홍조, 발열, 전신권태감, 딸꾹질, 발한, 혈관통, 주사부위 과민반응 등
금기증 : 본제과민증환자
⑫ 마취 - Suprane soln 1ML
(기관 내 삽관에 의한 폐쇄순환식 전신마취)
⑬ 라식스(Lasix)
분류 : 이뇨제
용법 : 1일 1회 20-40mg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2시간마다 20mg씩 증량하여 1일1-2회 주사
효능 : 소변 양을 늘여서 혈압을 낮춤. (부종이나 복수 조절에 사용)
부작용 : 전해질평형실조(나트륨/염소/수분/칼륨/칼슘/마그네슘 등의 배설 증가), 혈청콜 레스테롤·중성지방·요산 수치 상승, 당뇨환자의 내당력 저하, 빈혈, 기립성 저 혈압, BUN/혈청 크레아티닌 상승, 급성뇨저류, 수포성 유천포창, 다형홍반, 탈락피부염, 자반, 무력감
금기증 : 설폰아미드계 약물에 과민증 병력 환자, 무뇨환자, 신ㆍ간독성물질 중독 결과 에 의한 신부전 환자, 간장애 환자, 저나트륨ㆍ저칼륨혈증 환자, 혈압 저하 환 자, 탈수증 환자, 테르페나딘 또는 아스테미졸 투여 환자, 수유부
⑭ 모비놀(Mobinul)
분류 : 위장운동조절 및 진경제
용법 : 수술 전은 0.02ml/kg를 근주
수술 중은 0.5ml를 1회 정맥주사 또는 반복해서 2~3분 간격으로 투여
효능 : 수술 전 마취과정에서 침 분비 억제, 기관 및 기관지 액의 분비 억제, 근신경차 단역전 등의 목적으로 사용
(위액의 유리산 분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마취시나 마취도입시 사용, 근이완제를 사용함으로써 일어나는 신경근육차단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콜린성약을 사용했 을 때 일어나는 말초 근육성 효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위궤양 등에 따 른 항콜린작용이 필요할 때 사용.)
부작용 : 구갈, 배뇨장애, 산동으로 인한 시야혼탁, 안압증가, 빈맥, 발한감소 등
금기증 : 녹내장, 폐쇄성위장관 및 뇨질환, 마비성 장폐쇄증, 근무력증
10) 수술 후 투약
수술 후 환자를 NPO시키고 메이셀린, 트리젤을 투여한다.
11) 회복실 간호
① 목적 : 환자가 가능한 빠르게 최적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며, 상처치유를 보다 향상시키고, 신체적 편안함과 정서적인 지지를 해주어, 수 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회복실 입실시간 : 2008.05.13 16:50
회복실 퇴실시간 : 2008.05.13 18:14:37
② 기도유지 : None
③ 산소투여
투여종류: Mask
산소량: 5
시작시간: 16:50, 종료시간: 17:20
④ 회복상태 평가
반사능력 [도착시]: 1 [퇴실시]: 2
호흡 [도착시]: 2 [퇴실시]: 2
순환 [도착시]: 2 [퇴실시]: 2
의식상태 [도착시]: 1 [퇴실시]: 2
피부색깔 [도착시]: 2 [퇴실시]: 2
※ 평가총점 - 도착시: : 8 , 퇴실시: : 10
⑤ 환자에게 부착된 기구
Foley catheter(silastic)
Urine bag /Urometer
Baro-vac
⑥ PCA 정보
PCA 세부정보 : IV
⑦ 회복실 간호 특이사항 - (병실 인계 물품: 수술 동의서, PCA 동의서 보냄)
⑧ IV site patency 확인함
⑨ op site oozing 없음
⑩ 16:55 lasix 10mg IV
⑪ 17;20 a-line removal (5분 지혈)
⑫ 수술체위 : 앙와위, 좌위
⑬ 환자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10분 V/S check를 시행함.
⑭ 환자를 병실에 올려보내기 전 Urine bag에 차있는 양을 확인하고 비운다.
⑮ Baro-vac에 막히지 않고 피가 잘 나오는지 확인한다.
Ⅳ. 실습 후 느낀점
벌써 실습을 시작한지가 한달이 다 되어가고 있다. 두 번째 파트인 OR을 들어설 때 설레
임은 잊을 수가 없다. 아직 익숙치 않은 의학용어들과 약어들을 너무 많이 쓰고 있던 OR
실습의 첫 날은 정말 당황스러웠고 많이 힘들었던 것 같다. 아직 어린 학생간호사가 OR에
서 병동처럼 선생님들 일을 같이 할 수도 없는 터라 선생님들이 하시는 일, 수술과정 등을 지켜보면서 다리도 많이 아팠지만 책에서만 보던 해부학 구조를 실제로 눈으로 보고 이론
으로만 배우던 수술들을 어떻게 하는 수술인지를 보면서 가슴이 뛸 만큼 놀라웠고 신기했
다. 수술하는 것을 보면서 모르는 것은 선생님들에게 여쭤보고, 집에 와서 책으로 찾아보
면서 병동에서 배우지 못한 것들은 많이 배운 것 같다. 학교에서 이론으로 배우던 것을 내
피부로 느끼고 가슴으로 느끼면서 건강한 내 모습에 감사함을 가졌다. 정말 인상 깊었던
것은 백내장 수술을 하는데 선생님께서 마이크로로 자세히 보게 해주시면서 하나하나 수술
과정을 설명해주시는데 이해가 쏙쏙 되었고 정말 감사했다. 잘 없는 수술인 Open Heart도
보면서 생동감 넘치는 교육을 받고 있다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 병동과는 또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많은 것들을 배운 것 같다. 그리고 마취과 실습을 하면서 수술 전
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인지도 깨닫게 되었다. 수술 중간 중간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상황에 따라 빨리 대처하는 모습이 참 멋지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수술실, 마취과 간호 사가 되지 않으면 다신 보지 못할 수술들을 보게 되어서 정말 좋았다. 남은 1주일도 조금
이라도 더 배워가기 위해서 최선을 다해 실습을 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성인간호실습지침서 (수문사) - 채선옥, 박정언 외
2. 서울대학교 병원 간호진단과 계획 (2003년) - 서울대학교
3. 그림으로 보는 병리학 (정담미디어) - 김명애, 민혜숙 외
4. 성인간호학 Ⅰ(수문사) - 채선옥, 이향련 외
5.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Ⅰ(현문사) - Sigma Theta Tau Lambda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