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업을 설계하며
Ⅱ. 대단원의 개관
1. 단원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흐름
5. 단원의 지도 계열
6. 교재연구
(1) 길이와 넓이
1) 임의의 단위로 측정
2) 영어 체계
7. 실태분석
8. 본시 수업의 전개
(1) 분시 수업 안내
(2) 본시 수업 설계
(3) 본시 수업안
(4). 판서 계획
(5) 평가계획
▣ 참고 문헌 ▣
Ⅱ. 대단원의 개관
1. 단원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흐름
5. 단원의 지도 계열
6. 교재연구
(1) 길이와 넓이
1) 임의의 단위로 측정
2) 영어 체계
7. 실태분석
8. 본시 수업의 전개
(1) 분시 수업 안내
(2) 본시 수업 설계
(3) 본시 수업안
(4). 판서 계획
(5) 평가계획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위해서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4학년에서 지도하도록 이동 되었다. 본 단원은 학생들이 둘레와 넓이에 대한 개념을 처음 학습하는 단원이므로 학생들이 둘레와 넓이에 대한 개념과 양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를 단원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자를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과 단위넓이로서 1cm2를 사용한다는 것을 이해시키기 이해서는 넓이가 같은 구체물이나 여러 가지 모양의 도형을 단위넓이로 사용하여 넓이를 구하는 활동이 필요한데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손의 소 근육 활동이 세밀하게 발달하지 못하여 조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이 당황하지 않고 침작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심어줄 필요성이 있으며 조작활동이 정밀하지 못한 아동들의 경우는 친구들과 협력하는 활동을 하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다.
3. 단원의 목표
(1) 도형의 둘레를 이해하고 구할 수 있다
(2)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를 구할 수 있다
(3) 단위넓이의 필요성을 알고 1cm2를 이해할 수 있다.
(4)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5)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4. 학습의 흐름
선수학습
본 단원
후속학습
양의 비교
길이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
1cm2
직사각형과 정사각형 의 넓이
평행사변형의 넓이
삼각형의 넓이
사다리꼴의 넓이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
넓이의 여러 가지 단위
5. 단원의 지도 계열
차 시
주 제
수업 내용 및 활동
익힘책 쪽수
1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
직사각형의 둘레를 쉽게 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정사각형의 둘레를 쉽게 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80~81
차 시
주 제
수업 내용 및 활동
익힘책 쪽수
2
1cm2
(본 시)
직접 비교가 어려운 직사각형의 넓이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단위넓이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해 본다.
1cm2 약속한다.
82~83
3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넓이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 본다.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 본다.
84~85
4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
도형의 넓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해 본다.
86~87
5
단원 평가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단위넓이로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 했는지 확인한다.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도형의 넓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6
탐구 활동
단위넓이에 적합한 도형을 찾고 그 이유 를 설명해 보는 탐구활동을 통해 단위넓이의 조 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7
문제 해결
놀이 마당
정사각형와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도형의 둘레를 구한다.
놀이를 하면서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에 대한 지각력을 기른다.
88, 90
6. 교재연구
(1) 길이와 넓이
1) 임의의 단위로 측정
우리는 생활의 필요에 의하여 측정을 하여야만 한다. 처음엔 임의 단위 로 측정한다. 측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물체를 선택하고 길이, 넓이, 부피, 무게, 시간 등과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특성을 선택한다. 특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임의 단위를 선택한다.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임의 단위의 수를 정한다.
2) 영어 체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해야 할 경우, 다른 사람들과 의사를 소통해야 할 경 우가 있다. 이 때 표준 단위가 필요하다. 표준 단위는 임의 단위의 불편 함에서 비롯된다. 영어 체계는 자연적인 단위 또는 임의 단위로부터 유 래된 것이다. 예로, 1foot는 인간의 발의 길이였고, 옷을 측정한 데 유 용한 1yard는 코 끝에서 팔 끝까지의 거리였다. 1 inch는 곡물 세 개의 길이였고, 1fathom은 양팔을 편 길이었으며 1yard는 말이 하루에 갈 수 있는 땅의 면적이었다.
① 길이
길이에 대한 자연적인 영어 단위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1foot를 표준 금속 막대로 정하였다. 그래서 1 inch는 1 foot의 1/12로, 1yard는 1 foot 세 개로 정하였다.
② 넓이
영어 체계어세는 넓이의 표준 단위로서 foot의 제곱을 이용한다. 즉, 영여의 넓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영역을 덮는 데 한 변이 1 foot인 정사각형이 몇 개 필요한가를 정한다. 이것은 평면을 정사각형으로 덮는 방법을 응용한 것이다.
3) 미터계 체계
미터계 체계의 단위는 다음과 같은 단위의 이상적인 체계의 모든 특징을 통합한다. 기본적인 단위는 표준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이동성). 같은 형태의 단위 사이에는 간단한 비율이 있다(호환성). 단위의 다른 형태들은 간단한 관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용어를 이용하여 정의한다(관련성)
① 길이
미터법에서 길이의 표준 단위는 1미터이다. 1미터는 원래 적도에서 북극까지 경도를 따른 거리의 1/1천만의 길이로 정의하였다. 표준 백금(1미터를 나타내는 iridium 막대)은 프랑스의 ‘무게와 측정의 국제국’에서 주장했다. 그러나, 과학의 발전으로 이 정의는 1미터를 세계의 모든 곳에서 똑같이 재생하기 위하여 변경되었다. 1960년이래, 1미터는 정확하게 원소 크립프톤 86의 파장에 있는 오렌지붉은 빛의 1,650,763,73파장으로 정의 되었다. 비록 이정의가 꽤 전문적인 용어처럼 보일지라도 이것은 실험실 어느 곳에든지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터법에서는 10의 거듭제곱에 대응하여 표준 단위를 곱하거나 나누어서 만든 새로운 단위 즉, 보조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10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낸 십진법 체계이다.
② 둘레
다각형의 둘레는 다각형의 변의 길이를 합한 것이다. ‘per\'의 의미는 주위이고, ’meter\'의 의미는 측정을 나타낸다. 따라서 ‘perimeter\'의 어원적인 의미는 주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사각형과 마름모는 길이가 같은 4개의 변이 있다. 한 변의 길이를 s라고 하면 각 도형의 둘레는 4s로 나타낼 수 있다.
직사각형과 평행사변형에서 반대편에 있는 변은 합동이다. 만일 변의 길이가 각각 a, b라면 긱삭ㄱ형과 평행사변형의 둘레는 2a+2b이다. 유사한 공식을 연의 둘레에서도 빌견할 수 있다.
③ 넓이
미터법에서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를 단원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자를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과 단위넓이로서 1cm2를 사용한다는 것을 이해시키기 이해서는 넓이가 같은 구체물이나 여러 가지 모양의 도형을 단위넓이로 사용하여 넓이를 구하는 활동이 필요한데 4학년 학생들의 경우 손의 소 근육 활동이 세밀하게 발달하지 못하여 조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이 당황하지 않고 침작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심어줄 필요성이 있으며 조작활동이 정밀하지 못한 아동들의 경우는 친구들과 협력하는 활동을 하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다.
3. 단원의 목표
(1) 도형의 둘레를 이해하고 구할 수 있다
(2)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를 구할 수 있다
(3) 단위넓이의 필요성을 알고 1cm2를 이해할 수 있다.
(4)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5)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4. 학습의 흐름
선수학습
본 단원
후속학습
양의 비교
길이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
1cm2
직사각형과 정사각형 의 넓이
평행사변형의 넓이
삼각형의 넓이
사다리꼴의 넓이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
넓이의 여러 가지 단위
5. 단원의 지도 계열
차 시
주 제
수업 내용 및 활동
익힘책 쪽수
1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
직사각형의 둘레를 쉽게 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정사각형의 둘레를 쉽게 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80~81
차 시
주 제
수업 내용 및 활동
익힘책 쪽수
2
1cm2
(본 시)
직접 비교가 어려운 직사각형의 넓이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본다.
단위넓이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해 본다.
1cm2 약속한다.
82~83
3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넓이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 본다.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 본다.
84~85
4
여러 가지
도형의 넓이
도형의 넓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해 본다.
86~87
5
단원 평가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둘레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단위넓이로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 했는지 확인한다.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도형의 넓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6
탐구 활동
단위넓이에 적합한 도형을 찾고 그 이유 를 설명해 보는 탐구활동을 통해 단위넓이의 조 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7
문제 해결
놀이 마당
정사각형와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도형의 둘레를 구한다.
놀이를 하면서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에 대한 지각력을 기른다.
88, 90
6. 교재연구
(1) 길이와 넓이
1) 임의의 단위로 측정
우리는 생활의 필요에 의하여 측정을 하여야만 한다. 처음엔 임의 단위 로 측정한다. 측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물체를 선택하고 길이, 넓이, 부피, 무게, 시간 등과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특성을 선택한다. 특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임의 단위를 선택한다.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임의 단위의 수를 정한다.
2) 영어 체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해야 할 경우, 다른 사람들과 의사를 소통해야 할 경 우가 있다. 이 때 표준 단위가 필요하다. 표준 단위는 임의 단위의 불편 함에서 비롯된다. 영어 체계는 자연적인 단위 또는 임의 단위로부터 유 래된 것이다. 예로, 1foot는 인간의 발의 길이였고, 옷을 측정한 데 유 용한 1yard는 코 끝에서 팔 끝까지의 거리였다. 1 inch는 곡물 세 개의 길이였고, 1fathom은 양팔을 편 길이었으며 1yard는 말이 하루에 갈 수 있는 땅의 면적이었다.
① 길이
길이에 대한 자연적인 영어 단위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1foot를 표준 금속 막대로 정하였다. 그래서 1 inch는 1 foot의 1/12로, 1yard는 1 foot 세 개로 정하였다.
② 넓이
영어 체계어세는 넓이의 표준 단위로서 foot의 제곱을 이용한다. 즉, 영여의 넓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영역을 덮는 데 한 변이 1 foot인 정사각형이 몇 개 필요한가를 정한다. 이것은 평면을 정사각형으로 덮는 방법을 응용한 것이다.
3) 미터계 체계
미터계 체계의 단위는 다음과 같은 단위의 이상적인 체계의 모든 특징을 통합한다. 기본적인 단위는 표준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이동성). 같은 형태의 단위 사이에는 간단한 비율이 있다(호환성). 단위의 다른 형태들은 간단한 관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용어를 이용하여 정의한다(관련성)
① 길이
미터법에서 길이의 표준 단위는 1미터이다. 1미터는 원래 적도에서 북극까지 경도를 따른 거리의 1/1천만의 길이로 정의하였다. 표준 백금(1미터를 나타내는 iridium 막대)은 프랑스의 ‘무게와 측정의 국제국’에서 주장했다. 그러나, 과학의 발전으로 이 정의는 1미터를 세계의 모든 곳에서 똑같이 재생하기 위하여 변경되었다. 1960년이래, 1미터는 정확하게 원소 크립프톤 86의 파장에 있는 오렌지붉은 빛의 1,650,763,73파장으로 정의 되었다. 비록 이정의가 꽤 전문적인 용어처럼 보일지라도 이것은 실험실 어느 곳에든지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터법에서는 10의 거듭제곱에 대응하여 표준 단위를 곱하거나 나누어서 만든 새로운 단위 즉, 보조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10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낸 십진법 체계이다.
② 둘레
다각형의 둘레는 다각형의 변의 길이를 합한 것이다. ‘per\'의 의미는 주위이고, ’meter\'의 의미는 측정을 나타낸다. 따라서 ‘perimeter\'의 어원적인 의미는 주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사각형과 마름모는 길이가 같은 4개의 변이 있다. 한 변의 길이를 s라고 하면 각 도형의 둘레는 4s로 나타낼 수 있다.
직사각형과 평행사변형에서 반대편에 있는 변은 합동이다. 만일 변의 길이가 각각 a, b라면 긱삭ㄱ형과 평행사변형의 둘레는 2a+2b이다. 유사한 공식을 연의 둘레에서도 빌견할 수 있다.
③ 넓이
미터법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