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어원
Ⅱ.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탄생
Ⅲ.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말씀
Ⅳ.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승천
1. 승천(昇天)의 정의
2. 승천의 증거
3. 승천의 성질
1) 전위(全位)의 승천
2) 문자적 승천
3) 유형적(有形的) 승천
4) 장소적 승천
4. 승천의 의의
1) 하늘 본향(本鄕)의 존재
2) 구속 사역 완성의 실증
3) 메시야 왕국의 속성 계시
4) 대제사장 사역이 수행
5) 구원의 실시
6) 성도의 영화(榮化)에 대한 예표
7) 처소의 예비
5. 승천의 의미(Significance)
1) 지상사역의 종결과 천상사역의 시작(The End of Earthly Ministry and the Beginning of Heavenly Ministry)
2) 영광(Gloy)의 회복
3) 보혜사 성령(Holy Spirit)을 보내심
4) 세계선교(World Mission)의 새로운 장
5) 재림(The Secind Coming)의 약속
Ⅴ.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재림
1. 재림의 사실
2. 재림의 때
3. 재림의 징조
4. 재림의 목적
1) 교회와의 관계에 있어서
2) 이스라엘과의 관계에 있어서
3) 적 그리스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Ⅵ.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와 보냄의 형식
Ⅶ.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와 인자
1. 인성을 반영하는 의미
2. 메시야적 의미로 사용된 인자
3. 종말론적 의미로서의 인자
4. 예수 그리스도의 초월성과 선재에 강조하며 사용된 인자
참고문헌
Ⅱ.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탄생
Ⅲ.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말씀
Ⅳ.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승천
1. 승천(昇天)의 정의
2. 승천의 증거
3. 승천의 성질
1) 전위(全位)의 승천
2) 문자적 승천
3) 유형적(有形的) 승천
4) 장소적 승천
4. 승천의 의의
1) 하늘 본향(本鄕)의 존재
2) 구속 사역 완성의 실증
3) 메시야 왕국의 속성 계시
4) 대제사장 사역이 수행
5) 구원의 실시
6) 성도의 영화(榮化)에 대한 예표
7) 처소의 예비
5. 승천의 의미(Significance)
1) 지상사역의 종결과 천상사역의 시작(The End of Earthly Ministry and the Beginning of Heavenly Ministry)
2) 영광(Gloy)의 회복
3) 보혜사 성령(Holy Spirit)을 보내심
4) 세계선교(World Mission)의 새로운 장
5) 재림(The Secind Coming)의 약속
Ⅴ.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재림
1. 재림의 사실
2. 재림의 때
3. 재림의 징조
4. 재림의 목적
1) 교회와의 관계에 있어서
2) 이스라엘과의 관계에 있어서
3) 적 그리스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Ⅵ.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와 보냄의 형식
Ⅶ.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와 인자
1. 인성을 반영하는 의미
2. 메시야적 의미로 사용된 인자
3. 종말론적 의미로서의 인자
4. 예수 그리스도의 초월성과 선재에 강조하며 사용된 인자
참고문헌
본문내용
천이 부활 사건만큼 상세하게 기록되지 않았음은 사실이나 그리스도 스스로에 의해 여러 차례 예언되었고(요6:62, 14:2,12, 16:5,28), 의사인 누가에 의해 복음서와(눅24:50,51), 사도행전에(행1:9-11) 이중으로 기록되었으며, 부활을 부인하고 이를 전파하는 자를 박해하던 바울에 의해서조차 여러 차례 언급됨으로써(엡1:20, 4:10, 딤전3:16) 이 사실이 기독교 성립의 중추적 교리임을 반영한다.
3. 승천의 성질
부활40일 후 그리스도는 여러 사람이 지켜보는 가운데 천사의 호위를 받으며 승천하셨다. 즉 이는 혹자가 주장하듯이 환상이 아니라 그 자체가 엄연한 역사적 사건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 승천 사건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내보인다.
1) 전위(全位)의 승천
신성(神性)만이 하늘에 오른 것이 아니라 인성(人性)조차 승천에 포함되었다. 이는 그리스도의 다시 오심도 인성을 지닌 채 이루어질 것을 보여 준다(행1:11).
2) 문자적 승천
그리스도는 성경이 묘사하는 그대로 ‘하늘로(행1:11)’, 즉 ‘위로’올라가셨다(엡4:8). 이처럼 승천은 영적인 의미나 상징적 의미로만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분명한 문자 그대로 하늘에 올리우신 것이다.
3) 유형적(有形的) 승천
승천은 영적 식별력이 있는 사람에게만 보여진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목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는 그리스도의 재림 역시 유형적 형태로, 즉 역사적인 사실로 이루어질 것임을 보여 준다(행1:11, 계1:7).
4) 장소적 승천
루터파에서는 그리스도의 승천을 단순히 상태의 변화로만 본다. 즉 인성을 지니신 그리스도께서 공간적 제한을 받아오셨으나 승천하심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벗어나 영원히 편재(遍在)하실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승천은 성경의 묘사와 같이 ‘세상을 떠나(요16:28)’ ‘하늘로’ 올리우신(행1:11) 것이며, 이때 구름이 제자들의 시야를 막았다(행1:9). 즉 그리스도는 세상을 떠나 처소를 예비하려고(요14:2,3) 하늘에 오르신 공간적 의미에서 승천하신 것이다.
4. 승천의 의의
다른 교리와 마찬가지로 승천 역시 여러 교리와 유기적 관계를 갖는다. 특히 이는 성도가 지향하는 바 영광된 미래와 관련되므로 더 큰 관심이 집중된다 하겠다.
1) 하늘 본향(本鄕)의 존재
승귀의 신분을 지니신 그리스도께서 죄가 범람하는 이 세상에 계시는 것은 적당치 않다. 즉 원래 신분을 회복하신 그리스도는 모든 악으로부터 분리되어있고 질고가 없는 곳에 거처하시게 된 것이다. 이는 인간이 성화(聖化)된 후 장차 거하게 될 새 하늘과 새 땅이 악과 관계없는 정화(淨化)된 곳임을 보여 준다 하겠다.
2) 구속 사역 완성의 실증
지상에서 성부가 계시는 곳으로 다시 돌아감은 성육신하신 그리스도가 주어진 사명을 완수하셨음을 보여 준다.
3) 메시야 왕국의 속성 계시
유대인들은 메시야 왕국이 이 지상에 이루어질 다윗 왕국의 재현으로 보았다. 그러나 승천은 그리스도의 왕국이 이 지상에 속한 것이 아님을 보여 준다(요19:36).
4) 대제사장 사역이 수행
구약의 대제사장이 짐승이 피로 제사 지내며 일년 일차 하나님과 만나기 위해 지성소에 들어감과 같이 그리스도는 자신의 피로 영원한 속죄이 제사를 드린 후 하나님이 계신 하늘로 올라 가셨다(히9:12). 이는 그리스도가 구약이 제사장이 수행한 속죄사역의 완전한 수행자이며 동시에 오늘날에도 인간과 하나님을 이어주는 대언자(代言者)이심을 보여 준다(요일2:1).
5) 구원의 실시
그리스도의 승천은 성자가 역사 가운데서 수행하기로 한 객관적 구속 사역을 끝내심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어 성령이 그 효력을 구원받을 각 개인에게 적용시키는 과정으로 이어짐을 예시한다(요16:7).
6) 성도의 영화(榮化)에 대한 예표
그리스도의 부활은 장차 이루어질 성도의 부활을 보여 주며 그리스도의 승천은 그 백성들이 영광스러운 하늘 나라 시민 됨을 미리 보여주는 의미를 지닌다(요17:24, 엡2:6)
7) 처소의 예비
장차 사단과 그에 속한 무리들이 불과 유황못에 던져지는 것과 같이(계20:7-10) 의인은 신천 선지에서 계21:1-4) 영원히(계21:3,4)영화롭게 된다(계21:2,11,18,21). 그리스도는 이를 준비하기 위해 승천하셨다(요14:2,3).
5. 승천의 의미(Significance)
1) 지상사역의 종결과 천상사역의 시작(The End of Earthly Ministry and the Beginning of Heavenly Ministry)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은 자신의 지상사역의 종결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승천하시므로 그의 사역으로부터 은퇴하신 것이 아니다. 예수그리스도의 지상사역의 종결은 곧 천상사역의 시작으로 이어져 지금은 천국에서 구원받은 자들을 위하여 왕(king)으로서 영적으로 통치하시며, 대제사장(higy priest)으로서 기독신자들을 위하여 대언대도하시며, 선지자(prophet)로서 성령과 말씀을 통하여 역사하신다.
2) 영광(Gloy)의 회복
태초부터 자신의 영광을 소유하고 계셨던 예수 그리스도는 그의 지상생애 동안에 일시적으로 숨겨져 있었다. 그의 승천은 도성인신하시기 전의 영광을 회복한 것이다(요 17:5). 이것은 지상생애 속에서 감추어진 영광의 재현이다. 또한 이 영광은 구속사역의 성공적 완성을 의미하는 승리의 영광이기도 하다(빌 2:9-11).
3) 보혜사 성령(Holy Spirit)을 보내심
주님의 승천하시기 전 제자들과의 마지막 작별시에 자신 이외에 다른 보혜사(another Counseler)를 보내주시겠다고 약속하셨다. 그 후 10일이 못되어 보혜사 성령님은 오순절 날 강림하셨다.
보혜사(The Counsuler)는 헬라어로 ‘파라클레토스’(παρκλητο)로서 도모자, 변호자, 중재자, 협조자, 안위자를 뜻한다. 보혜사 성령님께서는 사람들을 중생시키며, 신자들의 영혼좌소에 내주하시며,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며 항상 같이 하신다(요 14:16, 17, 26; 15:26: 16:7,13; 행 1:5; 2:1-4, 33-36). 예수 그리스도께서 지상지역(地上使役)을 수행하실
3. 승천의 성질
부활40일 후 그리스도는 여러 사람이 지켜보는 가운데 천사의 호위를 받으며 승천하셨다. 즉 이는 혹자가 주장하듯이 환상이 아니라 그 자체가 엄연한 역사적 사건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 승천 사건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내보인다.
1) 전위(全位)의 승천
신성(神性)만이 하늘에 오른 것이 아니라 인성(人性)조차 승천에 포함되었다. 이는 그리스도의 다시 오심도 인성을 지닌 채 이루어질 것을 보여 준다(행1:11).
2) 문자적 승천
그리스도는 성경이 묘사하는 그대로 ‘하늘로(행1:11)’, 즉 ‘위로’올라가셨다(엡4:8). 이처럼 승천은 영적인 의미나 상징적 의미로만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분명한 문자 그대로 하늘에 올리우신 것이다.
3) 유형적(有形的) 승천
승천은 영적 식별력이 있는 사람에게만 보여진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목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는 그리스도의 재림 역시 유형적 형태로, 즉 역사적인 사실로 이루어질 것임을 보여 준다(행1:11, 계1:7).
4) 장소적 승천
루터파에서는 그리스도의 승천을 단순히 상태의 변화로만 본다. 즉 인성을 지니신 그리스도께서 공간적 제한을 받아오셨으나 승천하심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벗어나 영원히 편재(遍在)하실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승천은 성경의 묘사와 같이 ‘세상을 떠나(요16:28)’ ‘하늘로’ 올리우신(행1:11) 것이며, 이때 구름이 제자들의 시야를 막았다(행1:9). 즉 그리스도는 세상을 떠나 처소를 예비하려고(요14:2,3) 하늘에 오르신 공간적 의미에서 승천하신 것이다.
4. 승천의 의의
다른 교리와 마찬가지로 승천 역시 여러 교리와 유기적 관계를 갖는다. 특히 이는 성도가 지향하는 바 영광된 미래와 관련되므로 더 큰 관심이 집중된다 하겠다.
1) 하늘 본향(本鄕)의 존재
승귀의 신분을 지니신 그리스도께서 죄가 범람하는 이 세상에 계시는 것은 적당치 않다. 즉 원래 신분을 회복하신 그리스도는 모든 악으로부터 분리되어있고 질고가 없는 곳에 거처하시게 된 것이다. 이는 인간이 성화(聖化)된 후 장차 거하게 될 새 하늘과 새 땅이 악과 관계없는 정화(淨化)된 곳임을 보여 준다 하겠다.
2) 구속 사역 완성의 실증
지상에서 성부가 계시는 곳으로 다시 돌아감은 성육신하신 그리스도가 주어진 사명을 완수하셨음을 보여 준다.
3) 메시야 왕국의 속성 계시
유대인들은 메시야 왕국이 이 지상에 이루어질 다윗 왕국의 재현으로 보았다. 그러나 승천은 그리스도의 왕국이 이 지상에 속한 것이 아님을 보여 준다(요19:36).
4) 대제사장 사역이 수행
구약의 대제사장이 짐승이 피로 제사 지내며 일년 일차 하나님과 만나기 위해 지성소에 들어감과 같이 그리스도는 자신의 피로 영원한 속죄이 제사를 드린 후 하나님이 계신 하늘로 올라 가셨다(히9:12). 이는 그리스도가 구약이 제사장이 수행한 속죄사역의 완전한 수행자이며 동시에 오늘날에도 인간과 하나님을 이어주는 대언자(代言者)이심을 보여 준다(요일2:1).
5) 구원의 실시
그리스도의 승천은 성자가 역사 가운데서 수행하기로 한 객관적 구속 사역을 끝내심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어 성령이 그 효력을 구원받을 각 개인에게 적용시키는 과정으로 이어짐을 예시한다(요16:7).
6) 성도의 영화(榮化)에 대한 예표
그리스도의 부활은 장차 이루어질 성도의 부활을 보여 주며 그리스도의 승천은 그 백성들이 영광스러운 하늘 나라 시민 됨을 미리 보여주는 의미를 지닌다(요17:24, 엡2:6)
7) 처소의 예비
장차 사단과 그에 속한 무리들이 불과 유황못에 던져지는 것과 같이(계20:7-10) 의인은 신천 선지에서 계21:1-4) 영원히(계21:3,4)영화롭게 된다(계21:2,11,18,21). 그리스도는 이를 준비하기 위해 승천하셨다(요14:2,3).
5. 승천의 의미(Significance)
1) 지상사역의 종결과 천상사역의 시작(The End of Earthly Ministry and the Beginning of Heavenly Ministry)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은 자신의 지상사역의 종결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승천하시므로 그의 사역으로부터 은퇴하신 것이 아니다. 예수그리스도의 지상사역의 종결은 곧 천상사역의 시작으로 이어져 지금은 천국에서 구원받은 자들을 위하여 왕(king)으로서 영적으로 통치하시며, 대제사장(higy priest)으로서 기독신자들을 위하여 대언대도하시며, 선지자(prophet)로서 성령과 말씀을 통하여 역사하신다.
2) 영광(Gloy)의 회복
태초부터 자신의 영광을 소유하고 계셨던 예수 그리스도는 그의 지상생애 동안에 일시적으로 숨겨져 있었다. 그의 승천은 도성인신하시기 전의 영광을 회복한 것이다(요 17:5). 이것은 지상생애 속에서 감추어진 영광의 재현이다. 또한 이 영광은 구속사역의 성공적 완성을 의미하는 승리의 영광이기도 하다(빌 2:9-11).
3) 보혜사 성령(Holy Spirit)을 보내심
주님의 승천하시기 전 제자들과의 마지막 작별시에 자신 이외에 다른 보혜사(another Counseler)를 보내주시겠다고 약속하셨다. 그 후 10일이 못되어 보혜사 성령님은 오순절 날 강림하셨다.
보혜사(The Counsuler)는 헬라어로 ‘파라클레토스’(παρκλητο)로서 도모자, 변호자, 중재자, 협조자, 안위자를 뜻한다. 보혜사 성령님께서는 사람들을 중생시키며, 신자들의 영혼좌소에 내주하시며,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며 항상 같이 하신다(요 14:16, 17, 26; 15:26: 16:7,13; 행 1:5; 2:1-4, 33-36). 예수 그리스도께서 지상지역(地上使役)을 수행하실
추천자료
프리칭 예수
최고 경영자 예수를 읽고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는 누구인가
그리스도교(기독교) 특성, 그리스도교(기독교) 여성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이론,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은총,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경제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인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지주의...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흐름과 상징물,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제3...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세계관과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죽음,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포...
제국주의와 예수회
오늘 나에게 예수는 누구인가
rejesus세상을 바꾸는 작은 예수들을 읽고 요약 및 감상 및 서평
공관복음서해석_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물을 정리하시오.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에서 예수와 갈등 관계의 의미
신약의 예수론 - 요한복음의 로고스 기독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