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지주의의 문제
(2) 플레로마 (The Pleroma)
(3) 창조, 악, 구원
(4) 영지주의 용어의 의미
(5) 영지주의와 기독교
(2) 플레로마 (The Pleroma)
(3) 창조, 악, 구원
(4) 영지주의 용어의 의미
(5) 영지주의와 기독교
본문내용
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를 아담이 먹도록 한 하와의 죄를 생각나게 한다. 발렌티우스의 설명에 의하면 죄인은 인간이 아니라 아이온이었다고 한다.
⑦ 온세상의 물질은 지혜가 부자연스럽게 낳은 딸 아카모트로부터 나왔다. 이것은 물질의 악성을 설명한다.
⑧ 세상의 형태와 질서는 아카모트의 아들은 데미우르지에게서 나왔다. 사람의 영혼도 또한 그로부터 나왔다.
⑨ 데미우르지는 지혜에 의해서 다소 통제되기 때문에 그는 한 인간의 영혼들을 다양한 영적인 차이를 가지게끔 창조하였다. 그러므로 인간들 중 얼마는 구원을 받을 수 없다.
⑩ 아이온인 지혜는 알수 없는 아버지로부터 나온, 전적으로 영적인 플레로마와 그리고 아카모트와 데미우르지로부터 나온 물질 세계 사이를 잇는 연계가 된다.알수 없는 아버지와 악한 물질 세계 사이의 접합은 매우 약하고 희박하다. 그러나 연결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발렌티우스는 선한 하나님을 악의 기원에서 완전히 분리시키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우리에게는 발렌티우스의 이 도식(圖式)이 이상하고 공허하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 어떻게 세상이 존재하고 또 세상속에 인간이 존재하게 되었는가? 왜 선과 악이 섞이
⑦ 온세상의 물질은 지혜가 부자연스럽게 낳은 딸 아카모트로부터 나왔다. 이것은 물질의 악성을 설명한다.
⑧ 세상의 형태와 질서는 아카모트의 아들은 데미우르지에게서 나왔다. 사람의 영혼도 또한 그로부터 나왔다.
⑨ 데미우르지는 지혜에 의해서 다소 통제되기 때문에 그는 한 인간의 영혼들을 다양한 영적인 차이를 가지게끔 창조하였다. 그러므로 인간들 중 얼마는 구원을 받을 수 없다.
⑩ 아이온인 지혜는 알수 없는 아버지로부터 나온, 전적으로 영적인 플레로마와 그리고 아카모트와 데미우르지로부터 나온 물질 세계 사이를 잇는 연계가 된다.알수 없는 아버지와 악한 물질 세계 사이의 접합은 매우 약하고 희박하다. 그러나 연결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발렌티우스는 선한 하나님을 악의 기원에서 완전히 분리시키는데 성공하지 못했다.
우리에게는 발렌티우스의 이 도식(圖式)이 이상하고 공허하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 어떻게 세상이 존재하고 또 세상속에 인간이 존재하게 되었는가? 왜 선과 악이 섞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