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전래동요의 개념과 특징
1. 전래 동요의 개념
2. 전래 동요의 특징
1) 가락
2) 가사
3) 기능
Ⅲ.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의의
Ⅳ.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사례
1.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1
2.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2
3.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3
4. 그 외에
1) 놀이에 노래를 붙여 놀기-까막잡기
2) 놀리며 부르는 노래
Ⅴ.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지도방법
1. 학급의 구성
1) 한 학급을 4모둠으로 나눈다
2) 각 모둠에는 모둠장을 둔다
2. 학습 활동
1) 시와 말리듬
2) 3성부 말리듬 오스티나토
3) 신체 타악기 합주
4) 리듬악기 합주
5) 즉흥 연주
6) 가락 만들기(5음 음계사용)
7) 노래부르기
8) 신체표현
9) 오르프 악기 합주/기악합주
Ⅵ. 향후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내실화 방안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전래동요의 개념과 특징
1. 전래 동요의 개념
2. 전래 동요의 특징
1) 가락
2) 가사
3) 기능
Ⅲ.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의의
Ⅳ.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사례
1.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1
2.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2
3.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3
4. 그 외에
1) 놀이에 노래를 붙여 놀기-까막잡기
2) 놀리며 부르는 노래
Ⅴ.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지도방법
1. 학급의 구성
1) 한 학급을 4모둠으로 나눈다
2) 각 모둠에는 모둠장을 둔다
2. 학습 활동
1) 시와 말리듬
2) 3성부 말리듬 오스티나토
3) 신체 타악기 합주
4) 리듬악기 합주
5) 즉흥 연주
6) 가락 만들기(5음 음계사용)
7) 노래부르기
8) 신체표현
9) 오르프 악기 합주/기악합주
Ⅵ. 향후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내실화 방안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 타악기 합주
4) 리듬악기 합주
5) 즉흥 연주
6) 가락 만들기(5음 음계사용)
7) 노래부르기
8) 신체표현
9) 오르프 악기 합주/기악합주
Ⅵ. 향후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내실화 방안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Ⅰ. 서론
전래동요는 특정한 작가가 알려지지 않은 채 전래되어 온 동요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첨삭, 소멸되고 다시 발생하는 과정을 거치다가 현재에 이르러 정리된 어린이 노래이다. 따라서 전래동요는 우리민족 고유의 숨결과 삶의 모습이 담겨있는 한민족의 생활사이며 민족적 유산이다.
전래동요의 깊은 뜻, 참된 가치, 넓은 세계를 곰곰이 통찰해 보는 것은 전래동요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을 연계적으로 묶어서 전래동요의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또 재조명하려는 시대 상황적 요구에 따른 것이다. 우리가 모두 전래동요를 아끼고 사랑하는 것은 우리 나름대로의 그만한 이유와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전래동요는 민족사적인 의미가 크게 부각되어 있고, 겨레의 극진한 정서가 전래동요를 통해 표출되기 때문에 소중하게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다. 노인들은 전래동요를 듣고 지난날을 회고하고, 젊은이는 전래동요를 듣고 성숙해졌으며, 어린이는 전래동요를 부르면서 꿈을 꾸고 성장해 간다. 그러므로 전래동요의 가치관을 정립하여 ‘민족문화’로서, 그리고 ‘생활문화’로서 승화시키고 본질적인 삶의 행복을 추구하는 우리 모두의 노래로 인식되어야 할 당위성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전래동요를 음악적인 측면에서 다룬 연구물은 보이나, 전래동요의 미적 측면에서 국어과, 특히 문학교육에서 전래동요 지도를 다룬 연구물은 유감스럽게도 보이지를 않는다. 전래동요도 민요와 마찬가지로 문학적인 측면, 민속학적인 측면, 그리고 음악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전래동요의 속성상 교육현장에서는 이 세 가지 측면을 한데 아울러 지도할 때 가장 이상적인 전래동요 교육이 이루어 질 것이다.
Ⅱ. 전래동요의 개념과 특징
1. 전래 동요의 개념
우리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노래 가운데 어린이들이 불렀거나 어린이들을 위해 불린 노래이다.
2. 전래 동요의 특징
1) 가락
단순, 반복, 3음 구성으로 음역이 넓지 않아 간단하면서도 표현력이 풍부하여 아동들이 부르기에 적당하다. 지역에 따라 가락과 가사가 약간씩 다르게 결합하고, 지역마다 독특한 음악 어법을 지닌다.
2) 가사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 감정이 주요 내용이다.(표준어로 정리, 문맥 살리기, 의미 모르는 의성음은 재미있는 발음을 살려 그대로 부르도록 정리)
3) 기능
대부분 노래로만 불리기보다 놀이 노래로 불린다.
Ⅲ.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의의
우리 민족이 수천 년의 삶을 이어오는 과정에서 놀이문화를 창조하고 전통을 지켜왔고, 놀이의 형태를 빌어 전통사회가 기르고자 했던 신념과 가치를 담고 있는 전통놀이 중에서, 언어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래동요는 문화적으로나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Ⅳ.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사례
1.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1
손치기 발치기
손치기 손치기
손으로 친다고 손치기
발치기 발치기
발로 친다고 발치기
함박 쪽박 시집가
종갈 애기 나도 가
어린 것이 어찌가
옹굴동굴 잘도가
손치기 손치기
손으로 친다고 손치기
발치기 발치기
발로 친다고 발치기
남산에 북산에 백여시
소금장시 연애비
연애비 공갈 똑 따먹고
연애비 한테 장개가
손치기 손치기
손으로 친다고 손치기
발치기 발치기
발로 친다고 발치기
남생아 놀아라
남생아 놀아라
촐래촐래가 잘논다
어화색이 저새기
고구남생 놀아라
익사적사 소사리가 내려온다
청주뜨자 아랑주뜨자
철나무 초야 내 젓가락
나무접시 구갱캥
강강술래는 대동놀이의 원천이다. 각 부분 놀이만으로도 오랜 시간을 즐겁게 놀 수 있고 대부분 자진모리로 되어있어 노래를 배우기도 수월하다. 남생이 놀이는 원을 만들어 둥글게 앉아서 선 소리꾼이 특정한 사람들을 지적하면 그 사람들이 원안으로 뛰어들어 갖가지 춤을 추고 들어간다. 예)마른 사람 나와라, 안경 낀 사람 나와라, 공부하기 싫은 사람 나와라, 핑클 좋아하는 사람 나와라 등등. 그리고 그 춤을 추고 마지막 ‘나무접시 구갱캥’ 대목에서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폴짝 뛰어 다음 짝을 찾아도 재미있고, ‘나무접시 구갱캥’ 대목에서 짝을 바꾸어서 다시 춤을 계속 추어도 즐겁다.
남생이 놀이는 성적인 춤이다. 남생이의 모습은 머리가 쑥 나와있는 것이 남근을 닮았고 놀 때도 엉덩이를 많이 흔드는데 이런 성적인 묘사는 성이 풍부하여 생산이 많이 이루어져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있다. 강강술래 대부분의 놀이와 노래가 성적인 표현이 많은데 이는 역시 다산,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손치기 발치기는 아이들이 특히 좋아한다. 노래가 다소 우쭐대듯이 말이 이어지고 동작도 재미있어 쉬는 시간에도 잘 논다.
2.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2
대문놀이
문지기 문지기 문열어라
-열쇠 없어 못 열겠네
고사리 껑자
껑자 껑자 고사리 대사리 껑자
-유자 꽁꽁 재미나 난다.
아장장장 벌이여
덕석 몰이
몰자 몰자 덕석몰자
-비온다 덕석몰자
풀자풀자 덕석 풀자
-비갠다 덕석 풀자
참 부끄럽게도 우리 것을 가르치면서도 아이들이 좋아할지 늘 자신감이 없다. 그러나 막상 해 보면 괜한 걱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급에서 처음에 ‘강강술래하자’ 하면 축구 피구에 목을 매는 남자 아이들은 자동적으로 싫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덕석을 한번 몰고 나면 반응은 금새 달라진다. 아이들은 정말 신나게 잘 논다. 그리고 덕석을 달팽이 모양으로 몰아갈 때 선두는 원의 안쪽으로 가능하면 붙어서 천천히 몰면 원의 끝까지 줄이 끊기지 않고 몰고 풀 수 있다. 계속 손을 잡은 상태에서 대문놀이를 연결하자.
3.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3
느리게 걷기
(중중모리:보통의 걸음 빠르기로)
강 강 술 래 강강술래
달떠온다 달떠온다 강강술래
우리마을 달떠온다 강강술래
저기저기 저달속에 강강술래
우리소원 빌어보세 강강술래
뛰기(자진모리:경쾌하게 솟구치는 동작으로 뛰면서)
강 강 술 래 강강술래
뛰어보세 뛰어보세 강강술래
읍신읍신 뛰어보세 강강술래
먼데사람 듣기좋고 강강술래
4) 리듬악기 합주
5) 즉흥 연주
6) 가락 만들기(5음 음계사용)
7) 노래부르기
8) 신체표현
9) 오르프 악기 합주/기악합주
Ⅵ. 향후 전래동요지도(전래동요교육)의 내실화 방안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Ⅰ. 서론
전래동요는 특정한 작가가 알려지지 않은 채 전래되어 온 동요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첨삭, 소멸되고 다시 발생하는 과정을 거치다가 현재에 이르러 정리된 어린이 노래이다. 따라서 전래동요는 우리민족 고유의 숨결과 삶의 모습이 담겨있는 한민족의 생활사이며 민족적 유산이다.
전래동요의 깊은 뜻, 참된 가치, 넓은 세계를 곰곰이 통찰해 보는 것은 전래동요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을 연계적으로 묶어서 전래동요의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또 재조명하려는 시대 상황적 요구에 따른 것이다. 우리가 모두 전래동요를 아끼고 사랑하는 것은 우리 나름대로의 그만한 이유와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전래동요는 민족사적인 의미가 크게 부각되어 있고, 겨레의 극진한 정서가 전래동요를 통해 표출되기 때문에 소중하게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다. 노인들은 전래동요를 듣고 지난날을 회고하고, 젊은이는 전래동요를 듣고 성숙해졌으며, 어린이는 전래동요를 부르면서 꿈을 꾸고 성장해 간다. 그러므로 전래동요의 가치관을 정립하여 ‘민족문화’로서, 그리고 ‘생활문화’로서 승화시키고 본질적인 삶의 행복을 추구하는 우리 모두의 노래로 인식되어야 할 당위성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전래동요를 음악적인 측면에서 다룬 연구물은 보이나, 전래동요의 미적 측면에서 국어과, 특히 문학교육에서 전래동요 지도를 다룬 연구물은 유감스럽게도 보이지를 않는다. 전래동요도 민요와 마찬가지로 문학적인 측면, 민속학적인 측면, 그리고 음악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전래동요의 속성상 교육현장에서는 이 세 가지 측면을 한데 아울러 지도할 때 가장 이상적인 전래동요 교육이 이루어 질 것이다.
Ⅱ. 전래동요의 개념과 특징
1. 전래 동요의 개념
우리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노래 가운데 어린이들이 불렀거나 어린이들을 위해 불린 노래이다.
2. 전래 동요의 특징
1) 가락
단순, 반복, 3음 구성으로 음역이 넓지 않아 간단하면서도 표현력이 풍부하여 아동들이 부르기에 적당하다. 지역에 따라 가락과 가사가 약간씩 다르게 결합하고, 지역마다 독특한 음악 어법을 지닌다.
2) 가사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 감정이 주요 내용이다.(표준어로 정리, 문맥 살리기, 의미 모르는 의성음은 재미있는 발음을 살려 그대로 부르도록 정리)
3) 기능
대부분 노래로만 불리기보다 놀이 노래로 불린다.
Ⅲ.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의의
우리 민족이 수천 년의 삶을 이어오는 과정에서 놀이문화를 창조하고 전통을 지켜왔고, 놀이의 형태를 빌어 전통사회가 기르고자 했던 신념과 가치를 담고 있는 전통놀이 중에서, 언어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래동요는 문화적으로나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Ⅳ. 전래동요교육(전래동요지도)의 사례
1.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1
손치기 발치기
손치기 손치기
손으로 친다고 손치기
발치기 발치기
발로 친다고 발치기
함박 쪽박 시집가
종갈 애기 나도 가
어린 것이 어찌가
옹굴동굴 잘도가
손치기 손치기
손으로 친다고 손치기
발치기 발치기
발로 친다고 발치기
남산에 북산에 백여시
소금장시 연애비
연애비 공갈 똑 따먹고
연애비 한테 장개가
손치기 손치기
손으로 친다고 손치기
발치기 발치기
발로 친다고 발치기
남생아 놀아라
남생아 놀아라
촐래촐래가 잘논다
어화색이 저새기
고구남생 놀아라
익사적사 소사리가 내려온다
청주뜨자 아랑주뜨자
철나무 초야 내 젓가락
나무접시 구갱캥
강강술래는 대동놀이의 원천이다. 각 부분 놀이만으로도 오랜 시간을 즐겁게 놀 수 있고 대부분 자진모리로 되어있어 노래를 배우기도 수월하다. 남생이 놀이는 원을 만들어 둥글게 앉아서 선 소리꾼이 특정한 사람들을 지적하면 그 사람들이 원안으로 뛰어들어 갖가지 춤을 추고 들어간다. 예)마른 사람 나와라, 안경 낀 사람 나와라, 공부하기 싫은 사람 나와라, 핑클 좋아하는 사람 나와라 등등. 그리고 그 춤을 추고 마지막 ‘나무접시 구갱캥’ 대목에서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폴짝 뛰어 다음 짝을 찾아도 재미있고, ‘나무접시 구갱캥’ 대목에서 짝을 바꾸어서 다시 춤을 계속 추어도 즐겁다.
남생이 놀이는 성적인 춤이다. 남생이의 모습은 머리가 쑥 나와있는 것이 남근을 닮았고 놀 때도 엉덩이를 많이 흔드는데 이런 성적인 묘사는 성이 풍부하여 생산이 많이 이루어져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있다. 강강술래 대부분의 놀이와 노래가 성적인 표현이 많은데 이는 역시 다산,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손치기 발치기는 아이들이 특히 좋아한다. 노래가 다소 우쭐대듯이 말이 이어지고 동작도 재미있어 쉬는 시간에도 잘 논다.
2.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2
대문놀이
문지기 문지기 문열어라
-열쇠 없어 못 열겠네
고사리 껑자
껑자 껑자 고사리 대사리 껑자
-유자 꽁꽁 재미나 난다.
아장장장 벌이여
덕석 몰이
몰자 몰자 덕석몰자
-비온다 덕석몰자
풀자풀자 덕석 풀자
-비갠다 덕석 풀자
참 부끄럽게도 우리 것을 가르치면서도 아이들이 좋아할지 늘 자신감이 없다. 그러나 막상 해 보면 괜한 걱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급에서 처음에 ‘강강술래하자’ 하면 축구 피구에 목을 매는 남자 아이들은 자동적으로 싫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덕석을 한번 몰고 나면 반응은 금새 달라진다. 아이들은 정말 신나게 잘 논다. 그리고 덕석을 달팽이 모양으로 몰아갈 때 선두는 원의 안쪽으로 가능하면 붙어서 천천히 몰면 원의 끝까지 줄이 끊기지 않고 몰고 풀 수 있다. 계속 손을 잡은 상태에서 대문놀이를 연결하자.
3. 강강술래에 나오는 놀이3
느리게 걷기
(중중모리:보통의 걸음 빠르기로)
강 강 술 래 강강술래
달떠온다 달떠온다 강강술래
우리마을 달떠온다 강강술래
저기저기 저달속에 강강술래
우리소원 빌어보세 강강술래
뛰기(자진모리:경쾌하게 솟구치는 동작으로 뛰면서)
강 강 술 래 강강술래
뛰어보세 뛰어보세 강강술래
읍신읍신 뛰어보세 강강술래
먼데사람 듣기좋고 강강술래
추천자료
감리교의 전래
공자사상 한국전래 및 전개 한국에서의 유교
[과외]중학 국사 3-12 농촌사회의 동요와 서민문화의 발달 02
전래놀이 활동계획안
문벌귀족사회의 동요-국사학습지도안
<이해룡전> 윤리소설의 실체, 동요하는 지배계층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필요성,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가락부호와 구음 및 ...
[유교][교화][유교 위상][유교 문화자원][향약][일본유교][유교 관련 제언]유교의 전래, 유교...
[인문과학] 그림형제의 『신데렐라』와 전래동화 『콩쥐팥쥐』 비교연구
그림형제의 『신데렐라』와 전래동화 『콩쥐팥쥐』 비교연구
다문화가족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전래 놀이 등을 찾아 언어지도의 실제(활동과...
나와 가족 - 소중한 나 동요 '나는 특별해' 부분수업 계획안
[악장][악장 개념][악장 형식][악장 전래][악장 의의][악장과 용비어천가][악장과 월인천강지...
[동화][글감][환상성][동화운동][아동문학][전래민담][헤르만 헤세]동화의 종류, 동화의 글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