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혈의 종류
1. 전혈(Whole blood)
1) 적응증
2) 주의사항
2. 성분수혈(Blood Component Transfusion)
1) 농축적혈구(PRC)
2)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
3) 농축혈소판
4) 성분채집 혈소판
5)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 FFP)
6) 동결침전제
7) 백혈구제제
8) 혈장분획제제들
9) Factor Ⅷ 농축제제
10) Factor Ⅸ 농축제제
11) 항트롬빈 Ⅲ 농축제제
3. 자가수혈(Autologus Transfusion)
Ⅱ. 수혈의 과정
Ⅲ. 수혈 시 사용기구
1. 수혈침
2. 수혈세트
3. 수혈용필터
Ⅳ. 수혈의 부작용
1. 용혈성 수혈부작용
2. 발열성 수혈부작용
3. 알러지성 수혈부작용
4. 수혈전파성 질환
Ⅴ. 수혈 후 부작용 관련 판례
1. 사례1
2. 사례2
Ⅵ. 수혈의 주의사항
Ⅶ. 수혈과 성분수혈
1. 정의
2. 목적
3. 이점
Ⅷ. 수혈과 혈액관리
참고문헌
1. 전혈(Whole blood)
1) 적응증
2) 주의사항
2. 성분수혈(Blood Component Transfusion)
1) 농축적혈구(PRC)
2)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
3) 농축혈소판
4) 성분채집 혈소판
5)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 FFP)
6) 동결침전제
7) 백혈구제제
8) 혈장분획제제들
9) Factor Ⅷ 농축제제
10) Factor Ⅸ 농축제제
11) 항트롬빈 Ⅲ 농축제제
3. 자가수혈(Autologus Transfusion)
Ⅱ. 수혈의 과정
Ⅲ. 수혈 시 사용기구
1. 수혈침
2. 수혈세트
3. 수혈용필터
Ⅳ. 수혈의 부작용
1. 용혈성 수혈부작용
2. 발열성 수혈부작용
3. 알러지성 수혈부작용
4. 수혈전파성 질환
Ⅴ. 수혈 후 부작용 관련 판례
1. 사례1
2. 사례2
Ⅵ. 수혈의 주의사항
Ⅶ. 수혈과 성분수혈
1. 정의
2. 목적
3. 이점
Ⅷ. 수혈과 혈액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tor Ⅱ,Ⅶ 및 factor Ⅹ과 기타 단백이 혼입되어 있었기에 Prothrombin complex라고 하였다. 혼입된 응고 인자들은 제조 과정에서 활성화 될 수 있어 혈전증 등 부작용을 유발 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혼입되어 있는 응고 인자들의 양을 줄여 혈전증 유발 가능성이 적은 새로운 제제가 제품화 되었다.
11) 항트롬빈 Ⅲ 농축제제
혈장분획술에 의해 혈장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제조한다. 바이러스 전염을 줄이기 위해 열처리 하며 동결건조 시켜 제품화 한다. 항트롬빈 Ⅲ는 헤파린과 결합하여 활성화된 트롬빈 및 factor ⅨⅩ,,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중요한 항응고 인자이다. 항트롬빈 Ⅲ가 결핍되면 혈전증이 유발 될 수 있다.
3. 자가수혈(Autologus Transfusion)
자기 자신의 혈액을 수혈하는 것을 말한다. 수술 전 혈액예치식 자가 수혈은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으로 수술이 예정된 환자로부터 1~2주 간격으로 수술시 필요한 혈액량 만큼 미리 채혈하여 보관해 두었다가 수술 중에 수혈하는 방법으로 Hb 11.0 이상에서만 가능하다
Ⅱ. 수혈의 과정
(1) 수혈지시사항을 확인하고 수혈 의뢰지를 혈액은행에 보내 혈액을 불출 받은 후, 혈액형과 교차검사결과를 확인한다.
(2) 혈액을 받으면 직시 공기방울, 혼탁도, 색깔에 이상이 잇는 지 확인한다.
(3) 의무기록을 보고 이전에 검사한 혈액형과 수혈할 혈액의 혈액형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4) 적합 시험 보고서와 혈액 백 라벨에 기록된 환자의 이름, 진찰권 번호, 혈액번호, 혈액형, 혈액의 종류, 유효기간을 담당의와 함께 반드시 확인하고 서명한다.
(5) 환자에게 수혈의 목적, 방법,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혈액형을 직접 확인한다. 필요시 혈액형을 나타내는 표시를 걸어 둘 수 있다.
(6) 환자의 체온, 맥박, 호흡을 측정한다.(수혈 전 체온이 38.1℃ 이상이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7) 포도당 용액이 정맥 주입되고 있으면 생리식염수로 바꾸고 적절한 바늘(18G)인지 확인한다.
(8) 확인이 다 되면 수혈세트를 혈액백의 출구에 꽂은 후 chamber의 여과막이 잠길 정도로 혈액을 채운 후 조절기를 잠근다.
(9) 정맥주입중인 주사바늘 또는 카테터에 수혈세트를 연결한다.
(10) 조절기를 열고 혈액을 주입한다. 처음 15분 동안은 분당 15방울로 주입한다.
(11) 수혈시작 15분 후에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이상이 없다면 지시대로 주입한다.
(12) 혈액이 주입되고 있는 매 30분마다 오심, 구토, 피부 발적, 오한, 혈뇨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부작용이 있으면 수혈을 중지하고 보고한다.
(13) 수혈이 다 끝난 후 다른 수액의 주입이 없다면 바늘을 제거한 후 소독 솜으로 주사부위를 3분 이상 눌러준다.
(14) 수혈이 끝난 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15) 수혈이 완전히 끝나면 혈액백의 라벨에 끝난 시간을 기록하고 간호일지에 붙이고, 부작용, 활력징후, 혈액을 제거한 시간을 기록한다.
Ⅲ. 수혈 시 사용기구
1. 수혈침
수혈용 주사침으로서는 17~18G의 금속침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2. 수혈세트
혈액제제와 주사침은 수혈세트라고 하는 접속회로로 결합. →유량조절, 기포, 응집과의 trapping 을 행한다.
3. 수혈용필터
혈액제제는 보존의 의해 그 일부가 변성되어, 미소응집괴(microaggregate)를 형성. →대량수혈 시 그 응집괴가 때때로 폐에 색전을 형성, 진행성의 호흡부전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대량수혈에서는 미소응집괴 제거가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Ⅳ. 수혈의 부작용
1. 용혈성 수혈부작용
ABO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한 경우 생길 수
11) 항트롬빈 Ⅲ 농축제제
혈장분획술에 의해 혈장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제조한다. 바이러스 전염을 줄이기 위해 열처리 하며 동결건조 시켜 제품화 한다. 항트롬빈 Ⅲ는 헤파린과 결합하여 활성화된 트롬빈 및 factor ⅨⅩ,,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중요한 항응고 인자이다. 항트롬빈 Ⅲ가 결핍되면 혈전증이 유발 될 수 있다.
3. 자가수혈(Autologus Transfusion)
자기 자신의 혈액을 수혈하는 것을 말한다. 수술 전 혈액예치식 자가 수혈은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으로 수술이 예정된 환자로부터 1~2주 간격으로 수술시 필요한 혈액량 만큼 미리 채혈하여 보관해 두었다가 수술 중에 수혈하는 방법으로 Hb 11.0 이상에서만 가능하다
Ⅱ. 수혈의 과정
(1) 수혈지시사항을 확인하고 수혈 의뢰지를 혈액은행에 보내 혈액을 불출 받은 후, 혈액형과 교차검사결과를 확인한다.
(2) 혈액을 받으면 직시 공기방울, 혼탁도, 색깔에 이상이 잇는 지 확인한다.
(3) 의무기록을 보고 이전에 검사한 혈액형과 수혈할 혈액의 혈액형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4) 적합 시험 보고서와 혈액 백 라벨에 기록된 환자의 이름, 진찰권 번호, 혈액번호, 혈액형, 혈액의 종류, 유효기간을 담당의와 함께 반드시 확인하고 서명한다.
(5) 환자에게 수혈의 목적, 방법,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혈액형을 직접 확인한다. 필요시 혈액형을 나타내는 표시를 걸어 둘 수 있다.
(6) 환자의 체온, 맥박, 호흡을 측정한다.(수혈 전 체온이 38.1℃ 이상이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7) 포도당 용액이 정맥 주입되고 있으면 생리식염수로 바꾸고 적절한 바늘(18G)인지 확인한다.
(8) 확인이 다 되면 수혈세트를 혈액백의 출구에 꽂은 후 chamber의 여과막이 잠길 정도로 혈액을 채운 후 조절기를 잠근다.
(9) 정맥주입중인 주사바늘 또는 카테터에 수혈세트를 연결한다.
(10) 조절기를 열고 혈액을 주입한다. 처음 15분 동안은 분당 15방울로 주입한다.
(11) 수혈시작 15분 후에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이상이 없다면 지시대로 주입한다.
(12) 혈액이 주입되고 있는 매 30분마다 오심, 구토, 피부 발적, 오한, 혈뇨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부작용이 있으면 수혈을 중지하고 보고한다.
(13) 수혈이 다 끝난 후 다른 수액의 주입이 없다면 바늘을 제거한 후 소독 솜으로 주사부위를 3분 이상 눌러준다.
(14) 수혈이 끝난 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15) 수혈이 완전히 끝나면 혈액백의 라벨에 끝난 시간을 기록하고 간호일지에 붙이고, 부작용, 활력징후, 혈액을 제거한 시간을 기록한다.
Ⅲ. 수혈 시 사용기구
1. 수혈침
수혈용 주사침으로서는 17~18G의 금속침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2. 수혈세트
혈액제제와 주사침은 수혈세트라고 하는 접속회로로 결합. →유량조절, 기포, 응집과의 trapping 을 행한다.
3. 수혈용필터
혈액제제는 보존의 의해 그 일부가 변성되어, 미소응집괴(microaggregate)를 형성. →대량수혈 시 그 응집괴가 때때로 폐에 색전을 형성, 진행성의 호흡부전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대량수혈에서는 미소응집괴 제거가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Ⅳ. 수혈의 부작용
1. 용혈성 수혈부작용
ABO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한 경우 생길 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