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신생아daily checklist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신생아daily checklis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첫째주 ♣

===================== 1일 ===================

▶ 병원 orientation & 순회

▶ 신생아실 orientation

=================== 2일 =====================

▶ 신생아실 환경

▶ aspiration pneumonia 환아 흉부물리요법 수행

▶ aspiration pneumonia 환아 nebulizer 시행 관찰

=================== 3일 ======================

▶ lumbar puncture 관찰.

▶ 미이라 억제 수행

▶ 장루(ostomy) 간호 관찰

==================== 4일 ==================

▶ 정상 신생아 출산 직 후 전반적 간호 관찰

▶ 신생아 집중 치료실 입원환자 시술 동의서 뒤에 부착

▶ 수술준비 관찰

==================== 5일 =====================

▶ 모유수유 관찰

===================== 6일 ====================

▶ 신생아 suction 간호

▶ suction regulator

▶ 외부검사 갈 때의 아기의 간호

♣ 둘째주 ♣

==================== 7일 =====================

▶ ICS (intensive care system)

▶ incubator 간호

=================== 8일 ======================

▶ ECG 관찰

▶ electronic infusion devices ; EID (전자식 주입기구) 관찰 및 수행.

▶ infusion pump 관찰, 조작

===================== 9일 =====================

▶ patient monitor

▶ 퇴원 신생아 부모 교육 관찰 (퇴원 책자 뒤에 부착!)

▶ 페닐케톤뇨증 검사 관찰

=================== 10일 ====================

▶ 정맥수액요법 관찰

▶ 소변 검사물

=================== 11일 ====================

▶ morning care 수행

▶ pulse oxymeter

▶ EM 약물

▶ 주요 용어와 약어

♡ 참고도서 ♡

본문내용

ump와 lock connector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잠금 상태인지 확인한다.
⑤ “Release button”을 눌러 tubing clamp를 open시킨 후 Iv set의 tubing이 비틀리지 않고 팽팽하게 직선으로 line이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⑥ Door를 닫는다.
⑦ rate/limit select button을 눌러 D rate를 위치에 맞추어 속도를 조절한다.
⑧ rate/limit select button을 다시 눌러 D limit 위치에 맞춘 후 한계량을 조절한다.
⑨ manual clamp를 open 하고 start button을 누른다.
▶ infusion pump 관찰, 조작
기능 : 약물 및 수액 주입량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주입량 과다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한 다.
종류 : 실린더 주입기는 주사기를 하나만 설치할 수 있는 형과 2~3개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는 캐비넷형이 있다.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액세트에 연결하여 사용하 는 Ⅰ- med가 있으나 실린더 주입기를 더 선호한다.
사용법 :
주사기를 하나만 설치하는 1-채널 주입기는 주사기가 20, 30, 50cc 짜리가 있고, 2 혹은 3종류의 수액을 연결할 수 있다.
가능한 최소 주입량은 소수점 이하 1자리 까지 이다.
약물을 잰 주사기를 펌프에 설치하고 하루에 주입할 수액량(주입량/일)을 지정해 주 면 시간당 주입되는 량이 cc 단위로 나타나게 되어있다.
extension 접착부위를 아래로 위치시켜 공기방울의 유입을 막거나 extension B를 연 결 하는 것이 좋다.
1-채널 캐비넷 실린더 주입기의 경보가 울리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세트가 꼬인 경우
· 3-way가 막혔거나 불충분하게 열린 경우
· 주사기 선정이 잘못된 경우
· 배터리 방전시
===================== 9일 =====================
▶ patient monitor
Patient monitor는 현재 환자의 상태가 어떤지를 알려주는 기기로 심전도 측정(ECG Measurement), 심박수 측정(HR, Heart RATE), 혈중 산소 농도 측정 (SpO2, Pulse Oximetry), 혈압 측정(NIBP,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호흡 (Respiration), IBP(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체온(Temperature) , 호기말 이산화탄소(EtCO2 : End-Tidal CO2)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 준다.
혹시 환자의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져서 일정 기준 이하로 신호가 나타날때에는 즉각적으로 alarm을 울림으로 해서 간호사들에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퇴원 신생아 부모 교육 관찰 (퇴원 책자 뒤에 부착!)
1) 수유
● 모유영양
- 유방관리 방법 및 유방 열상시 간호법
- 모유수유 방법
- 모유금기 사향
● 인공 영양
- 조유법
- 우유수유 방법
- 수유기구소독 및 보관방법
2) 목욕과 제대간호
3) 예방접종
연 령
백신 종류
0~1 주
B 형 간염
0~4 주
BCG
1 개월
B 형 간염
2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B형 간염
4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6 개월
DPT, 경구용 소아마비(폴리오), B형 간염
12~15 개월
홍역·볼거리·풍진(MMR), 수두
12~36 개월
일본뇌염 (만 1~2세에 1차 접종, 1년 뒤 2차 접종, )
● 기본 예방 접종
연 령
백신 종류
18 개월
DPT
4~6세
경구용 소아마비, DPT, 홍역·볼거리·풍진(MMR)
6세
일본뇌염
10~12세
성인용 Td (매 10년마다 접종)
12세
일본뇌염
● 추가 예방 접종
(1) 모체가 HbsAg 양성인 경우, 초회 접종으로 12시간 이내에 HBIG와 함께 부위를 달리하여 B형 간염 백신을 투여하며, 반드시 0, 1, 6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 다. 모체의 HbsAg 양성 여부를 모를 때에는 출생 시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고, 모체의 결과가 양성이면 HBIG를 가능한 빨리(늦어도 7일 이내) 근육 주사하고 B 형 간염 백신은 반드시 0, 1, 6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다. 모체의 결과가 음성 이면 B형 간염 백신은 제품에 따라 0, 1, 6 또는 0, 1, 2개월 방법으로 3회 접 종한다.
(2) 모체가 HbsAg 음성인 경우, 초회 접종을 2개월부터 접종하여도 좋다. 제품에 따 라 0, 1, 6 또는 0, 1, 2개월 방법으로 3회 접종한다.
(3) 주사용 폴리오 백신으로 4회 접종한다. 경구용 폴리오 백신도 접종할 수 있다.
(4) 기본 접종에 포함되지 않으나 적극 권장되어야 할 백신으로 제품에 따라 2~3회 의 기초 접종과 1회의 추가 접종이 필요하다.
(5) 홍역 유행 시 6개월부터 홍역 단독 백신(없으면 MMR)을 접종한다.
(6) 연령이 6개월 이상으로서 인플루엔자 유행기에 연령이 6~23개월이 되는 소아에 게는 기본 접종으로 추천하며, 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연령이 6 개월 이상이면 누구에게나 접종할 수 있다. 8세 이하의 소아가 처음 접종하는 해에는 4주 간격을 두고 2회 접종한다.
(7) 13세 이상에서는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8) 사백신과 생백신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접종한다. 사백신의 경우 기초 접종은 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다음 해에 1회 접종하며 추가 접종은 6세, 12세 에 한다. 생백신의 경우 기초 접종은 처음 방문하여 1회만 접종하고 다음 해에 1 회 접종하며 추가 접종은 6세에 한다.
(9) 11~12세부터 매 10년 마다 접종한다.
4) 아기의 수면 습관등의 행동특성
5) 아기방 환경 및 아기용품
6) 병원방문이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
- 창백, 청색증
- 식욕부진, 구토, 설사
- 비정상적인 호흡
- 불안정. 기면
- 발열, 저체온
7) 신생아에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에 대한 대처방법
8) 응급시 필요한 기관, 시생아실 및 주치의사의 전화번호
9) 추후 관리를 위해 병원에 내원할 일시
10) 신생아 선별검사 안내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페닐케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