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본문내용
81.7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이마트 81점, 홈플러스 80.9점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위의 설문 내용을 종합해보면 소비자들은 매장의 디스플레이나 가격보다 입지에 얼마나 좌우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까르푸는 처음 국내에 진입 당시 기존 업체를 인수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자신의 자본력으로 입지를 매입 혹은 임대하고, 이에 따라서 점포수를 확장해 나가는 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해왔다. 하지만, 기존에 이마트 등의 국내업체가 좋은 입지를 미리 선점해 놓은 상태에서 후발주자인 까르푸는 입지 선정과 시장의 확대에 대해 항상 많은 불리함을 감수해야만 했을 것이다.
3) 한국진출 외국 유통업체의 실패 원인 분석 및 해결방안
한국에 진출한 까르푸의 실패 사례를 보았다. 그럼 실패 할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 그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1. 뒤쳐진 점포선점 & 밀리는 출점 경쟁
1) 이마트 80개, 2) 홈플러스 46개, 3) 롯데마트 44개, 4) 까르푸 32개, 5) 월마트 16개
등 국내 최대 5대 마트 중에서 점포선점과 출점 수의 열세 그리고 도시외곽 위치의 단점을 들 수가 있다.
즉 입지문제를 들 수 있는데 미국처럼 도심 외곽에 할인점을 새울 경우 잘 가지 않는다. 미국은 슈퍼를 가도 자동차를 타고 갈 만큼 인구밀도가 낮지만 한국은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인구밀집지역 근처 조금 저렴한 땅을 구입해 그곳에 할인점을 세우면 성공확률이 높다. 입지가 중요한, 일종의 부동산 사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2. 한국현지화 부적응
최근 뉴스 발표에 따르면, 할인점에서 50%이상이 바로 (지하) 신선식품 매장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이에 비해 외국계 할인매장들은 생필품 등을 주력으로 했다. 즉 헛 다리를 짚은 것이다. 한국 소비자들이 어떤 것들을 선호하고 원하는지를 정확하게 분석 파악을 못한 것이다.
1) 월마트는 개점 초기 식품매장을 아예 만들지 않는 등 공산품 판매에만 주력
→ 할인점에서 신선식품을 많이 찾는 한국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
2) 한국인들은 할인점에서 가족이 함께 쇼핑과 식사, 오락 등의 한꺼번에 해결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원한다는 점을 도외시함.
3) 도시외곽의 위치한 “창고 형 할인점” 형태
→ 편리한 교통 환경과 쾌적한 쇼핑 공간 그리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길 원하는
국내 소비자에게 외면
3. 매장분위기
‘한국 사람들은 불평불만이 많습니다.’로 시작하는 어느 증권회사 광고가 떠오른다. 한국 사람은 특유의 평등주의와 자존심이 강한 민족성이 있다. 매장 분위기는 세련되어야 좋아한다. 최근의 대다수 할인매장들은 신세계 이마트가 그랬던 것처럼 매장의 배치나 조명 인테리어 등이 상당히 고급스러워 졌다. 예전에 창고 형 할인매장 분위기는 완전히 사라지고 있다.
4. 마치며...
까르푸는 유통시장의 빗장을 푼 1996년에, 세계 1위 미국계 월마트는 2년 뒤인 1998년에 국내에 터를 잡았다. 까르푸의 한국 10년은 유통시장 개방 10년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세계 1, 2위 유통업체들이 한국에서 유독 힘을 쓰지 못하고 있으니 “토종 할인점”의 경쟁력을 뽐낼 만도 하다. 한국까르푸는 “현지화”의 실패로 한국시장에서 실패했다는 의견이 강하다. 하지만 장사는 못해도 “몸 팔아” 실리를 챙기는 장면에선 외국자본의 영악함을 느낄 수 있었다.
실례로 “필리프 브로야니고” 한국 까르푸 사장은 지난해 4월 “3위 도약을 위해2008년까지 1조 원 이상 투자하겠다.”고 공언한 것은 결과적으로 매각을 숨기기 위한 ‘연막’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중국 진출을 서두르는 국내 유통업체들은 까르푸의 실패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할 것이다. ‘까르푸, 월마트를 누른 실력이면 해외시장에서도 통하지 않겠는가?’ 라는 자만은 애당초 버려야 할 것이다. 즉, 유통업의 글로벌 스탠더드는 현지 소비자의 마음을 읽고 존중하는 자세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4.온라인 마켓의 유통전략 (G마켓, CJ몰)
-G 마켓
1) G마켓의 개요
G마켓은 옥션이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던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시장에 여러 도전자들이 도전하였다가 좌초하였던 상황들을 보고도 1999년 인터파크 사내의 벤처기업 구스닥팀으로 시작하여 2000년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 하였다. 여러 가지 새로운 아이템을 가지고 옥션의 위치를 노렸으나 본격적으로 사업이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3말부터였다. 그이후 G마켓이라는 사명으로 변경한후에 “우리들의 목표는 2등이 아니다! 옥션을 누르고 업계 1위를 차지하는것이다.” 라고 밝힌후에 옥션을 맹추격한 그 원동력과 경쟁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2) G마켓 소개
(1) 회사명 : 인터파크 G마켓
(2) 설립일 :2000년 4월
(3)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04-3 남서울 빌딩6층
(4) 홈페이지 : www.gmarket.com
(5) 대표이사 : 구영배
G마켓은 2000년 설립 이래 줄곧 가파른 성장을 유지해 왔으며, 여러 대기업들을 제치고 국내 인터넷쇼핑분야를 선도하는 위치에 섰습니다.
2004년에는 거래총액 성장률 360%로 업계 최고를 기록하였으며, 또한 2004년 11월에는 미국 유수의 벤처캐피탈인 Oak Investment Partners로부터 투자유치에 성공하여 자금의 여유가 생겨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나갈수 있게 되었습니다.
G마켓의 G가 의미하는 4가지가 있습니다.
Goods, Good, Green, Global은 기업의 Vision과 Mission을 반영합니다.
-Goods Market - 모든 상품을 가장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고 팔 수 있는 시장
-Good Market - 고객만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시장
-Green Market - 생산된 재화의 낭비없는 유통을 구현하는 친환경 시장
-Global Market - 전세계 상거래 네트워크의 중심에 서는 글로벌 시장
G마켓은 4G의 이념을 실현하여 Global 전자상거래 네트워크의 중심에 서기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본 수익 : 판매 수수료 : 12%, 컴퓨터/가전제품은 8%
3)G마켓의 안전장치
인터넷에서 물건을 구입할
까르푸는 처음 국내에 진입 당시 기존 업체를 인수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자신의 자본력으로 입지를 매입 혹은 임대하고, 이에 따라서 점포수를 확장해 나가는 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해왔다. 하지만, 기존에 이마트 등의 국내업체가 좋은 입지를 미리 선점해 놓은 상태에서 후발주자인 까르푸는 입지 선정과 시장의 확대에 대해 항상 많은 불리함을 감수해야만 했을 것이다.
3) 한국진출 외국 유통업체의 실패 원인 분석 및 해결방안
한국에 진출한 까르푸의 실패 사례를 보았다. 그럼 실패 할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 그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1. 뒤쳐진 점포선점 & 밀리는 출점 경쟁
1) 이마트 80개, 2) 홈플러스 46개, 3) 롯데마트 44개, 4) 까르푸 32개, 5) 월마트 16개
등 국내 최대 5대 마트 중에서 점포선점과 출점 수의 열세 그리고 도시외곽 위치의 단점을 들 수가 있다.
즉 입지문제를 들 수 있는데 미국처럼 도심 외곽에 할인점을 새울 경우 잘 가지 않는다. 미국은 슈퍼를 가도 자동차를 타고 갈 만큼 인구밀도가 낮지만 한국은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인구밀집지역 근처 조금 저렴한 땅을 구입해 그곳에 할인점을 세우면 성공확률이 높다. 입지가 중요한, 일종의 부동산 사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2. 한국현지화 부적응
최근 뉴스 발표에 따르면, 할인점에서 50%이상이 바로 (지하) 신선식품 매장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이에 비해 외국계 할인매장들은 생필품 등을 주력으로 했다. 즉 헛 다리를 짚은 것이다. 한국 소비자들이 어떤 것들을 선호하고 원하는지를 정확하게 분석 파악을 못한 것이다.
1) 월마트는 개점 초기 식품매장을 아예 만들지 않는 등 공산품 판매에만 주력
→ 할인점에서 신선식품을 많이 찾는 한국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
2) 한국인들은 할인점에서 가족이 함께 쇼핑과 식사, 오락 등의 한꺼번에 해결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원한다는 점을 도외시함.
3) 도시외곽의 위치한 “창고 형 할인점” 형태
→ 편리한 교통 환경과 쾌적한 쇼핑 공간 그리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길 원하는
국내 소비자에게 외면
3. 매장분위기
‘한국 사람들은 불평불만이 많습니다.’로 시작하는 어느 증권회사 광고가 떠오른다. 한국 사람은 특유의 평등주의와 자존심이 강한 민족성이 있다. 매장 분위기는 세련되어야 좋아한다. 최근의 대다수 할인매장들은 신세계 이마트가 그랬던 것처럼 매장의 배치나 조명 인테리어 등이 상당히 고급스러워 졌다. 예전에 창고 형 할인매장 분위기는 완전히 사라지고 있다.
4. 마치며...
까르푸는 유통시장의 빗장을 푼 1996년에, 세계 1위 미국계 월마트는 2년 뒤인 1998년에 국내에 터를 잡았다. 까르푸의 한국 10년은 유통시장 개방 10년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세계 1, 2위 유통업체들이 한국에서 유독 힘을 쓰지 못하고 있으니 “토종 할인점”의 경쟁력을 뽐낼 만도 하다. 한국까르푸는 “현지화”의 실패로 한국시장에서 실패했다는 의견이 강하다. 하지만 장사는 못해도 “몸 팔아” 실리를 챙기는 장면에선 외국자본의 영악함을 느낄 수 있었다.
실례로 “필리프 브로야니고” 한국 까르푸 사장은 지난해 4월 “3위 도약을 위해2008년까지 1조 원 이상 투자하겠다.”고 공언한 것은 결과적으로 매각을 숨기기 위한 ‘연막’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중국 진출을 서두르는 국내 유통업체들은 까르푸의 실패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할 것이다. ‘까르푸, 월마트를 누른 실력이면 해외시장에서도 통하지 않겠는가?’ 라는 자만은 애당초 버려야 할 것이다. 즉, 유통업의 글로벌 스탠더드는 현지 소비자의 마음을 읽고 존중하는 자세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4.온라인 마켓의 유통전략 (G마켓, CJ몰)
-G 마켓
1) G마켓의 개요
G마켓은 옥션이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던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시장에 여러 도전자들이 도전하였다가 좌초하였던 상황들을 보고도 1999년 인터파크 사내의 벤처기업 구스닥팀으로 시작하여 2000년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 하였다. 여러 가지 새로운 아이템을 가지고 옥션의 위치를 노렸으나 본격적으로 사업이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3말부터였다. 그이후 G마켓이라는 사명으로 변경한후에 “우리들의 목표는 2등이 아니다! 옥션을 누르고 업계 1위를 차지하는것이다.” 라고 밝힌후에 옥션을 맹추격한 그 원동력과 경쟁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2) G마켓 소개
(1) 회사명 : 인터파크 G마켓
(2) 설립일 :2000년 4월
(3)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04-3 남서울 빌딩6층
(4) 홈페이지 : www.gmarket.com
(5) 대표이사 : 구영배
G마켓은 2000년 설립 이래 줄곧 가파른 성장을 유지해 왔으며, 여러 대기업들을 제치고 국내 인터넷쇼핑분야를 선도하는 위치에 섰습니다.
2004년에는 거래총액 성장률 360%로 업계 최고를 기록하였으며, 또한 2004년 11월에는 미국 유수의 벤처캐피탈인 Oak Investment Partners로부터 투자유치에 성공하여 자금의 여유가 생겨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나갈수 있게 되었습니다.
G마켓의 G가 의미하는 4가지가 있습니다.
Goods, Good, Green, Global은 기업의 Vision과 Mission을 반영합니다.
-Goods Market - 모든 상품을 가장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고 팔 수 있는 시장
-Good Market - 고객만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시장
-Green Market - 생산된 재화의 낭비없는 유통을 구현하는 친환경 시장
-Global Market - 전세계 상거래 네트워크의 중심에 서는 글로벌 시장
G마켓은 4G의 이념을 실현하여 Global 전자상거래 네트워크의 중심에 서기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본 수익 : 판매 수수료 : 12%, 컴퓨터/가전제품은 8%
3)G마켓의 안전장치
인터넷에서 물건을 구입할
추천자료
지마켓의 상거래 형태와 수익구조 PPT
Gmarket 마케팅 전략
옥션의 기업분석 및 채용방식 분석
온라인 경매
옥션 마케팅조사와 마케팅방안도출
옥션(AUCTION)의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
[온라인쇼핑] 한국과 유럽의 온라인 쇼핑과 시장 동향에 대하여
마케팅 성공사례 G마켓에 대하여
인터넷 쇼핑몰의 정의와 나아가야할 방향
Marketing Information & Research PRESENTATION
11번가 서비스분석및 11번가 새로운 서비스전략 제안
이베이 ebay 글로벌전략분석과 이베이 SWOT분석 및 이베이 성공요인분석 레포트
[아마존닷컴vs지마켓]물류시스템 성공사례-아마존,물류시스템실패사례-지마켓
11번가 기업분석과 11번가 마케팅사례및 SWOT,STP,4P전략분석및 11번가 향후방향제언
소개글