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blood 血液)의 주요 내용과 기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blood 血液)의 주요 내용과 기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혈액
혈액의 성분
혈액의 기능
혈구생성

2.적혈구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침강속도
용혈
파괴 및 bilirubin 대사

3.백혈구
기능 :식균작용 면역작용
형태별 분류

4.혈소판

5.혈액형

6.Rh 인자

본문내용

Ⅷ처럼 작용, factor a와 Ca++존재 하 에 활동
Ⅹ. stuart factor factorⅧ의 촉진물, factor Ⅶ, Ca++ 및 factor Ⅷa에 의해서 활성화
. plasma thromboplastin antecedent 접촉-감수성 단백분해효소
. hagement factor 접촉-감수성 단백 분해효소
13. fibrin-stabilizing factor Ca++존재 하에 fibrin을 안정화, thrombin에 의해서 활성화
응고기전
1단계 :혈소판이 공기에 노출되면 파괴되어 thromboplastin(thrombokinase)을 유리
2단계 : 유리된 thromboplastin과 Ca++의 작용에 의해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전 환시키는 활성화 단계이다. prothrombin은 혈장단백질로 vitamin K의 도움으로 간 에서 생성
3단계 : thrombin의 효소작용에 의해 혈장단백질인 fibrinogen(섬유소원-용해성)이 fibrin (섬유소-비용해성)으로 전환하는 응고단계이다.
※항응고기전
-혈액은 혈액의 응고를 촉진하는 향응고제procoagulant와 응고를 방지하는 항응고제anticoagulant 사이에서 항상 평형을 유지한다. 정상상태에서는 향응고작용이 우세하여 혈액의 유동성을 일으키지만 혈관이 손상되면 항응고작용이 우세하게 되어 혈액응고를 일으킨다. 항응고제 중 인체 내에서 이미 응고된 혈전을 용해시키는 응고방지제로는 섬유소 용해계와 heparin이 있다.
○섬유소 용해계 fibrinolytic system
: 대표적인 것으로 plasmin이 있다. plasminogen에서 활성화된 plasmin은 fibrinolysis작용이 있다. 즉 plasmin은 fivrinogen이나 fibrin을 용해시켜 혈액응고를 억제한다. 예를 들면 월경혈은 응고되지 않는데 이는 자궁점막에서 나온 plasmin 때문이다.
○heparin
: 간 또는 결체조직에 있는 비만세포의 과립이나 호염기성 백혈구에 존재. 헤파린이 유리되어 순환혈액으로 나오면 factor Ⅸ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또한 prothrombin에서 thrombin의 생산을 억제, 시험관 내의 혈액을 유리막대로 저어주어 fibrin을 제거해도 응고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상혈관에서 혈액이 액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heparin의 억제 작용에 의한다고 한다. 또한 급사한 사람의 혈액은 응고하기 어려운데 heparin이 다량 유리되기 때문
○Coumarin유도체 (vitamin K antagonist)
: 인공적으로 합성되는 물질로서 비타민 K의 작용을 차단
○ Sodium citrate, sodium oxalate, EDTA(Ethylendiamine tetraactic acid)
: 인공적으로 합성되는 물질로서 Ca++와 결합함으로써 prothrombin에서 thrombin으로 의 형성을 차단함으로써 혈액응고를 억제
혈장
-혈액의 약 55%, 정상체중의 5%를 차지, 혈장성분 중 90~92%는 물이고 6.5~7%는 단백질, 3%는 전해질, 무기질 및 유기질 등으로 이루어짐. 혈장단백질은 분자구조가 커서 모세혈관벽을 통해 쉽게 확산되지 않기 때문에 혈장의 교질삼투압을 형성한다. 혈장의 비중은 1.025~1.029이고 pH는 7.35~7.45로 약 알칼리성이다.
단백질
%
생성부위
기능
알부민
60%

혈액의 교질삼투압유지
글로불린
36%

1.Alpha 글로불린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 운반
2. Beta 글로불린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 운반
3.Gamma 글로불린
림프조직
면역항체 작용
섬유소원
4%

혈액응고 작용
○혈장의 기능
-정상인의 혈장량은 3.5L(체중 70kg인 경우)로 하루에 약 200g의 단백질을 세포에 공급
-혈액의 교질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혈액과 조직 사이의 물질교환을 조절
-혈액의 점성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혈류를 원활하게 하여 혈압을 정상적으로 유지
-호르몬, 담즙색소, 각종 색소, 금속류, 약물 등 혈장단백질과 결합하여 체내로 물질을 이 동시킴
-혈장 성분 중 r-globulin은 immunoglobuin(Ig)이라고도 불리우며 면역항체를 함유하고 있어 미생물, 독소로부터 인체를 방어
-혈장 중에 fibrinogen, prothrombin이 있어 실혈 시 혈액응고 및 유착에 관여
-산-염기 평형조절의 중요 역할
-대부분의 혈장단백질은 주로 간에서 만들어지므로 혈장 내 알부민의 양이나, A/G(albumin/globulin)비율은 간기능의 중요한 지표
혈액형
1)ABO형
1901년 Landsteiner라는 학자는 사람의 적혈구막에 응집원이라 불리는 다당류의 항원이 있다고 하였다. 이중 중요한 것은 A, B라 불리는 응집원들로써 사람의 적혈구막에 있는 이들 항원을 기초로 하여 모든 사람의 혈액형을 A, B, O, AB 로 분류하였다. 또한 혈장 중에는 응집소a (anti-A), β(anti-B)가 있어 A와 a, B와β가 만나면 응집이 되는 것을 밝혀냈다. 즉 A형의 혈액에는 적혈구막에 A응집원과 혈장에 β응집소를 갖고 있고, B형의 혈액에는 적혈구막에 B응집원과 혈장에 a응집소를 갖고 있으며, AB형의 혈액에는 적혈구막에 A와 B 응집원을 가지고 있으며 혈장에는 a와 β응집소의 어느 것도 갖고 있지 않다 O형의 혈액에는 적혈구막에 A와 B 응집원을 갖고 있지 않지만 혈장에는 a, β응집소를 다 갖고 있다.
혈액형
적혈구의 응집원
혈청의 응집소
인종별 분포%
서양인
동양인
A
A
β
42
32
B
B
a
10
28
AB
A,B
없음
3
12
O
없음
a, β
45
28
-검사방법
: 혈청의 항체인 Anti -A, B를 이용하여 응집여부를 보는 것으로 Anti-A, B를 슬라이드 위에 올려놓고 검사하려는 혈액을 그 위에 떨어뜨려 Anti-A에 응집이 일어나면 혈액형은 A형, Anti- B에 응집이 일어나면 B형, Anti-A, B에서 모두 응집이 생기지 않으면 O형이고 양쪽 모두 응집이 일어나면 AB형이 된다. 혈액형이 결정되었다고 해서 바로 수혈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러므로 제공자와 수혈자의 혈액을 직접 시험관내에서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5.1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